[2014/04/14] 우리말) 부아와 애

조회 수 2516 추천 수 0 2014.04.14 08:34:31

'애'는 창자를 뜻하는 옛말로 지금은 초조한 마음속, 몹시 수고로움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부아'는 허파를 이르는 말인데요. 지금은 노엽거나 분한 마음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안녕하세요.

즐거운 월요일 아침입니다.
이번 주도 자주 웃으시면서 재밌게 보내시길 빕니다.

'애'라는 낱말을 아시나요?
창자를 뜻하는 옛말로 지금은 초조한 마음속, 몹시 수고로움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애를 태우다'할 때 그 '애'입니다.

'부아'도 우리 몸에 있습니다. 본래는 허파를 이르는 말인데요. 지금은 노엽거나 분한 마음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부아가 나다'할 때 그 '부아'입니다.

이번 주는
마음먹은 것을 이루고자 애를 쓰되,
애를 태우지 않고, 부아가 나는 일도 없기를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아싸리 말해서 이거 똔똔입니다]

주말에 뭐하셨어요?
저는 가족과 함께 정조대왕 능행차를 구경했습니다.
날씨가 좋아 밖에서 놀기에 참 좋고 어머니도 좋아하시더군요.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에는 으레 장사꾼들이 꾀죠? 역시나 행사장에 장사꾼이 많았는데요.
그 장사꾼들 말을 들어보면,
'이거 남는 거 하나 없어요. 그냥 똔똔이에요.'
'앗싸리 말해서 이거 손해본 거라고요.'
같은 말을 많이 합니다.

여기서도 일본어 찌꺼기가 있네요.
먼저 '똔똔'은 일본어 とんとん[똔똔]에서 온 말로,
국립국어원에서 '본전치기'로 다듬었습니다.

앗싸리도 일본말 찌꺼기입니다.
일본어 사전에 보면 あっさり[앗사리]로 쓰고 그 뜻은 깨끗이, 간단히, 시원스레, 선선히라고 나와 있습니다.
이거 두말할 것 없이 깨끗이나 산뜻이, 깔끔히, 시원스레, 선선히로 바꿔써야 하는 거 아닌가요?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아싸리'가 '차라리'를 비속하게 이르는 말이라고 나와 있는데,(2010. 3. 4 확인한 결과 표재어에서 내렸습니다.)
이것은 틀린 겁니다.
또, 바른한글이라는 한글 맞춤법 교정기에는
''아싸리'는 경상도 사투리로 '차라리'의 뜻으로 쓰인 말입니다.'라고 나와 있는데 이것도 틀린 말입니다.
'아싸리'는 '차라리'의 비속어도 아니고, 경상도 사투리도 아닙니다. 그저 일본말 찌꺼기일 뿐입니다.

우리말 속에는 이렇게 일본말 찌꺼기가 여기저기 널브러져 있습니다.
하나하나 찾아내 없애야 합니다.


보태기)
으레 : 두말할 것 없이 마땅히('으례'가 아님)
꾀다 : 사람이 한곳에 많이 모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76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447
136 [2017/02/21] 우리말) '2017년, 새롭게 인정받은 표준어는?... 머니북 2017-02-22 3392
135 [2017/02/22] 우리말) 역시 머니북 2017-02-22 2982
134 [2017/02/24] 우리말) 돌팔이와 단감 머니북 2017-02-24 3310
133 [2017/02/27] 우리말) 짊다와 짊어지다 머니북 2017-02-28 3988
132 [2017/03/06] 우리말) 홍두깨 머니북 2017-03-07 2531
131 [2017/03/07] 우리말) 혹은과 또는 머니북 2017-03-08 3070
130 [2017/03/08] 우리말) 주기와 주년 머니북 2017-03-09 3176
129 [2017/03/09] 우리말) '언어에 대하여' 머니북 2017-03-10 3100
128 [2017/03/10] 우리말) 교보문고 머니북 2017-03-10 2940
127 [2017/03/13] 우리말) 인용 머니북 2017-03-13 2845
126 [2017/03/14] 우리말) 사저 머니북 2017-03-14 2781
125 [2017/03/15] 우리말) 꽃보라 머니북 2017-03-15 2467
124 [2017/03/16] 우리말) 나가다와 나아가다 머니북 2017-03-17 4593
123 [2017/03/17] 우리말) 나무 심기 좋은 때 머니북 2017-03-17 3467
122 [2017/03/27] 우리말) 이유와 원인 머니북 2017-03-27 2567
121 [2017/03/29] 우리말) 씨양이질 머니북 2017-03-30 3079
120 [2017/03/31] 우리말) 비탈이 가파라서? 가팔라서? 머니북 2017-04-03 3026
119 [2017/04/03] 우리말) 까다롭다/까탈스럽다 머니북 2017-04-04 2749
118 [2017/04/04] 우리말) 거방지다/걸판지다 머니북 2017-04-05 2851
117 [2017/04/06] 우리말) 후리지아 -> 프리지어 머니북 2017-04-06 2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