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4/14] 우리말) 부아와 애

조회 수 2505 추천 수 0 2014.04.14 08:34:31

'애'는 창자를 뜻하는 옛말로 지금은 초조한 마음속, 몹시 수고로움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부아'는 허파를 이르는 말인데요. 지금은 노엽거나 분한 마음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안녕하세요.

즐거운 월요일 아침입니다.
이번 주도 자주 웃으시면서 재밌게 보내시길 빕니다.

'애'라는 낱말을 아시나요?
창자를 뜻하는 옛말로 지금은 초조한 마음속, 몹시 수고로움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애를 태우다'할 때 그 '애'입니다.

'부아'도 우리 몸에 있습니다. 본래는 허파를 이르는 말인데요. 지금은 노엽거나 분한 마음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부아가 나다'할 때 그 '부아'입니다.

이번 주는
마음먹은 것을 이루고자 애를 쓰되,
애를 태우지 않고, 부아가 나는 일도 없기를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아싸리 말해서 이거 똔똔입니다]

주말에 뭐하셨어요?
저는 가족과 함께 정조대왕 능행차를 구경했습니다.
날씨가 좋아 밖에서 놀기에 참 좋고 어머니도 좋아하시더군요.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에는 으레 장사꾼들이 꾀죠? 역시나 행사장에 장사꾼이 많았는데요.
그 장사꾼들 말을 들어보면,
'이거 남는 거 하나 없어요. 그냥 똔똔이에요.'
'앗싸리 말해서 이거 손해본 거라고요.'
같은 말을 많이 합니다.

여기서도 일본어 찌꺼기가 있네요.
먼저 '똔똔'은 일본어 とんとん[똔똔]에서 온 말로,
국립국어원에서 '본전치기'로 다듬었습니다.

앗싸리도 일본말 찌꺼기입니다.
일본어 사전에 보면 あっさり[앗사리]로 쓰고 그 뜻은 깨끗이, 간단히, 시원스레, 선선히라고 나와 있습니다.
이거 두말할 것 없이 깨끗이나 산뜻이, 깔끔히, 시원스레, 선선히로 바꿔써야 하는 거 아닌가요?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아싸리'가 '차라리'를 비속하게 이르는 말이라고 나와 있는데,(2010. 3. 4 확인한 결과 표재어에서 내렸습니다.)
이것은 틀린 겁니다.
또, 바른한글이라는 한글 맞춤법 교정기에는
''아싸리'는 경상도 사투리로 '차라리'의 뜻으로 쓰인 말입니다.'라고 나와 있는데 이것도 틀린 말입니다.
'아싸리'는 '차라리'의 비속어도 아니고, 경상도 사투리도 아닙니다. 그저 일본말 찌꺼기일 뿐입니다.

우리말 속에는 이렇게 일본말 찌꺼기가 여기저기 널브러져 있습니다.
하나하나 찾아내 없애야 합니다.


보태기)
으레 : 두말할 것 없이 마땅히('으례'가 아님)
꾀다 : 사람이 한곳에 많이 모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63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339
1936 [2014/05/30] 우리말) 안갚음 머니북 2014-05-30 2226
1935 [2014/05/29] 우리말) 연필깎기 머니북 2014-05-29 2378
1934 [2014/05/28] 우리말) 그을리다와 그슬리다(2) 머니북 2014-05-28 2870
1933 [2014/05/27] 우리말) 그을리다와 그슬리다 머니북 2014-05-27 2619
1932 [2014/05/26] 우리말) '바' 띄어쓰기 머니북 2014-05-26 3750
1931 [2014/05/23] 우리말) 다이어트 머니북 2014-05-23 2249
1930 [2014/05/22] 우리말) '지' 띄어쓰기 머니북 2014-05-22 3159
1929 [2014/05/21] 우리말) 잊혀진 -> 잊힌 머니북 2014-05-21 3379
1928 [2014/05/20] 우리말) 갈아탈까? 바꿔 탈까? 머니북 2014-05-20 2488
1927 [2014/05/19] 우리말) 참으로 가슴이 아픕니다(2) 머니북 2014-05-19 2450
1926 [2014/04/21] 우리말) 참으로 가슴이 아픕니다 머니북 2014-04-21 2273
1925 [2014/04/18] 우리말) 해포이웃 머니북 2014-04-18 2821
1924 [2014/04/17] 우리말) 풋낯 머니북 2014-04-17 2775
1923 [2014/04/16] 우리말) 산소리 머니북 2014-04-16 2378
1922 [2014/04/15] 우리말) 배지는 보람으로 머니북 2014-04-15 2243
» [2014/04/14] 우리말) 부아와 애 머니북 2014-04-14 2505
1920 [2014/04/11] 우리말) 멋쟁이를 만드는 멋장이 머니북 2014-04-11 2326
1919 [2014/04/10] 우리말) 정부 보도자료 평가단 머니북 2014-04-10 2421
1918 [2014/04/09] 우리말) 국회의원 배지 머니북 2014-04-09 2446
1917 [2014/04/08] 우리말) 구름다리와 섬다리 머니북 2014-04-08 2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