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7/21] 우리말) 개발과 계발

조회 수 2312 추천 수 0 2015.07.22 07:13:54

.

안녕하세요.

오늘은
예전에 보낸 편지로 갈음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개발과 계발]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어제 일요일 아침에 잠깐 텔레비전을 봤습니다.
왜 제 눈에는 꼭 틀리는 것만 보이는지...

8:26, MBC에서
'같은 춤도 저렇게 틀릴 수가'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틀리다와 다르다를 왜 저리도 가르지 못하나 싶습니다.
다행히 8:45에는
'예스러움이 묻어나는'이라고 했습니다.
'옛스러움'이라고 하지 않아서 정말 다행입니다.

텔레비전만 이런 실수를 하는 게 아닙니다.
지난 토요일에 오랜만에 제 이야기를 보내드렸는데,
거기에 또 실수가 있었네요.
'베개'를 '베게'로 썼습니다.
"잠을 자거나 누울 때에 머리를 괴는 물건"은 '베개'입니다.

'개'는
거의 모든 움직씨(동사)에 붙어 그러한 사람, 사물, 연장이라는 뜻을 더합니다.
오줌싸개, 코흘리개, 병따개, 덮개, 지우개, 날개 따위가 그렇습니다.
'게'는
움직씨(동사) 지다, 집다 따위에만 붙어 이름씨(명사)를 만듭니다.

중세국어에서는 '개'나 '게'를 붙여 이름씨(명사)로 만들었는데,
요즘은 거의 '개'만 쓰고 있습니다.

학자들 말씀으로는 예전에는 베게/베개, 집게/집개가 같이 쓰였으나,
요즘은 베개, 집게가 더 자주 쓰여 표준말로 굳어진 거라고 합니다.
어쨌든 
"잠을 자거나 누울 때에 머리를 괴는 물건"은 '베게'가 아니라 '베개'입니다.


'개발서적'에서 '개발'과 '계발'의 다른 점에 말씀이 많으시네요.
먼저 사전을 보면,
계발(啓發)은
지능이나 정신을 깨우쳐 발전시키는 것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개발(開發)도
(지식, 기술, 능력 등을) 더 나은 상태로 발전시키는 것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그 말이 그 말 같죠? 

흔히들,
지적이고 정신적인 대상에 '계발'을 쓰고 
물질적이고 물리적인 대상에 '개발'을 쓴다고 가르시기도 합니다.

저는 이렇게 가릅니다.
'계발'은
'계몽'을 떠올려 
"잠재된, 숨어 있던 것을 찾아내 드러나게 해서 일깨워준다"고 이해하고,
'개발'은
'개척'을 떠올려
"이미 존재하는 상태를 새로운 더 나은 방향으로 열어준다"고 생각합니다.

국립국어연구원에서는 이렇게 가릅니다.
'개발'과 '계발' 모두 어떤 상태를 개선해 나간다는 공통된 뜻이 있지만,
무엇을 '계발'해 나가기 위해서는 그 무엇은 잠재되어 있어야 하지만 
'개발'에는 이러한 전제가 없다고 봅니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개발'은 단지 상태를 개선해 나간다는 뜻이지만 
'계발'은 잠재되어 있는 속성을 더 나아지게 한다는 뜻이 있다고 풉니다.
곧,
'능력 계발'은 잠재된 능력을 발전시킨다는 뜻이고, 
'능력 개발'은 잠재된 능력은 없지만 실력을 키워 발달하게 한다는 뜻이 되는 거죠.

토요일에 저는 '개발'을 썼습니다.
잠재된 깜냥은 없지만 실력을 키워 발달하게 하고 싶어서...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450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0204
» [2015/07/21] 우리말) 개발과 계발 머니북 2015-07-22 2312
2175 [2015/07/20] 우리말) "농업, 일제용어 정리해야 진정한 광복" 머니북 2015-07-20 2366
2174 [2015/07/17] 우리말) 아는 척과 알은척 머니북 2015-07-17 2559
2173 [2015/07/16] 우리말) 밥맛없다와 밥맛 없다 머니북 2015-07-16 2321
2172 [2015/07/15] 우리말) 온종일 머니북 2015-07-15 2337
2171 [2015/07/14] 우리말) 도긴개긴 머니북 2015-07-15 2513
2170 [2015/07/13] 우리말) 딴전 머니북 2015-07-13 2782
2169 [2015/07/10] 우리말) 초등학교 한자 교육 반대합니다. 머니북 2015-07-10 2355
2168 [2015/07/09] 우리말) 너무 머니북 2015-07-10 2481
2167 [2015/07/08] 우리말) 하굿둑(2) 머니북 2015-07-08 2394
2166 [2015/07/07] 우리말) 하굿둑 머니북 2015-07-07 3273
2165 [2015/07/06] 우리말) 금새와 금세 머니북 2015-07-06 2272
2164 [2015/07/03] 우리말) 조촐한 자리 머니북 2015-07-03 2864
2163 [2015/07/02] 우리말) 줄행랑 머니북 2015-07-02 2495
2162 [2015/07/01] 우리말) 후텁지근하다/후덥지근하다 머니북 2015-07-01 2495
2161 [2015/06/30] 우리말) 자귀나무와 능소화 머니북 2015-06-30 2298
2160 [2015/06/29] 우리말) 헛걸음질 머니북 2015-06-29 2435
2159 [2015/06/26] 우리말) 산수갑산은 어디일까? 머니북 2015-06-26 3122
2158 [2015/06/25] 우리말) 정종과 청주 머니북 2015-06-26 2395
2157 [2015/06/24] 우리말) 마음속/맘속 머니북 2015-06-25 2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