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1/15] 우리말) 토씨

조회 수 2588 추천 수 0 2015.01.15 09:07:35

우리 주변에는 작은 것, 사소한 것, 하찮은 것이 많습니다.
그러나 그런 것들도 모두 쓰임이 있습니다.
그리고 때에 따라 그 쓰임이 다른 그 무엇과 견줄 수 없이 큰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제보다 더 포근할 거라네요.

저는 사람을 만나 이야기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주로 말하기보다는 남의 말을 듣는 것을 좋아하고, 이왕이면 쉽게 맘을 터놓을 수 있는 술자리가 좋습니다.
(그래서 어떤 분은 제가 술을 좋아하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습니다. ^^*)

어제는 네 명이 모여 작은 것, 사소한 것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작은 것이지만 소중할 수 있고, 사소하지만 나중에 크게 쓰일 수 있는...

우리말에는 품사가 있습니다. 이름씨(명사), 움직씨(동사), 그림씨(형용사) 같은 것도 있지만 토씨(조사)도 있습니다.
다른 것은 혼자 쓰일 수 있지만, 조사는 체언이나 부사, 어미 따위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도와줍니다. 혼자 쓰일 수는 없습니다.
조사를 순우리말로는 토씨나 걸림씨라고도 합니다.(둘 다 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토씨'에는 문법적인 풀이 말고도, 작은 것이나 하찮은 것이라는 뜻도 있을 것 같습니다.

어쨌든,
토씨처럼 혼자 쓰일 수도 없는 작은 것도, 그 쓰임에 따라 다른 어떤 것보다도 크게 쓰일 수도 있습니다.
술을 마신다.
술도 마신다.
술만 마신다.
술은 마신다.
이렇게 네 문장은 토씨 쓰임에 따라 뜻이 다 다릅니다. 그것도 크게 다릅니다.
작고 하찮은 토씨 하나로 뜻과 맛을 달리할 수 있는 것이죠.

우리 주변에는 작은 것, 사소한 것, 하찮은 것이 많습니다.
그러나 그런 것들도 모두 쓰임이 있습니다.
그리고 때에 따라 그 쓰임이 다른 그 무엇과 견줄 수 없이 큰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작은 것을 깊게 생각해보는 하루로 살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산보, 산책, 걷기, 거ㅤㄴㅣㄻ]

안녕하세요.

어제 밀가루와 밀가리의 다른 점을 말씀드렸죠?
밀가루로는 국수를 만들고 밀가리로는 국시를 만든다고 말씀드렸는데,
다른 점이 또 있네요.
밀가루는 봉지에 담고, 밀가리는 봉다리에 담는다네요. ^^*

오늘도 아침부터 찌는 듯이 덥네요.
오늘 낮에는 얼마나 삶아댈지 걱정입니다.
이렇게 더위에 시달린 날에는 저녁 먹고 잠시 걷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산책을 하시든, 산보를 하시든, 그냥 걷거나 거니시든 간에...

어떤 분은 '산보'는 일본에서 온 말이니 되도록 쓰지 않아야 한다고 합니다. 산책이라고 해야 한다네요.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일본에서 온 낱말은 '일본어투 생활용어> ○로 순화', 또는 <일(원어 표시)>처럼 일본말 뿌리를 보여줍니다.
그러나 '산보'에는 그러한 정보가 없습니다.
그저 '산보'를 '산책'과 같은 말로만 보여주고 있습니다.
일본말이라는 확실한 증거나 뿌리를 못 찾았다는 거겠죠.

같은 사전에서 '산책'을 찾아보면,
"휴식을 취하거나 건강을 위해서 천천히 걷는 일."이라고 나와 있고 '산보'와 같은 뜻이라고 풀어놨습니다.

제 생각에는, 짧은 제 생각으로는
산보(散步)를 [산:뽀]라 읽는데 이게 일본말 さんぽ[散步, 상뽀]와 비슷해서 그렇게 생각하시는 것 같습니다.

네이버에서 웹문서를 검색해 보니
산보 187,560건, 산책 4,068,264건이 나오네요.
어쨌든 우리가 산보보다는 산책을 더 많이 쓰는 게 보입니다. ^^*

북한에서는 '산책로'를 '거님길'이라고 한다네요.
한자를 쓰지 않고 순우리말을 쓰고자 힘쓰는 게 보입니다.
'동의어'라 안 하고 '뜻같은말'이라 하고,
'출입문'이라 안 하고 '나들문'이라 하고,
'합성어'라 안 하고 '합친말'이라 하는 것을 보면 그런 제 생각이 맞나 봅니다.

이야기가 좀 길어졌는데요. 
오늘 드릴 말씀은 지금부터입니다.

산보나 산책의 뜻이 운동을 하거나 바람을 쐬고자 이리저리 거니는 것이라면,
'거닐기'나 '거ㅤㄴㅣㄻ'이라고 하면 어떨까 생각해 봅니다.
그냥 '걷기'라고 해도 좋고요.
네이버 웹문서에 보니 거닐기 18,411건, 거ㅤㄴㅣㄻ 455건, 걷기 1,929,975건이 나오네요.

꼭 산책이라고 해야 시원한 느낌이 들고
산보라고 해야 운동이 되는 것은 아닐 겁니다.
풀잎 하나 입에 물고 조용히 거닐면 그게 더 시원해 보이지 않나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45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146
2076 [2015/01/26] 우리말) 싣고 갈까, 타고 갈까 머니북 2015-01-26 3013
2075 [2015/01/23] 우리말) 압화와 누름꽃(2) 머니북 2015-01-23 2762
2074 [2015/01/22] 우리말) 들뜨다와 달뜨다 머니북 2015-01-22 3307
2073 [2015/01/21] 우리말) 중년과 장년 머니북 2015-01-21 4016
2072 [2015/01/20] 우리말) 올바른 방법으로 사랑해야 합니다 머니북 2015-01-20 2709
2071 [2015/01/19] 우리말) 총각김치(2) 머니북 2015-01-19 2989
2070 [2015/01/16] 우리말) 총각김치 머니북 2015-01-16 3862
» [2015/01/15] 우리말) 토씨 머니북 2015-01-15 2588
2068 [2015/01/14] 우리말) 저녁과 저물녘 머니북 2015-01-14 3036
2067 [2015/01/13] 우리말) 에라, 잘코사니라 머니북 2015-01-13 2622
2066 [2015/01/12] 우리말) 우리는 한국인인가?(박남 님 편지) 머니북 2015-01-12 2489
2065 [2015/01/08] 우리말) 많다와 잦다(2) 머니북 2015-01-09 3202
2064 [2015/01/08] 우리말) 많다와 잦다 머니북 2015-01-08 2761
2063 [2015/01/07] 우리말) 뽁뽁이 머니북 2015-01-07 2463
2062 [2015/01/06] 우리말) 개개다와 개기다 머니북 2015-01-06 2491
2061 [2015/01/05] 우리말) ‘어줍다’와 ‘어쭙잖다’ 머니북 2015-01-05 2553
2060 [2015/01/02] 우리말) 지루하다/지리하다 머니북 2015-01-02 3192
2059 [2014/12/31] 우리말) 요즘 쓸 말 머니북 2014-12-31 2622
2058 [2014/12/30] 우리말) 소나기술과 벼락술 머니북 2014-12-30 2621
2057 [2014/12/29] 우리말) 삐치다와 삐지다 머니북 2014-12-29 3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