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7/25] 우리말) 멋쩍다와 맛적다

조회 수 4434 추천 수 133 2008.07.25 08:45:19
예전에는 '멋적다'로 적었습니다.
그러나 요즘 쓰는 한글맞춤법에는 적다(少)의 뜻이 없이 소리가 [쩍]으로 나면 '쩍'으로 쓴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멋쩍다가 멋이 적다는 뜻이 아니고, 소리도 멋쩍다로 나므로 '멋쩍다'로 쓰는 게 바릅니다.
맥쩍다, 해망쩍다, 겸연쩍다, 객쩍다, 수상쩍다, 미심쩍다, 미안쩍다 따위가 그런 겁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편지를 보시고 몇 분이 댓글을 달아주셨습니다.
제가 애도 아닌데 그런 투정을 부려서 죄송합니다.
멋쩍네요.

흔히 어색하고 쑥스러울 때 멋쩍다고 합니다.
'멋쩍다'는 그림씨(형용사)로
그는 자신의 행동이 멋쩍은지 뒷머리를 긁적이며 웃어 보였다, 나는 그들을 다시 보기가 멋쩍었다처럼 씁니다.
이를 '멋적다'로 쓰시면 안 됩니다.

예전에는 '멋적다'로 적었습니다.
그러나 요즘 쓰는 한글맞춤법에는 적다(少)의 뜻이 없이 소리가 [쩍]으로 나면 '쩍'으로 쓴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멋쩍다가 멋이 적다는 뜻이 아니고, 소리도 멋쩍다로 나므로 '멋쩍다'로 쓰는 게 바릅니다.
맥쩍다, 해망쩍다, 겸연쩍다, 객쩍다, 수상쩍다, 미심쩍다, 미안쩍다 따위가 그런 겁니다.

그러나 맛적다는 다릅니다.
소리는 [맏쩍따]로 나지만 낱말 뜻에 적다(少)의 뜻이 살아 있는
"재미나 흥미가 거의 없어 싱겁다."는 뜻이므로
'맛적다'로 적는 게 옳습니다.

제가,
사람이 맛적으니 어제 일도 영 멋쩍네요.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벌리다/벌이다]

며칠 전에 엽서를 하나 받았습니다.
이번 주말에 애 돌을 맞아 잔치를 벌렸으니 많이 참석해 주시라는...

근데 잔치를 어떻게 벌리죠?
‘벌리다’와 ‘벌이다’는 다른 낱말입니다.

‘벌리다.’는,
“둘 사이를 넓히거나 멀게 하다”는 뜻으로,
줄 간격을 벌리다/가랑이를 벌리다/입을 벌리고 하품을 하다처럼 씁니다.
“껍질 따위를 열어젖혀서 속의 것을 드러내다.”, “우므러진 것을 펴지거나 열리게 하다.”는 뜻도 있습니다.
어쨌든 물리적인 거리를 떼어서 넓히는 게 ‘벌리다’입니다.

‘벌이다’는,
“일을 계획하여 시작하거나 펼쳐 놓다.”는 뜻으로,
잔치를 벌이다/사업을 벌이다처럼 씁니다.
“놀이판이나 노름판 따위를 차려 놓다.”, “여러 가지 물건을 늘어놓다.”가게를 차리다.“
“전쟁이나 말다툼 따위를 하다.”는 뜻도 있습니다.

쉽게 가르실 수 있죠?
‘벌리다’는 물리적인 간격을 넓게 하는 것이고,
‘벌이다’는 어떤 일을 시작하는 것이고...

따라서, 잔치는 ‘벌리’는 게 아니라 ‘벌이’는 것이죠.
“잔치를 벌였다.”가 맞습니다.

세상살이가 늘 잔칫집 같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46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183
556 [2008/08/19] 우리말) 여태와 여직 id: moneyplan 2008-08-19 2338
555 [2008/08/18] 우리말) 늘상과 늘 id: moneyplan 2008-08-18 2582
554 [2008/08/14] 우리말) 날름과 낼름 id: moneyplan 2008-08-14 2514
553 [2008/08/13] 우리말) 나부끼다와 나붓기다 id: moneyplan 2008-08-13 3141
552 [2008/08/12] 우리말) 올림픽 선수 이름 로마자 쓰기 id: moneyplan 2008-08-13 2525
551 [2008/08/11] 우리말) 애오라지 id: moneyplan 2008-08-13 2928
550 [2008/08/07] 우리말) 모밀국수와 메밀국수 id: moneyplan 2008-08-07 3068
549 [2008/08/06] 우리말) 메밀꽃 id: moneyplan 2008-08-06 2934
548 [2008/08/05] 우리말) 리더쉽과 리더십 id: moneyplan 2008-08-05 4527
547 [2008/08/04] 우리말) 답은 터앝입니다 id: moneyplan 2008-08-04 3129
546 [2008/08/01]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8-01 3355
545 [2008/07/31] 우리말) 벼슬과 볏 id: moneyplan 2008-07-31 2365
544 [2008/07/30] 우리말) 에너지를 아끼는 데 함께하고자... id: moneyplan 2008-07-31 2483
543 [2008/07/28] 우리말) 미덥다와 구덥다 id: moneyplan 2008-07-29 2511
» [2008/07/25] 우리말) 멋쩍다와 맛적다 id: moneyplan 2008-07-25 4434
541 [2008/07/24] 우리말) 얄짤없다 id: moneyplan 2008-07-25 2860
540 [2008/07/23] 우리말) 내셍기다 id: moneyplan 2008-07-23 3392
539 [2008/07/22] 우리말) 나지막하다 id: moneyplan 2008-07-22 3041
538 [2008/07/21] 우리말) 엉터리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8-07-21 2391
537 [2008/07/18] 우리말) 게걸스럽다와 게검스럽다 id: moneyplan 2008-07-18 2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