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7/19] 우리말) '갓길' 댓글

조회 수 12412 추천 수 0 2012.07.19 10:27:58

어제 '노견'과 '갓길'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 글을 보시고 댓글을 주신 분이 계시기에 같이 읽어보고자 합니다.

안녕하세요.

태풍이 다행히 큰 피해 없이 지나가나 봅니다. ^^*

1. 
어제 '노견'과 '갓길'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 글을 보시고 댓글을 주신 분이 계시기에 같이 읽어보고자 합니다.

(정영해 님)
갓길은 '길'의 일종인데, 차는 다니면 안 되는 길이지요. 
우리말에 산자락, 치맛자락 등 '자락'은 끝에 이어진 부분을 나타내는데요,
갓길보다 '길자락'이 좋겠다는 생각을 오래 해왔습니다. 
한번 정해 쓰고 있으니, 이제 바꾸기는 쉽지 않겠지요? 그래도 여러사람이 공감하면 바뀔수도 있는 거지요?
선생님의 힘에 기대어 의견을 내고 싶어 보내봅니다.
고맙습니다.

(bobntae 님)
도로공학이 영어권에서 먼저 발달이 돼서 그걸 일본 말로 뒤친 것을 우리 글로 쓰다 보니 일본식 한문 낱말이 그대로 살아 있음.
Shoulder를 路肩(이어령 씨가 노태우 정부에서 문공부 장관으로 있으며 '갓길.이라고 이름 지음)
- 노견이라고 했지 견로라곤 안 한 걸로 기억이 납니다 -
slope를 勾配라고 하거나(비탈길), culvert(underdrain) 暗渠(굴도랑, 수멍(도랑), 땅속도랑)도 도로공학에 나오는 말임.
우리나라에서는 도로공학을 대학에서 가르치기에 앞서 군에서 먼저 썼을 것임.

고맙습니다.
두 의견 모두 같이 생각해보기에 좋은 글입니다.

2.
어제 편지에서 '농진청 잔치' 이야기를 했는데요.
그 편지는 '예전에 보낸 편지'로 2006년 일입니다.
올 8월 말에 농진청에 오셔서 저를 찾으시면 안 됩니다.
저는 요즘 서울로 출퇴근합니다.

기분이 좋아서 웃는 게 아니라,
웃으면 기분이 좋아지고 좋은 일도 많이 생긴다고 합니다.
오늘도 자주 웃으면서 보냅시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6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이상한 병]

저는 병이 하나 있습니다.
한 5년쯤 전에 걸린 것 같은데 
이 녀석은 시도 때도 없이 수시로 도집니다.
책을 볼 때도 도지고,
친구들과 이야기할 때도 도지고,
텔레비전 볼 때도 도지고,
술을 먹을 때도 도집니다.
증상이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어찌 보면 한 가지 증상입니다.

이 병이 무서운(?) 것은 그 전염성 때문입니다.
전염성이 강해 제 아내도 걸렸고,
저와 같이 일하는 사람들도 많이 감염됐습니다.
이제는 네 살배기 제 딸내미에게까지......

어제도 책을 볼 때 그 병이 도지더군요.
증상을 설명드릴 테니 무슨 병인지 좀 알려주세요.

어제는 을지연습 때문에 상황실에서 밤을 고스란히 새웠습니다.
자정이 넘으니 수없이 쏟아지던 상황도 좀 잦아들더군요.
눈치를 보며 슬슬 가져갔던 책을 폈습니다.
훈민정음 창제를 다룬 소설책인 '뿌리 깊은 나무'라는 책입니다.

책을 읽다 보니,
책 내용은 머릿속에 들어오지 않고 이상한 것만 눈에 보이는 겁니다.
또 병이 도진 거죠.

제 병의 증상은 이렇습니다.
책을 읽을 때,
'침전에 드는 발자국 소리를 들으며'라는 월을 읽으면,
발자국은 소리가 나지 않는데... '발자국 소리'가 아니라 '발걸음 소리'인데...

'땅 바닥에 뭔가를 끄적거렸다.'라는 월을 읽으면,
끄적거리는 게 아니라 끼적거리는 건데...

'누룽지를 후루룩 마셨다'는 월을 보면,
누룽지는 딱딱해서 후루룩 마실 수 없는데... 눌은밥을 후루룩 마셨을 텐데...

이렇게 책을 읽을 때 내용은 뒷전이고,
맞춤법 틀린 곳만 눈에 확 들어옵니다.
저는 내용에 푹 빠지고 싶은데 그렇게 되지 않습니다.
이게 무슨 병일까요?

텔레비전 볼 때는 자막 틀린 게 눈에 확 들어오고,
술 먹을 때는 술병에 붙은 상표에 있는 틀린 글자가 눈에 확 들어옵니다.
도대체 이게 무슨 병이죠?

요즘은 제 딸내미도,
"아빠, 이건 틀린 게 아니라 다른 거죠? 그쵸?"라고 합니다.
딸내미도 증세가 심각합니다.
아마 곧 두 살배기 아들에게까지 전염될 것 같습니다.
어떡하죠?

누구 이 병의 이름을 알면 좀 알려주세요.
치료방법도 같이...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40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115
36 [2013/03/25] 우리말) 비몽사몽과 어리마리 머니북 2013-03-25 9775
35 [2007/09/04] 우리말) 상가, 상갓집, 상가집 id: moneyplan 2007-09-04 10178
34 [2011/12/07] 우리말) 질기둥이 머니북 2011-12-07 10239
33 [2016/07/15] 우리말) 안경을 쓰다/안경을 끼다 머니북 2016-07-15 10651
32 [2010/08/20] 우리말) 올림과 드림 moneybook 2010-08-20 10743
31 [2010/12/06] 우리말) '착하다'의 뜻 moneybook 2010-12-06 10973
30 [2012/07/12] 우리말) 한글로 된 국회의원 선서문 머니북 2012-07-12 11075
29 [2008/01/14] 우리말) 띄어쓰기 틀린 것 몇 개 id: moneyplan 2008-01-14 11130
28 [2015/06/01] 우리말) 우리다 머니북 2015-06-01 11559
27 [2007/02/15] 우리말) 남동풍? 동남풍? id: moneyplan 2007-02-15 11571
26 [2012/08/01] 우리말) 뭔가 야로가 있는 거 같죠? 머니북 2012-08-01 12356
» [2012/07/19] 우리말) '갓길' 댓글 머니북 2012-07-19 12412
24 [2011/04/28] 우리말) 빙부와 빙모 moneybook 2011-04-28 12583
23 [2011/12/05] 우리말) 땐깡과 지다위 그리고... 머니북 2011-12-05 12795
22 [2006/08/14] 우리말) 주니 id: moneyplan 2006-08-14 13016
21 [2012/08/28] 우리말) 초속 40미터 바람 세기 머니북 2012-08-28 13022
20 [2013/03/06] 우리말) 개그맨, 한글 박사가 되다 방송인 정재환 머니북 2013-03-06 13443
19 [2011/11/24]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머니북 2011-11-24 13538
18 [2012/08/10] 우리말) 도합과 모두 머니북 2012-08-10 14617
17 [2013/03/06] 우리말) 세꼬시는 뼈째회로 쓰는 게 좋습니다 머니북 2013-03-06 150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