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1/04] 우리말) 두껍다와 두텁다

조회 수 4532 추천 수 110 2007.01.04 09:46:36
안녕하세요.

어제는 날씨가 무척 포근했는데,
오늘도 그러겠죠?
이런 날씨에는 옷을 두껍게 입지 않아도 되니 좋습니다.
가볍게 옷을 입듯 가벼운 마음으로 쉬운 걸로 나갈게요.

옷을 두껍게 입을까요 두텁게 입을까요?
두껍다와 두텁다를 어떻게 가르죠?

아주 쉽습니다.
눈에 보이는 것에는 두껍다를 쓰고,
눈에 보이지 않는 것에는 두텁다를 쓰시면 됩니다.

곧, '두텁다'는
"신의, 믿음, 관계, 인정 따위가 굳고 깊다."는 뜻으로
두터운 은혜/신앙이 두텁다/친분이 두텁다/정이 두텁다처럼 씁니다.
은혜, 신앙, 친분, 정 따위는 눈에 보이는 게 아니잖아요.

'두껍다'는
"두께가 보통의 정도보다 크다."는 뜻으로
두꺼운 이불/두꺼운 책/두꺼운 입술/추워서 옷을 두껍게 입었다처럼 씁니다.
이불, 책, 입술, 옷 따위는 눈에 보이잖아요.

두텁다와 두껍다를 쉽게 가르실 수 있죠?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대중요법 >> 대증요법]

저희 집 식탁 위에 꿀에 잰 마늘이 있습니다.
제가 무릎이 좋지 않은 것을 아시고,
어머니께서 대중요법에서 들었다면서 만들어 주신 겁니다.

꿀에 잰 마늘이 무릎에 좋은지 나쁜지는 몰라도,
어머니의 사랑을 날마다 먹으면 건강 걱정은 안 해도 되겠죠?

흔히,
남들이 말하는, 보통사람들에게 잘 알려진 치료 방법을 ‘대중요법’이라고 하는데요.

‘병의 원인을 찾아 없애기 곤란한 상황에서, 겉으로 나타난 병의 증상에 대응하여 처치를 하는 치료법’은
‘대중요법’이 아니라 ‘대증요법(對症療法)’입니다.
열이 높을 때에 얼음주머니를 대거나 해열제를 써서 열을 내리게 하는 따위가 이에 속하죠.

보통사람들에게 잘 알려진 치료 방법이라서 대중(大衆)을 떠올리고,
‘대중요법’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대중요법’이라는 낱말은 없습니다.

마늘 참 맛있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49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199
136 [2016/06/20] 우리말) 관청은 알기 쉬운 용어를 써야 한다 머니북 2016-06-21 2297
135 [2015/05/22] 우리말) 코르크 머니북 2015-05-26 2297
134 [2016/04/12] 우리말) 발표할 때... 머니북 2016-04-16 2296
133 [2015/05/18] 우리말) 마침표와 온점 머니북 2015-05-18 2296
132 [2015/09/23] 우리말) '구경하다'와 '좋은 구경 하다' 머니북 2015-09-23 2294
131 [2014/03/28] 우리말) 뜨게부부와 새들꾼 머니북 2014-03-28 2294
130 [2016/03/11] 우리말) '화두'와 '촌스럽다' 머니북 2016-03-14 2293
129 [2015/03/26] 우리말) 2014년 새 낱말 머니북 2015-03-26 2292
128 [2015/02/11] 우리말) 모밀국수와 메일국수 머니북 2015-02-11 2292
127 [2010/09/20] 우리말) 한가위를 맞아 넉넉하게 보내시길 빕니다. moneybook 2010-09-20 2292
126 [2015/07/30] 우리말) 줄다와 준 머니북 2015-08-02 2291
125 [2010/04/30] 우리말) 비게질 id: moneyplan 2010-04-30 2291
124 [2009/04/24] 우리말)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id: moneyplan 2009-04-24 2291
123 [2016/05/20] 우리말) 조으다 -> 좋다 머니북 2016-05-20 2290
122 [2015/07/29] 우리말) 무슨과 몇 머니북 2015-08-02 2290
121 [2015/04/01] 우리말) 누룽지튀각과 눌은밥튀각 머니북 2015-04-01 2290
120 [2016/07/01] 우리말) 감격해하다 머니북 2016-07-06 2289
119 [2015/11/06] 우리말) 싸가지와 거시기 머니북 2015-11-09 2289
118 [2014/12/26] 우리말) 피로해소/원기회복 머니북 2014-12-29 2289
117 [2015/05/06] 우리말) 이팝나무 머니북 2015-05-06 2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