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1/04] 우리말) 농단

조회 수 2324 추천 수 0 2016.11.04 09:29:46

.

안녕하세요.

날씨가 무척 춥네요.

오늘도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
[국정 농단]
요즘 ‘국정 농단’이란 말을 자주 듣는다. ‘농단’은 일상생활에서 흔하게 쓰는 말이 아니므로 그 뜻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많은 이들은 이 말을 ‘국정 희롱’쯤으로 이해하고 있다. 어찌 보면 대통령 등 뒤에서 불쑥 나타난 여인네 하나가 나라의 정치를 희롱한 듯 비춰지기도 한다. 하지만 ‘농단’은 이익이나 권리를 독차지한다는 뜻을 지닌 말이다. ‘국정 농단’은 나라의 정치를 휘어잡고 온갖 이익이나 권리를 독차지해 왔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말이다. 그저 ‘국정 독차지’라고 했으면 누구나 쉽게 알아들었을 것이다.

국정을 독차지한 사람들과 그 경위를 밝혀내야 하는 검찰에게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이것을 언론에서는 굳이 “애로 사항이 있을 것이다.”라고 표현한다. ‘애로’는 “좁고 험한 길”을 뜻하는 한자말인데, 주로 “어떤 일을 하는 데에 장애가 되는 것”이란 뜻으로 쓰이는 말이다. 그렇다면 구태여 ‘사항’을 붙일 것 없이 “애로가 있을 것이다.”라 하면 된다. 이 말보다는 “고충이 있을 것이다.”가 훨씬 쉽고, 나아가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로 바꿔 쓰면 더욱 좋다.

쉬운 말이 있는데도 굳이 어려운 말로 표현하는 버릇은 하루 빨리 고쳐야 할 병이다. 어떤 이익을 놓고 둘 이상이 겨루는 것을 두고, 공문서나 일부 언론에서는 ‘경합’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 말은 본디 우리말에는 쓰이지 않았던 용어로서, 일제 때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외래어라 할 수 있다. 이 말 대신에 우리에게는 ‘경쟁’이라는 한자말이 있다. 마땅히 ‘경합’을 ‘경쟁’으로 고쳐 써야 하며, 나아가 순 우리말인 ‘겨룸’으로 순화해야 한다. 말을 쉽게 다듬어 쓰는 것이 언어의 진화이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쉰둥이와 마흔둥이]

안녕하세요.

아침에 회의가 있어서 편지가 좀 늦었습니다.

'쌍동이'가 아닌 '쌍둥이'가 맞다는 것은 다 아실 겁니다.
끝가지(접미사) '-둥이'는 일부 이름씨(명사)에 붙어 
"그러한 특징을 가진 어린아이" 또는 "그러한 성질을 지닌 사람이나 동물"을 뜻합니다.
귀염둥이, 업둥이, 칠삭둥이, 깜둥이, 바람둥이, 흰둥이, 순둥이 따위가 있습니다.

쉰이 넘어 애를 낳으면 '쉰둥이'라고 합니다.
'마흔둥이'라는 낱말이 사전에 오르지 않은 것을 보면,
마흔둥이는 쉰둥이에 견줘 더 흔했던 것 같습니다.

요즘은 애들이 예전에 비해 적게 태어난다고 합니다.
마흔둥이건 쉰둥이건 애가 태어난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으면 좋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보태기)
우리말편지를 보내는 저를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오늘치 예전에 보낸 편지는
제가 누군지를 소개하는 내용입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28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005
2476 [2006/12/07] 우리말) 자선냄비 id: moneyplan 2006-12-07 5005
2475 [2007/03/29] 우리말) 움츠리다와 옴츠리다 id: moneyplan 2007-03-30 4987
2474 [2017/11/10] 우리말) 곡우와 우전 머니북 2017-11-10 4962
2473 [2011/10/18] 우리말) 끼적거리다와 끄적거리다 머니북 2011-10-18 4919
2472 [2006/11/09] 우리말) 한무릎공부 id: moneyplan 2006-11-09 4894
2471 [2011/07/12] 우리말) 째/체/채 머니북 2011-07-12 4860
2470 [2006/10/17] 우리말) 천상 제날짜에 가야지... id: moneyplan 2006-10-17 4860
2469 [2007/06/29] 우리말) 평이 아니라 제곱미터 id: moneyplan 2007-06-29 4834
2468 [2013/08/19] 우리말) 잘못된 높임말 머니북 2013-08-19 4817
2467 [2007/03/21] 우리말) 파래, 퍼레, 파란색, 파랑색 id: moneyplan 2007-03-21 4809
2466 [2011/07/01] 우리말) 그대 이름은 바람 머니북 2011-07-01 4802
2465 [2006/11/02] 우리말) 제 아들에게 먼지떨음을 했습니다 id: moneyplan 2006-11-02 4798
2464 [2013/07/09] 우리말) 누구와 아무 머니북 2013-07-09 4796
2463 [2007/01/18] 우리말) 두루말이 화장지/두루마리 화장지 id: moneyplan 2007-01-19 4789
2462 [2017/06/08] 우리말) 초콜릿 머니북 2017-06-08 4787
2461 [2014/04/04] 우리말) 사이시옷 머니북 2014-04-08 4777
2460 [2008/02/28] 우리말) 제치다와 제끼다 id: moneyplan 2008-02-28 4774
2459 [2006/09/26] 우리말) 허접 쓰레기? 허섭스레기 id: moneyplan 2006-09-26 4768
2458 [2011/06/22] 우리말) 뼛속과 뱃속 머니북 2011-06-22 4755
2457 [2006/11/03] 우리말) 제고와 재고를 재고해야합니다 id: moneyplan 2006-11-03 4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