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방송 및 각종 언론에 나타나는 실생활에 밀접한 경제뉴스를 간단한 멘트와 함께 클리핑 해드립니다.

부자되는 가계부 머니북(MoneyBook)

www.moneybook.co.kr      070 - 4122 - 2637

2013. 05. 15 (火)      |      vol. 696

 

■ 가계부채 1천100조 육박…1년새 52조원 급증

경기 침체 장기화로 지난해 한국 국민의 진짜 가계 빚이 1천100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주인이 주택을 팔아도 대출금과 전세금을 다 갚지 못하는 '깡통 주택'을 의미하는 담보가치인정비율(LTV) 80% 이상 대출도 3조원을 넘어섰다. 금융 당국의 전방위 대책에도 가계 부채 관리에 '빨간등'이 켜진 셈이다. 지난해 실질 가계부채는 가계신용이 959조4천억원, 소규모 개인기업 대출 등이 139조1천억원이었다. 2011년의 911조9천억원과 134조5천억원에 비해 모두 늘었다. 2000년대 초반 600조원 수준이던 실질 가계부채가 10여 년 만에 갑절이 된 셈이다. [심재훈, 고유선 기자]

[연합뉴스] 기사 더 보기

 

■ 전셋값 턱밑까지 와도 "집 안사요"

집값하락?전세선호에 소형아파트 전세가율 급등 / 전세→매매 전환 6500만원.."그래도 집살 생각 없어" / 부동산침체기 '집에 대한 인식변화' 반영 / 국토교통부가 최근 발표한 ‘2012년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내 집을 꼭 마련하겠다’고 생각하는 국민은 2010년(83.7%)보다 10.9%포인트 감소한 72.8%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젊은 층일수록 이런 경향이 강해 35~44세는 이 비율이 67.7%, 34세 이하는 61.1%에 그쳤다. 중?고소득자의 주거점유율 (자기가 소유한 집에서 거주하는 국민 비율) 역시 3.2~4.9%포인트 감소한 51.8%와 64.6%로 집계됐다. [박종오 기자]

[이데일리] 기사 더 보기

 

■ 사람 잡는 주택 공시가격… 時勢(시세) 추월 기현상

집값, 공시가격 하락률보다 더 떨어졌는데 반영 안 해 / 내야할 세금 그다지 줄지않아… 이의신청 매년 수천 건 "국토부 조사 더 정확해져야" / 부동산 시장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일부 공동주택에서 공시가격이 시세를 초과하는 '역전(逆轉)'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시가격은 재산세 등 각종 세금을 매기는 기준이기 때문에 시세 대비 공시가격 비율이 일정치 않은 것은 과세 형평성 논란을 불러올 수도 있다. 현재 아파트 공시가격은 시세를 평균 71% 반영하고 있다. [이위재 기자]

[조선비즈] 기사 더 보기

 

■ '병 있어도 가입 가능한 보험' 최대 4배 비싸

고혈압이나 당뇨 등 질병이 있어도 가입이 가능한 보험상품들의 보험료가 일반보험에 비해 최대 4배 가량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심사조건을 완화한 간편심사 상품과 무심사 상품의 경우 보험사고위험이 커지는 만큼 동일한 보장의 일반 상품보다 보험료를 높게 책정하고 있다. 예컨대 고혈압?당뇨병이 있어도 보험가입이 가능한 간편심사 암보험은 일반심사 암보험에 비해 보험료가 약 5~10% 비쌌다. 또 중증질병 보유자도 가입이 가능하고, 사망보험금을 지급하는 무심사 보험은 일반심사 상품보다 보험료가 2∼4배 비싸기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일환 기자]

[뉴시스] 기사 더 보기

 

■ 은행 예금이탈 이어져‥'최저 1%대 예금금리 여파'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로 은행권의 정기예금 금리가 최저 연 1%대로 떨어지면서 예금 이탈 현상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지난 9일 기준금리 인하 이후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금리가 떨어지기도 전에 국민?우리?농협 등 주요 은행에서는 예금 이탈이 이어졌다. 14일부터 일부 은행들은 기준금리 인하를 반영해 정기예금 금리를 낮췄다. 영업점 비용을 줄여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주던 다이렉트 정기예금 금리가 연 2%대로 하락하면서 은행권에서 최고 연 3%대 금리를 주는 정기예금은 사실상 사라졌다. 저축은행들도 예금 금리 인하에 나섰다. ◆ 은행 정기예금 금리 연 1%대까지 추락…3% 금리는 사라져 ◆ 저금리에 은행 예금 이탈 가속화될 듯 [김남희 기자]

[조선비즈] 기사 더 보기

 

■ 거주자 생활환경 개선 위한 '대수선 리모델링' 주목

전문가들은 수직증축 리모델링의 비용 부담과 면적 확대 등의 이유로 실제 추진이 어려운 만큼 다른 대안에 눈을 돌려야 한다고 조언한다. 노후화된 공동주택의 주거환경 개선에 초점을 맞춘 현실적인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얘기다. 또 몇 가지 대안 중 '대수선 방식 리모델링'에 주목하고 있다. 대수선 방식이란 건축물의 기둥ㆍ보ㆍ내력벽 등의 구조나 형태를 수선ㆍ변경하거나 증설하는 것으로 주거전용면적을 늘리는 증축 리모델링과 달리 주거전용 및 공용 부분의 재생에 초점을 두고 있다. 특히 거주자 전체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전체 동 또는 단지의 시설을 새롭게 조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대수선 리모델링을 하는 데 드는 비용은 증축 리모델링의 30~70%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추산된다. [신희철 기자]

[서울경제] 기사 더 보기

 

■ 택배기사들, 한 상자 나르고 676원밖에 못 번다

택배시장 年 3000억씩 성장 / 低價입찰 여파로 단가 2200원, 中은 3300원… 한국 너무 낮아 / 勞측 "CJ?대한통운 통합으로 수수료 떨어져" 운송 거부 / 使측 "기사들, 운행면적 줄어 장기적으론 수익 40% 증가" / 국내 최대 택배 회사인 CJ대한통운 일부 택배기사들의 운송 거부 문제가 점점 확대하고 있다. ◇택배 1상자당 택배기사 600원 받아 ◇점점 커지는 택배 시장과 떨어지는 택배 단가 [신은진 기자]

[조선비즈] 기사 더 보기

 

■ 퇴근 후 빙수 한잔? 마음까지 식혀주는 33가지 빙수

아직 5월인데도 서울의 한낮 기온이 27도까지 오르는 요즘, 더위에 지친 마음까지 식혀주는 ‘빙수’ 한 그릇이 간절한 계절이다. ‘빙수’하면 연유 뿌린 팥빙수가 기본이다. 하지만 최근 디저트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은 빙수의 발전은 놀랍다. 옛추억을 떠올리는 팥빙수부터, 각종 과일 빙수, 맥주와 막걸리를 이용한 알코올 빙수까지. 국내 첫 빙수 레시피를 제작?공개한 이가 있다. 자칭 ‘빙수 매니어’ 조영욱(31)씨는 『빙수(氷水)』를 통해 33가지 홈메이드 빙수 레시피를 소개했다. ◇ 김연아에게만 ‘빙질’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 퇴근 후 빙수 한잔? 알코올 빙수 ◇ 평범한 재료로 특별한 빙수를 [석혜원 기자]

[중앙일보] 기사 더 보기

 

계좌통합 기능으로 가계부를 대신 써 주는 머니북(MoneyBook)      www.moneybook.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058 [11/05(火)] 가정경제뉴스 - 주식형펀드 자금 '대탈출'…140조→85조로 줄어 머니북 2013-11-05 5124
1057 [11/04(月)] 가정경제뉴스 - 집값 ‘상승세 반전’ 감감‘… 반전세’ 전환은 가속도 머니북 2013-11-04 5479
1056 [11/01(金)] 가정경제뉴스 - 가계부채 불안 중산층도 덮쳐 머니북 2013-11-01 5343
1055 [10/31(木)] 가정경제뉴스 - “증세 불가피… 조세 저항 덜한 부가세가 1순위” 머니북 2013-10-31 5553
1054 [10/30(水)] 가정경제뉴스 - ‘집값 비싸고 월세는 부담’ 전셋값 61주째 고공 행진 머니북 2013-10-30 5689
1053 [10/29(火)] 가정경제뉴스 - 소비 살아나나..이달 소비자심리지수 17개월 만에 최고 머니북 2013-10-29 6178
1052 [10/28(月)] 가정경제뉴스 - 고삐 풀린 전셋값..겉도는 세입자 금융대책 머니북 2013-10-28 8127
1051 [10/25(金)] 가정경제뉴스 - 공기업 빚갚기, 공공요금이 '봉' 머니북 2013-10-25 5601
1050 [10/24(木)] 가정경제뉴스 - 공기업들 "도로ㆍ수도ㆍ전기 요금 올리겠다" 머니북 2013-10-24 5164
1049 [10/23(水)] 가정경제뉴스 - 국민 10명 중 7명 "현재 집 구입 적기 여부 '부정적'" 머니북 2013-10-23 5137
1048 [10/22(火)] 가정경제뉴스 - 신용카드 4장 이상 만들면 신용등급 하락? 머니북 2013-10-22 5922
1047 [10/21(月)] 가정경제뉴스 - 2050 뚫은 證市.. 外人 매수·개인 환매 계속될 듯 머니북 2013-10-21 5315
1046 [10/18(金)] 가정경제뉴스 - 전세금 반환보증, 깡통주택 세입자에 ‘그림의 떡’ 머니북 2013-10-18 6220
1045 [10/17(木)] 가정경제뉴스 - 동양쇼크 이후.. 달라진 은행·증권사들, 밑줄 그어 "고객님 원금 보장 안됩니다" 머니북 2013-10-17 4976
1044 [10/16(水)] 가정경제뉴스 - 소셜커머스 상품 10개 중 3개는 할인율 뻥튀기 머니북 2013-10-16 5706
1043 [10/15(火)] 가정경제뉴스 - “친환경이네” 당신이 산 제품 2개중 1개는 ‘그린워싱 짝퉁’ 머니북 2013-10-15 5615
1042 [10/14(月)] 가정경제뉴스 - 빚 많은 대기업, 高금리에 현혹되는 개인 투자자들한테 손 벌린다 머니북 2013-10-14 4917
1041 [10/11(金)] 가정경제뉴스 - 모델하우스 구름인파 뒤엔 바람몰이 작전꾼 있다 머니북 2013-10-11 8386
1040 [10/10(木)] 가정경제뉴스 -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 해제 고시…최종 마침표 머니북 2013-10-10 5242
1039 [10/08(火)] 가정경제뉴스 - 개미 투자자 10명 중 9명, 가입한 펀드 이름도 모른다 머니북 2013-10-08 5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