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바람 때문에/시 한 줄 못 쓰고/이마에 손을 얹으면/저 바람이 나를 부르고/나 대신/나무가 흔들리네” -이승훈 ‘저 바람 때문에


"그대들이 의욕하는 바를 언제든 행하라. 하지만 그보다 먼저 의욕할 수 있는 자가 되라."-프리드리히 니체(1900년 오늘 세상 떠난 독일실존철학 선구자(56세), ‘신은 죽었다’는 그의 주장은 20세기 유럽지식인들에 큰 영향, 겨울에도 냉방에서 자야했고, 하루걸러 찾아오는 위경련으로 와인 한잔 담배 한 모금 넘기기 힘들었으며, 시력은 맹인에 가까웠고, 끔찍한 두통에 시달리다 마침내 바이마르 시의 다락방에서 고열과 정신착란으로 세상 떠남, “병은 나를 나 자신으로부터 벗어나게 했다. 나는 삶을 새롭게 발견했다.” “고통은 늘 원인에 대해 묻는다. 반면 쾌락은 제자리에 머물러 뒤도 돌아보려 하지 않는다. 인간은 고통 속에서 점점 더 섬세해진다.” “나는 삶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다. 왜냐하면 나는 삶을 잃을 수 있는 순간을 너무 자주 접했기 때문이다.”, 『권력에의 의지』 『비극의 탄생』 현대독일어로 된 가장 위대한 문학서이자 철학서로 꼽히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는 자비출판했지만 겨우 일곱부 팔림, “운명이란 망치가 그를 가혹하게 때리면 때릴수록 강건한 그의 의지는 맑은 음향을 내면서 울려 퍼졌다.... 그는 더 큰 것, 더 강렬한 고난, 더 깊은 고독, 더 완벽한 고통, 그의 능력으로 해낼 수 있는 최대의 것을 원했다”-슈테판 츠바이크)


1033(고려 덕종 2) 천리장성 쌓기 시작


1451(조선 문종 2) 『고려사』 139권 완성


1936 동아일보, 8월 9일자 지방판에 실었던 베를린올림픽 마라톤 우승 손기정선수의 일장기 삭제사진(이길용 기자 제안, 이상범 미술기자 지움) 다시 실음, 8월 29일 4차 무기정간 당함


1958 뇌염으로 전국 국민학교 휴교령 사망 638명


1972 서울 경복궁에 국립중앙박물관 개관

1977 금산 제2위성통신 지구국 완공

1979 태풍 주디 강타 사망‧실종 135명 피해액 340억원


1986 국립현대미술관 경기도 과천 이전 개관

1988 남북교류특례법안 제정


1990 김옥길 전 이대 총장·문교부 장관 세상 떠남

1991 태풍 글래디스 상륙 울산 545.0mm 사망 103명 재산피해 2,357억원


2009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 발사 실패


2012 태풍 블라벤과 덴빈 잇달아 불어옴(-8.30) 재산피해 6,365억원

2014 한국 리틀야구대표팀 2014 리틀야구 월드시리즈 전승 29년 만의 우승

2014 부산 포함 남부지역에 시간당 130㎜ 폭우 사망 5명, 정부 특별재난지역 선포

- 고리 원전2호기 가동 중단(순환수펌프가 멈춘 사실을 은폐하려 중단했다는 의혹도 있음), 지하철과 열차 침수하거나 선로 유실로 운행 일부 중단, 건물침수피해 4,545동, 창원 시내버스가 하천에 휩쓸려 승객 등 7명 목숨 잃음

2015 남북 고위급협상(판문점 2+2) 43시간 만에 극적 타결

2017 서울중앙지법 아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뇌물공여 등 5개 혐의 징역 5년 실형 선고, 2018.2.5 서울고법 징역 2년 6월 집행유예 4년 선고해 이재용 부회장 석방됨, 2019년 8월 29일 대법원 파기환송, 2021년 1월 18일 파기환송심에서 뇌물혐의 유죄 인정 징역 2년 6개월 법정구속, 1월 25일 재상고 포기, 8월 13일 가석방 2022년 8월 12일 복궘


2021 국어학자 이수열 세상 떠남(94세)

2022 한국수력원자력 이집트원전 2차계동 건설(3조원 규모) 수주




1227 초원의 정복자 칭기즈칸(‘광명의 신’이라는 뜻) 몽골 제국 칸 세상 떠남


1819 영국 발명가 제임스 와트 세상 떠남(83세), 증기기관 개량에 힘써 영국 산업혁명의 발판 마련, 일의 단위인 W(와트)는 그의 이름에서 따온 것

1822 대망원경 제작자·항성천문학의 개조·독일 출신 영국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 세상 떠남(86세) 『이중성일록』 『성단목록』


1908 방사능 발견한 프랑스 물리학자 앙투안 앙리 베크렐 세상 떠남(55세) 1903년 퀴리 부부와 함께 노벨물리학상 받음, 방사능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 베크렐(Bq)은 그의 이름을 딴 것


1944 2차 대전 중 연합군 파리 입성


1958 일본의 산시쇼쿠산(현재 닛산식품) 세계 최초로 즉석 라면(치킨라면) 생산

1959 중국-인도 국경분쟁 표면화


1960 제17회 로마올림픽 열림, 한국선수단이 단 한 개의 메달도 따지 못한 유일한 대회

1961 브라질 군부쿠데타 자니우 쿠아드루스 대통령 취임 7개월 만에 사임(후임 하니에리 마질리)


1972 중국의 첫 거부권 행사로 방글라데시 유엔 가입 부결

1975 제5회 비동맹제국 외상회의(30일까지 페루의 리마) 북한 가입


1980 폴란드 자유노조(솔리다리떼) 허용

1984 방사능물질 대량 적재한 프랑스 화물선 벨기에 해상에서 침몰


1991 우크라이나 등 8개 공화국 소연방으로부터 독립선언


2012 최초로 달에 발 디딘 미국 우주인 닐 암스트롱 세상 떠남(73세)

2017 허리케인 하비(8.19 발생) 미국 텍사스 강타(8.25 휴스턴에서 소멸) 일주일간 폭우 1320mm 사망 최소 82명, 국제원유가격 일시적 인상, 미국 고용자 수 7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

2017 미얀마 무슬림 소수민족 로힝야 인종청소 시작됨, 9월 24일까지 한 달간 로힝야 족 6,700명 이상 학살, 다섯 살 미만 어린이 730명, 난민 62만 명 학살 피해서 방글라데시로 감



[출처] 2023년 8월 25일 금요일|작성자 주책다방 지키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029 [역사 속 오늘] 03/23(1775) 패트릭 헨리, “자유냐 죽음이냐” 연설 머니북 2013-03-25 13912
5028 [역사 속 오늘] 11/29(1987) 대한항공기 공중폭발, 탑승객 115명 모두 목숨 잃음 머니북 2011-11-29 13901
5027 [역사 속 오늘] 12/12(1979) 12.12 군반란사건. 머니북 2011-12-12 13653
5026 [역사 속 오늘] 12/08(1900) 태극기 규정, 흰 바탕 길이2척 넓이1척 태극 7촌 청홍색 머니북 2011-12-08 13414
5025 [역사 속 오늘] 07/28(1914) 1차대전 일어남 머니북 2012-07-30 12945
5024 [역사 속 오늘] 11/24(1859)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 출판 머니북 2011-11-24 12816
5023 [역사 속 오늘] 02/18(1930) 톰보, 해왕성 바깥에서 명왕성 발견 머니북 2013-02-18 12795
5022 [역사 속 오늘] 02/25(1983) 북한군장교 이웅평, 미그17기 몰고 귀순 머니북 2013-02-25 12574
5021 [역사 속 오늘] 05/27(1987)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발족 sok0145 2010-05-27 12359
5020 [역사 속 오늘] 08/17(1975) 장준하, 등산 중 의문의 추락사 머니북 2012-08-18 12339
5019 [역사 속 오늘] 03/20(1995) 일본 동경 출근길 지하철에서 사린 독가스 살포사건 발생 머니북 2013-03-20 11667
5018 [역사 속 오늘] 12/20(1519) 정암 조광조 기묘사화로 사약받고 세상 떠남 머니북 2011-12-20 11627
5017 [역사 속 오늘] 03/08(1445) 훈민정음으로 쓴 최초의 작품 용비어천가 완성 머니북 2013-03-09 11624
5016 [역사 속 오늘] 2021(4354). 9. 17(금) 음력 8.11 무진 도박중독추방의 날 머니북 2021-09-19 11309
5015 [역사 속 오늘] 07/29(1946) 비키니 수영복, 파리 패션쇼에 처음 등장 머니북 2012-07-30 11131
5014 [역사 속 오늘] 12/04(1884) 갑신정변 일어남. 머니북 2011-12-05 11114
5013 [역사 속 오늘] 2019(4352). 2. 5(화) 음력 1.1 계유 설날 첫닭날(상유일) 머니북 2019-02-07 11053
5012 [역사 속 오늘] 08/05(527) 이차돈 순교, 불교공인 머니북 2012-08-06 10864
5011 [역사 속 오늘] 12/02(1972) 남북조절위 본회의 제1차 회의 개회(서울) 머니북 2011-12-02 10852
5010 [역사 속 오늘] 12/03(1921) 임경재 최두선 등 최초의 민간학술단체 조선어연구회 창립 머니북 2011-12-05 10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