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떠나고 침대 방향 바꾸었다/내가 할 수 있는 일은 그것뿐/이불과 베개 새것으로 바꾸고/벽으로 놓던 흰머리 창가로 두고 잔다/밤새 은현리 바람에 유리창 덜컹거리지만/나는 그 소리가 있어 잠들고/그 소리에 잠깬다, 빈방에서/적막 깊어 아무 소리 들을 수 없다면/나는 무덤에 갇힌 미라였을 것이다, 내가/내 손목 긋는 악몽에 몸서리쳤을 것이다/먹은 것 없어도 저녁마다 체하고/밤에 혼자 일어나, 열 손가락/열 발가락 바늘로 따며/내 검은 피 다시 붉어지길 기다린다/이별은 언제나 예고 없이 온다는 것을/어리석은 사람은 어리석어 잊고 산다/어리석어 내 생을 담은 한 잔 물이/잠시 심하게 흔들렸을 뿐이다/단지 그것뿐이다”-정일근 ‘그 후’


“머리가 똑똑해 옳은 소리 하면서 비판을 자주 하는 사람보다 가슴이 따뜻해 무언가를 나누어주려고 궁리하는 사람, 친구의 허물도 품어줄 줄 아는 사람, 타인의 고통을 민감하게 느끼는 사람이 되세요.”-혜민 스님


1865(조선 고종 2) 프랑스 신부(유앙, 브르트니에르, 볼류, 도리 등) 충청도 내포 상륙, 이들은 병인박해(1866) 때 목숨 잃음, 1984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집전 미사(여의도)에서 한국 성인 103인에 오름

1898(대한제국 광무 2) 시위연대 발족


1925 관서체육회 제1회 전국축구대회 개최

1927 김활란 최은희 황신덕 등 근우회(신간회의 자매단체, 여성운동의 단일전선) 조직


1946 서울서 공창 폐지


1961 부흥부를 건설부로 이름 고침

1963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박정희 대통령 후보 지명

1966 일본 우리나라에서 약탈해간 문화재 2,328점 돌려보냄

1967 경인고속도로 기공

1968 워싱턴서 제1차 한미국방장관회담 열림, 한국의 공동방위 재확인하는 공동성명 발표


1971 서울대 및 단과대학 휴업령(6월 24일 해제)

1972 프랑스 1377년(고려 우왕 3) 제작된 금속활자본 『직지심경』 공개, 세계최초 금속활자 사용국 공인

1974 검찰 민청학련 사건 발표


1980 신군부세력 민중항쟁이 일어난 광주를 무력으로 진압, 계엄군 도청접수 위한 충정작전 시작, 윤상원 등 도청에 끝까지 남았던 시민군 사망

1987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약칭 국본) 발족

-- 86년 5.3 인천사태 이후 집중적인 탄압을 받아오던 재야운동세력들이 87년 5월 민통연 등 재야운동단체와 신민당 등 정치단체와 결합해 만든 전국민적 투쟁단체로서 그 발기선언문을 통해 “지금까지 고립 분산적으로 표시되어오던 호헌반대민주화운동을 하나의 큰 물결로 결집시키고 전국민 속으로 확산시키는 데 뜻을 모았다.”고 선언.

-- 6월 10일 범국민규탄대회에 이어 6월 26일 평화대행진 등 전국적인 반독재 국민항쟁을 이끌어 마침내 집권세력으로부터 6.29선언 받아냄

1988 평화의 댐 1단계 공사 완공


1991 북한 외교부 유엔가입결정 성명 발표

1994 북한 외국인기업법 시행규정과 자유무역항 규정 발표


2011 병인양요(1866년) 때 프랑스군이 약탈한 외규장각 의궤(297책) 모두 돌려받음

2014 스타케미칼 해고자복직투쟁위원회 차광호 대표 45m 굴뚝 고공농성 시작

2016 박근혜 대통령 청문회 활성화하도록 한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1525 독일 종교개혁가·농민전쟁 지도자 토마스 뮌처 처형당함

1564 프랑스 종교개혁가 장 칼뱅 세상 떠남


1840 바이올린의 대가 니콜로 파가니니 세상 떠남

-- “오직 악마만이 그런 기술을 가르쳐 줄 수 있는 것”이라 하여 ‘악마’라는 명성을 가졌던 파가니니는 연주 도중 세 개의 바이올린 줄을 끊고 나머지 줄만으로도 훌륭히 연주


1905 일본군 러시아 발틱 함대를 동해서 격파


1910 독일 세균학자 로베르트 코흐 세상 떠남(67세), 결핵균 발견(1882년 3월 24일) 공로로 노벨생리의학상(1905년) 받음, 콜레라와 탄저병의 원인이 콜레라균과 탄저균에 있음 밝혀냄


1941 영국 해군 독일전함 비스마르크 호 격침


1952 영국 프랑스 등 유럽 6개국 유럽공동방위체(EDC) 조약 조인


1964 자와할랄 네루 인도 초대총리 세상 떠남


1987 미국-베트남 관계정상화 합의


2003 ‘트로피칼 모더니즘’으로 알려진 스리랑카 건축가 제프리 바와(Jeffery Bawa) 세상 떠남(83세)

2009 방글라데시와 인도 초대형 사이클론 아일라 사망 123명 이재민 수십만 명


2016 오바마 미대통령 원폭투하 71년 만에 현직대통령으론 처음 일본 히로시마 방문




[출처] 2022년 5월 27일 금요일|작성자 주책다방 지키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033 [역사 속 오늘] 2021(4354). 2.13(토) 음력 1.2 임진 첫용날 세계 라디오의 날(World Radio Day) 머니북 2021-02-16 20262
5032 [역사 속 오늘] 12/05(2007) 개성관광 시작 머니북 2011-12-05 19958
5031 [역사 속 오늘] 07/26(1945) 포츠담 선언 발표 머니북 2012-07-26 18717
5030 [역사 속 오늘] 12/15(2006) 반기문 외교부장관, 임기5년 유엔사무총장 선출됨 머니북 2011-12-15 17372
5029 [역사 속 오늘] 12/25(1977) 찰리 채플린 세상 떠남 머니북 2011-12-25 17362
5028 [역사 속 오늘] 08/06(1610) 구암 허준, <동의보감> 25권 완성 머니북 2012-08-06 17268
5027 [역사 속 오늘] 08/04(1930) 백범 김구, 상해임시정부 국무령 취임 머니북 2012-08-04 17237
5026 [역사 속 오늘] 12/16(1689) 영국 권리장전 공포 머니북 2011-12-16 16486
5025 [역사 속 오늘] 07/19(1882) 임오군란 일어남 머니북 2012-07-19 16270
5024 [역사 속 오늘] 02/23(1980) 서울대병원 의공학과팀 인공췌장 개발 머니북 2013-02-25 16204
5023 [역사 속 오늘] 07/11(1875) 백범 김구 태어남 머니북 2012-07-11 15518
5022 [역사 속 오늘] 07/30(1863) 미국의 자동차왕 헨리 포드 태어남 머니북 2012-07-30 15498
5021 [역사 속 오늘] 02/20(1928) 의열단 김지섭 의사 뇌일혈로 지바형무소에서 옥중순국 머니북 2013-02-20 15397
5020 [역사 속 오늘] 12/17(668) 고구려 멸망, 신라 삼국통일 머니북 2011-12-19 15016
5019 [역사 속 오늘] 02/22(1894) 갑신정변 주역 김옥균, 중국 상해에서 조선정부가 보낸 자객 홍종우에게 암살당함 머니북 2012-02-22 14869
5018 [역사 속 오늘] 03/04(1933) 미국 루스벨트대통령 뉴딜정책 선언 머니북 2013-03-04 14794
5017 [역사 속 오늘] 03/13(1940) 임시정부 국무총리 지낸 독립운동가 이동녕 세상 떠남 머니북 2013-03-13 14760
5016 [역사 속 오늘] 03/15(BC44) 시저, 브루투스에게 죽음 머니북 2013-03-15 14685
5015 [역사 속 오늘] 12/07(2007) 태안앞바다 기름유출사고 머니북 2011-12-07 14373
5014 [역사 속 오늘] 2018(4351). 4.27(금) 음력 3.12 기축 머니북 2018-04-27 14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