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다리지 않아도 오고/기다림마저 잃었을 때에도 너는 온다./../..바람이/흔들어 깨우면/눈 부비며 너는 더디게 온다./더디게 더디게 마침내 올 것이 온다./너를 보면 눈부셔/../너, 먼데서 이기고 돌아온 사람아.”-이성부 ‘봄’

3월 22일 오늘은 세계 물의 날 1992년 제47차 유엔총회에서 물 문제의 심각성, 물관리의 중요성, 국가간 협력증진의 중요성 알리고 수자원보호 위해 제정, 우리나라는 1990년에 7월 1일을 '물의 날'로 정했다가 1995년부터 세계 물의 날 행사에 본격적으로 참여 2017년의 슬로건은 '하수(Wastewater)' 우리나라 주제는 '하수의 재발견, 그리고 지속가능한 발전'

-- 유엔 지원을 받는 세계수자원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에서 하루 5천명 이상(15초마다 한 명)의 어린이가 물 부족으로 죽어감, 해마다 600만 명이 트라코마로 시각장애인 되며 1200만 명이 장티푸스 걸림, 오염된 물을 마셔서 걸리는 병은 설사 콜레라 장티푸스 소아마비 A형 간염 등

-- 현재 지구표면에 있는 물의 양은 13억8,600만㎦, 97.5%가 바닷물/인간이 쓸 수 있는 물은 2.5%/쓸 수 있는 물의 68.9%가 빙하나 만년설 29.9%가 지하수 0.3%가 담수호 및 하천 0.9%가 흙 속에 포함되어 있음

-- 1993년 우리나라를 물부족국가로 분류한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는 유엔 산하기관 아닌 사설연구소, PAI가 우리나라를 물부족국가로 분류한 기준도 근거가 없음

-- 우리나라 연간강수량은 1,267억톤, 570억톤(45%)은 공기중으로 증발/396억톤(31%)은 바다로 흘러듬/쓸 수 있는 물은 301억톤(24%) 하천172억톤(14%) 댐저장수103억톤(8%) 지하수26억톤(2%) 생활용수(62억톤) 농업용수(149억톤) 공업용수(26억톤) 하천유지용수(64억톤)

-- 하루에 쓰는 물의 양은 미국 378리터, 우리나라 178.2리터, 에티오피아 5리터

1229(고려 고종 16) 삼사(三司)의 문장고(文帳庫) 불에 탐

1624(조선 인조 2) 이괄, 부하인 기익헌 등의 배신으로 죽음

1897(대한제국 광무 1) 미국인 모스 인천 우각현에서 경인선 건설 시작

-- 자금난으로 중단되었다가 일본이 다시 공사 시작해 1898년에 완공

1946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열림

1947 남로당 지도 아래 남한 일대 24시간 총파업

1961 2대 악법(반공법 데모규제법) 반대 서울시민궐기대회 대규모시위

1962 윤보선 대통령 정치정화법에 불만 표시하고 사임

1965 단일변동환율제 실시

1967 북한 조선중앙통신 부사장 이수근 판문점 통해 귀순

-- 1969년 중앙정보부는 위장귀순이라고 발표, 이수근은 재판을 받고 1969.7.2 사형집행. 2007년 1월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는 이수근 사건이 중앙정보부 조작이라 결론

1967 금강대교 기공식

1968 울산에 석유화학계열 공업단지 기공

1969 서울 3.1고가도로 개통

1973 남해대교 개통

1973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 부근 고분 발굴 착수

1975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저수지 벽골제 발견

1975 한승헌 변호사 반공법 위반혐의로 구속

1977 사학자 김상기 세상 떠남

1980 여자 핸드볼 첫 올림픽 출전권 획득

1990 한국-체코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

1991 서울-평양-연길-바로아(소련) 4개 도시 친선축구대회 개최 결정

1993 한-미-일 3국 북한 핵문제관련 뉴욕 실무회의. 김영삼 정부 ‘신경제100일계획’ 확정발표

1995 홍천 내촌면 5개 초등학교 화상수업 시작

1996 한국동성애자인권운동협의회 발족

2004 국회 일제강점 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정

2013 정부조직법 공포안 국무회의 의결 17부3처17청으로 개편

1384 명나라 과거 제도 공포

1832 독일 문호 요한 볼프강 폰 괴테(1749-1832) 세상 떠남 『파우스트』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1868 노벨상(1923년) 수상자인 미국 물리학자 밀리컨 태어남

1895 파리에서 최초의 무성영화 상영

1945 아랍연맹 결성

1972 미국 상원 남녀평등 인정하는 헌법수정안 가결

2001 만화영화 ‘톰과 제리’ 제작자 윌리엄 해너 세상 떠남

2008 타이완 총통선거 야당 국민당의 마잉주(馬英九) 후보 당선

2016 벨기에 브뤼셀 공항과 지하철 역에서 IS 연쇄폭탄테러 34명 숨짐 230여 명 다침. 버락 오바마 미국대통령 현직 대통령으론 88년 만에 쿠바 방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013 [역사 속 오늘] 03/23(1775) 패트릭 헨리, “자유냐 죽음이냐” 연설 머니북 2013-03-25 13854
5012 [역사 속 오늘] 11/29(1987) 대한항공기 공중폭발, 탑승객 115명 모두 목숨 잃음 머니북 2011-11-29 13843
5011 [역사 속 오늘] 12/12(1979) 12.12 군반란사건. 머니북 2011-12-12 13599
5010 [역사 속 오늘] 12/08(1900) 태극기 규정, 흰 바탕 길이2척 넓이1척 태극 7촌 청홍색 머니북 2011-12-08 13360
5009 [역사 속 오늘] 07/28(1914) 1차대전 일어남 머니북 2012-07-30 12889
5008 [역사 속 오늘] 11/24(1859)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 출판 머니북 2011-11-24 12776
5007 [역사 속 오늘] 02/18(1930) 톰보, 해왕성 바깥에서 명왕성 발견 머니북 2013-02-18 12748
5006 [역사 속 오늘] 02/25(1983) 북한군장교 이웅평, 미그17기 몰고 귀순 머니북 2013-02-25 12523
5005 [역사 속 오늘] 08/17(1975) 장준하, 등산 중 의문의 추락사 머니북 2012-08-18 12292
5004 [역사 속 오늘] 05/27(1987)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발족 sok0145 2010-05-27 12287
5003 [역사 속 오늘] 03/20(1995) 일본 동경 출근길 지하철에서 사린 독가스 살포사건 발생 머니북 2013-03-20 11612
5002 [역사 속 오늘] 12/20(1519) 정암 조광조 기묘사화로 사약받고 세상 떠남 머니북 2011-12-20 11581
5001 [역사 속 오늘] 03/08(1445) 훈민정음으로 쓴 최초의 작품 용비어천가 완성 머니북 2013-03-09 11562
5000 [역사 속 오늘] 2021(4354). 9. 17(금) 음력 8.11 무진 도박중독추방의 날 머니북 2021-09-19 11241
4999 [역사 속 오늘] 07/29(1946) 비키니 수영복, 파리 패션쇼에 처음 등장 머니북 2012-07-30 11080
4998 [역사 속 오늘] 12/04(1884) 갑신정변 일어남. 머니북 2011-12-05 11073
4997 [역사 속 오늘] 08/05(527) 이차돈 순교, 불교공인 머니북 2012-08-06 10805
4996 [역사 속 오늘] 12/02(1972) 남북조절위 본회의 제1차 회의 개회(서울) 머니북 2011-12-02 10802
4995 [역사 속 오늘] 12/03(1921) 임경재 최두선 등 최초의 민간학술단체 조선어연구회 창립 머니북 2011-12-05 10713
4994 [역사 속 오늘] 12/24(1987) 허영호, 에베레스트 등정 머니북 2011-12-25 10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