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겨울 아침을/눈은 내리네.//저 눈은 너무 희고/저 눈의 소리 또한 그윽하므로//내 이마를 숙이고 빌까 하노라/임이여 설운 빛이/그대의 입술을 물들이나니/그대 또한 저 눈을 사랑하는가.//눈은 내리어/우리 함께 빌 때러라.”-김용호 ‘눈이 내리네’

“2월 20일, 전 영국에 국기가 휘날리고 만세 소리가 진동하게 될 대관식날 아침. 만세! 만세! 어제 저녁부터 처마 끝과 길바닥에 앉아서 자리를 잡고 이중삼중으로 사람의 울타리를 쌓고 기다리고 있던 길가 시민들의 열광과 환호 속에 기쁨의 예장으로 몸치장을 한 톰 캔티는 아름답게 장식한 말을 타고 지나갔다. 그 유유한 태도, 품위 있고 귀여운 얼굴, 그가 실은 오파르 뒷골목 거지의 자식이라는 것을 누가 짐작이나 하겠는가?”-마크 트웨인 『왕자와 거지』

2월 20일 세계 사회 정의의 날(World Day of Social Justice)(UN)

1259(고려 고종 46) 강화 마니산 이궁(離宮 임금이 특별한 일이 있을 때 거처하던 궁) 건립

1452(조선 문종 2) 김종서 등 『고려사절요』 편찬 착수

1897(조선 고종 34) 고종 러시아 공사관으로 거처 옮긴지 1년 만에 덕수궁으로 돌아옴

1907 보성전문(고려대 전신) 세운 친러파 정치인 이용익 연해주에서 세상 떠남

1916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수궁가 기능보유자 박초월 태어남

-- 김정문과 송만갑에게서 창 배우고 17세 때 전국명창대회 1등으로 이름 떨침, 국악의 해외소개에도 앞장서 세계 음악인들의 눈길을 끔

1920 한인 비행사양성소 설립

1928 의열단 김지섭 의사 뇌일혈로 지바형무소에서 옥중순국

1931 건축가 김수근 태어남

1938 안익태의 ‘한국환상곡’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초연

1968 향토예비군설치법안 국무회의 의결

1968 재일동포 김희로 13명 인질로 일본경찰과 대치(김희로 사건)

1969 가정의례준칙 확정

1982 『칼 맑스의 생애』 등 이데올로기 서적 최초로 시판 허용

1985 구정 이름을 ‘민속의 날’로 바꾸고 공휴일로 지정

1990 체코 프라하에 무역관 개설

2014 3년 4개월 만에 금강산에서 남북이산가족 상봉(-2.25까지)

1816 로시니 오페라 ‘세비야의 이발사’ 로마에서 초연

-- 같은 제목의 오페라 발표한 파이젤로의 추종자들이 의도적으로 소동 일으켰고 배우가 옷에 휘감겨 꼼짝 못하는 등 불상사까지 일어나 공연장은 매우 시끄러웠고, 초연을 직접 지휘한 로시니는 “꼭 암살당할 것 같은 공포를 느꼈다”고 바그너에게 실토했다고 함

-- 로시니는 게을러서 침대에 누워 작곡했고, 악보가 바닥에 떨어지면 그것을 줍기 귀찮아 다시 썼다고 함

1927 이탈리아 시인 마리네티 파리 피가로지에 ‘미래파 선언’ 발표 “우리는 선언하노니 보편적인 다이내미즘이 동적인 감정으로 표현되어야 하며 운동과 빛이 대상의 본질을 파괴하지 않으면 안 된다.” We proclaim that universal dynamism must be rendered as dynamic sensation; that movement and light destroy the substance of objects.

1946 소련 일본령 사할린과 구나시리 동북방 4개 섬 소련영토로 편입시킴

1947 인도 독립

1962 존 글렌 미국인 처음으로 지구궤도비행

-- 머큐리 계획에 따른 첫 유인인공위성 ‘프랜드십 7호’ 타고 지구궤도 세 바퀴 돔(4시간 55분 23초) 인류사상 최초의 지구궤도비행은 소련의 가가린(글렌보다 거의 1년 앞선 1961년 4월 12일)

-- 한국전 참전했던 글렌은 해병대 대령으로 제대하고 1974년 오하이오 상원의원이 됨 1998년(77세)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 타고 최고령 우주비행

1970 소련 핵잠수함공장 폭발 볼가 강 방사능에 오염

1979 영국 북아일랜드정부 얼스터 의용군에 징역 906년 선고

1987 브라질 외채이자 90일간 지불유예 선언

1993 데 클레르크 남아공 대통령 처음으로 유색인 각료 임명

2012 일본 폭설 103명 사망 663명 중상

2014 우크라이나 경찰특공대 반정부시위대에 발포 100여 명 사망 500여 명 부상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4247 [역사 속 오늘] 10/19(1933) 조선어학회, 한글맞춤법통일안 마련 머니북 2011-10-19 3008
4246 [역사 속 오늘] 04/04(1968) 미국 흑인인권운동가 마르틴 루터 킹 목사(1964년 노벨평화상 수상) 피살 머니북 2013-04-04 3005
4245 [역사 속 오늘] 09/08(1934) 무장투쟁에 앞장선 독립운동가 양세봉 친일파와 일본군에게 사살됨 머니북 2014-09-10 3003
4244 [역사 속 오늘] 01/24(1930) 김좌진 장군 북만주 산시역 앞에서 옛 부하에게 피살 머니북 2012-01-25 3002
4243 [역사 속 오늘] 2020(4353). 6.19(금) 음력 윤4.28 계사 머니북 2020-06-19 3000
4242 [역사 속 오늘] 08/04(1930) 백범 김구, 상해임시정부 국무령 취임 머니북 2013-08-04 2998
4241 [역사 속 오늘] 09/17(1965) 안익태 스페인에서 세상 떠남 머니북 2011-09-19 2996
4240 [역사 속 오늘] 10/08(1895) 명성황후 일본인에게 시해 당함. 머니북 2011-10-09 2994
4239 [역사 속 오늘] 2020(4353). 6.12(금) 음력 윤4.21 병술 세계 아동노동반대의 날(World Day Against Child Labour) 머니북 2020-06-15 2992
4238 [역사 속 오늘] 04/07(1948) 세계보건기구(WHO) 발족 머니북 2013-04-08 2992
4237 [역사 속 오늘] 01/23(662) 연개소문, 사수에서 당나라군대 대파 머니북 2012-01-25 2992
4236 [역사 속 오늘] 06/11(2011) 한진중공업 파업 지원하는 1차 희망버스 16대 출발 머니북 2013-06-11 2991
4235 [역사 속 오늘] 04/28(1545) 충무공 이순신 태어남 머니북 2013-04-29 2990
4234 [역사 속 오늘] 2017(4350).11.26(일) 음력 10.9 정사 머니북 2017-11-24 2989
4233 [역사 속 오늘] 01/21(1793) 프랑스혁명, 루이16세 처형 머니북 2013-01-21 2989
4232 [역사 속 오늘] 04/04(1970) 서울에 콜택시 처음 등장. moneybook 2011-04-04 2985
4231 [역사 속 오늘] 04/26(1986) 소련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4호기 폭발 머니북 2013-04-26 2984
4230 [역사 속 오늘] 06/19(1977) 최초의 원자력발전소 고리 원자력발전소 1호기(출력 59만5천kw) 점화 머니북 2012-06-19 2984
4229 [역사 속 오늘] 10/27(1905) 대한제국 칙령 47호로 대한적십자사 발족 머니북 2012-10-28 2983
4228 [역사 속 오늘] 07/05(1987) 연세대생 이한열, 최루탄 맞은 지 27일만에 세상 떠남 머니북 2012-07-05 2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