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겨울 아침을/눈은 내리네.//저 눈은 너무 희고/저 눈의 소리 또한 그윽하므로//내 이마를 숙이고 빌까 하노라/임이여 설운 빛이/그대의 입술을 물들이나니/그대 또한 저 눈을 사랑하는가.//눈은 내리어/우리 함께 빌 때러라.”-김용호 ‘눈이 내리네’

“2월 20일, 전 영국에 국기가 휘날리고 만세 소리가 진동하게 될 대관식날 아침. 만세! 만세! 어제 저녁부터 처마 끝과 길바닥에 앉아서 자리를 잡고 이중삼중으로 사람의 울타리를 쌓고 기다리고 있던 길가 시민들의 열광과 환호 속에 기쁨의 예장으로 몸치장을 한 톰 캔티는 아름답게 장식한 말을 타고 지나갔다. 그 유유한 태도, 품위 있고 귀여운 얼굴, 그가 실은 오파르 뒷골목 거지의 자식이라는 것을 누가 짐작이나 하겠는가?”-마크 트웨인 『왕자와 거지』

2월 20일 세계 사회 정의의 날(World Day of Social Justice)(UN)

1259(고려 고종 46) 강화 마니산 이궁(離宮 임금이 특별한 일이 있을 때 거처하던 궁) 건립

1452(조선 문종 2) 김종서 등 『고려사절요』 편찬 착수

1897(조선 고종 34) 고종 러시아 공사관으로 거처 옮긴지 1년 만에 덕수궁으로 돌아옴

1907 보성전문(고려대 전신) 세운 친러파 정치인 이용익 연해주에서 세상 떠남

1916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수궁가 기능보유자 박초월 태어남

-- 김정문과 송만갑에게서 창 배우고 17세 때 전국명창대회 1등으로 이름 떨침, 국악의 해외소개에도 앞장서 세계 음악인들의 눈길을 끔

1920 한인 비행사양성소 설립

1928 의열단 김지섭 의사 뇌일혈로 지바형무소에서 옥중순국

1931 건축가 김수근 태어남

1938 안익태의 ‘한국환상곡’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초연

1968 향토예비군설치법안 국무회의 의결

1968 재일동포 김희로 13명 인질로 일본경찰과 대치(김희로 사건)

1969 가정의례준칙 확정

1982 『칼 맑스의 생애』 등 이데올로기 서적 최초로 시판 허용

1985 구정 이름을 ‘민속의 날’로 바꾸고 공휴일로 지정

1990 체코 프라하에 무역관 개설

2014 3년 4개월 만에 금강산에서 남북이산가족 상봉(-2.25까지)

1816 로시니 오페라 ‘세비야의 이발사’ 로마에서 초연

-- 같은 제목의 오페라 발표한 파이젤로의 추종자들이 의도적으로 소동 일으켰고 배우가 옷에 휘감겨 꼼짝 못하는 등 불상사까지 일어나 공연장은 매우 시끄러웠고, 초연을 직접 지휘한 로시니는 “꼭 암살당할 것 같은 공포를 느꼈다”고 바그너에게 실토했다고 함

-- 로시니는 게을러서 침대에 누워 작곡했고, 악보가 바닥에 떨어지면 그것을 줍기 귀찮아 다시 썼다고 함

1927 이탈리아 시인 마리네티 파리 피가로지에 ‘미래파 선언’ 발표 “우리는 선언하노니 보편적인 다이내미즘이 동적인 감정으로 표현되어야 하며 운동과 빛이 대상의 본질을 파괴하지 않으면 안 된다.” We proclaim that universal dynamism must be rendered as dynamic sensation; that movement and light destroy the substance of objects.

1946 소련 일본령 사할린과 구나시리 동북방 4개 섬 소련영토로 편입시킴

1947 인도 독립

1962 존 글렌 미국인 처음으로 지구궤도비행

-- 머큐리 계획에 따른 첫 유인인공위성 ‘프랜드십 7호’ 타고 지구궤도 세 바퀴 돔(4시간 55분 23초) 인류사상 최초의 지구궤도비행은 소련의 가가린(글렌보다 거의 1년 앞선 1961년 4월 12일)

-- 한국전 참전했던 글렌은 해병대 대령으로 제대하고 1974년 오하이오 상원의원이 됨 1998년(77세)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 타고 최고령 우주비행

1970 소련 핵잠수함공장 폭발 볼가 강 방사능에 오염

1979 영국 북아일랜드정부 얼스터 의용군에 징역 906년 선고

1987 브라질 외채이자 90일간 지불유예 선언

1993 데 클레르크 남아공 대통령 처음으로 유색인 각료 임명

2012 일본 폭설 103명 사망 663명 중상

2014 우크라이나 경찰특공대 반정부시위대에 발포 100여 명 사망 500여 명 부상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007 [역사 속 오늘] 03/31(1981) 언론중재위원회 발족 머니북 2013-04-01 2612
1006 [역사 속 오늘] 03/30(1867) 미국, 알래스카를 720만$에 러시아로부터 사들임 머니북 2013-04-01 3118
1005 [역사 속 오늘] 03/29(2001) 인천국제공항, 8년4개월만에 개항(공사비 7조8천억원) 머니북 2013-03-29 2720
1004 [역사 속 오늘] 03/28(1969) 김수환대주교, 국내 첫 추기경 서품 머니북 2013-03-28 2694
1003 [역사 속 오늘] 03/27(1592) 이순신 장군, 거북선 진수 머니북 2013-03-27 2721
1002 [역사 속 오늘] 03/26(2010) 서해 백령도 서남방 해상에서 천안함 침몰, 승조원 104명중 46명 목숨 잃음 머니북 2013-03-26 2731
1001 [역사 속 오늘] 03/25(1983) 인류최초로 인공심장 이식받은 바니 클라크 세상 떠남 머니북 2013-03-25 8284
1000 [역사 속 오늘] 03/24(1998) 영화 <타이타닉>, 아카데미상 11개부문 상 받음 머니북 2013-03-25 10204
999 [역사 속 오늘] 03/23(1775) 패트릭 헨리, “자유냐 죽음이냐” 연설 머니북 2013-03-25 13905
998 [역사 속 오늘] 03/22(1895) 파리에서 최초의 무성영화 상영 머니북 2013-03-22 2743
997 [역사 속 오늘] 03/21(2001) 정주영 현대룹 명예회장 86세로 세상 떠남 머니북 2013-03-21 2783
996 [역사 속 오늘] 03/20(1995) 일본 동경 출근길 지하철에서 사린 독가스 살포사건 발생 머니북 2013-03-20 11664
995 [역사 속 오늘] 03/19(1902) 우리나라 처음으로 전화 개통(서울-인천) 머니북 2013-03-19 2881
994 [역사 속 오늘] 03/18(1997) 삼미특수강 부도, 한보철강 부도 이후 연쇄부도 시작 머니북 2013-03-18 3182
993 [역사 속 오늘] 03/17(1957) 필리핀대통령 막사이사이 비행기사고로 세상 떠남 머니북 2013-03-18 2965
992 [역사 속 오늘] 03/16(1420) 세종대왕, 왕실연구기관 집현전 설치 머니북 2013-03-18 2940
991 [역사 속 오늘] 03/15(BC44) 시저, 브루투스에게 죽음 머니북 2013-03-15 14726
990 [역사 속 오늘] 03/14(1936) 단재 신채호 여순감옥에서 세상 떠남 머니북 2013-03-14 2796
989 [역사 속 오늘] 03/13(1940) 임시정부 국무총리 지낸 독립운동가 이동녕 세상 떠남 머니북 2013-03-13 14801
988 [역사 속 오늘] 03/12(2004) 국회, 헌정사상 처음으로 대통령 탄핵소추 머니북 2013-03-13 6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