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는/운명 같은 건 없다./있는 건 오로지/새날/풋기운!//운명은 혹시/저녁이나 잠에/무거운 걸음으로/다가올지는 모르겠으나,/아침에는/운명 같은 건 없다."-정현종 '아침'

7월은 민어 철. 민어 배를 따고 깨끗이 씻어 맑은 볕에 말려 포를 만들면 그 짭짤하고 쫄깃한 맛이 찬밥 물 말아 먹는데 반찬으로 최고. 싱싱한 민어는 회 떠서 먹고, 애호박 숭숭 썰어 넣고 고추장 풀고 수제비 건듯 띄워 매운탕 끓이면 맛이 일품
7월8일 오늘은 작가의 날(Writer's Day)

  881(신라 헌강왕 7) 최치원 ‘토황소격문’ 지음

1592(조선 선조 25) 이순신 장군 한산대첩 대승

1900 노량진-서울역 공사완료, 경인선 전구간 개통 

1950 대한학도의용대 결성
1951 휴전예비회담 열림

1967 김형욱 중앙정보부장 동베를린 거점 북한 대남공작단사건 발표
- 유럽에 유학했거나 유학중인 대학교수와 유학생 등 지식인들이 동베를린 주재 북한공작단에 포섭되어 1958-67년 사이에 평양에서 북한노동당에 입당한 뒤 거액의 공작금 받고 이적활동 해왔다는 것
- 건국이후 최대의 정보사범사건, 구속 107명 학계 문화계 저명인사 등 관련자 194명, 유럽에서 활동하던 작곡가 윤이상과 화가 이응로 포함, 천상병 시인도 연루되어 고문 당함, 교민과 유학생은 서독에서 중앙정보부 요원들에게 납치되어 강제로 끌려왔기 때문에 서독과 외교문제 빚어짐
- 67.12.3 선고공판에서 2명(조영수 정규명) 사형 4명(정하룡 강반구 윤이상 어준) 무기징역 등 34명 유죄판결, 대법원 최종심에서는 간첩혐의 유죄판결 없음, 무기징역 윤이상은 유럽에서 활동하는 음악인들과 독일정부의 항의로 복역 2년 만에 석방
- 국가정보원 과거사건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는 2006.1.26 당시 정부가 단순 대북접촉과 동조행위에 국가보안법과 형법상의 간첩죄를 무리하게 적용해 사건의 외연과 범죄사실을 확대·과장했다 밝히고, 사건조사과정에서의 불법연행과 가혹행위 등의 사과를 정부에 권고
1968 유엔군사령부 국군에 작전권 대폭이양

1970 남산 2호 터널 관통
1971 공주에서 백제 무령왕(제25대)릉 발굴 “고고학자로 여러 발굴현장에 참여했지만 처음 겪는 감격적인 순간이었으며 그 많은 백제유물을 앞에 두고 보니 아찔할 정도였다.”-김원룡(무령왕릉 발굴 총지휘)
- 송산리 제5,6호 고분 침수방지공사과정에서 우연히 발견, 두 고분의 중간 바로 위 지점에 3,4m의 소나무들이 들어서있는 이 고분군을 단순히 6호 고분에 흘러드는 지하수를 막기 위한 인조언덕이거나 그냥 산줄기로만 여겼음
- 외국인의 힘 빌리지 않고 우리 손으로 처음 이루어진 발굴작업은 10월까지 계속되어 무령왕 개인의 일이 기록되어 있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지석 등 108종 2,906점의 유물 출토, 출토된 부장품들은 백제가 일본에 문화를 전파했다는 사료 입증에 크게 공헌, 석수 금제 관식 등 12건 17점 국보로 지정
- 발굴현장을 7월 8일부터 13일까지 6일 동안 2만 명이 넘는 인파가 찾음, 너무 성급한 발굴로 많은 문제 발생
1977 애국가 작곡한 안익태 사후 12년 만에 국립묘지에 묻힘(1965년 59세로 세상 떠남)

1988 정부 중공을 중국으로 부르기로 결정

1991 전국 15개 시도의회 30년 만에 개원
1994 북한 김일성 주석 세상 떠남, 심근경색과 심장 쇼크 합병, 남북정상회담 무산

2015 박근혜 대통령의 ‘배신의 정치’ 당사자로 몰린 유승민 의원 원내대표 물러남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임을 천명한 우리 헌법 1조 1항의 지엄한 가치를 지키고 싶었다”-유승민
2016 한-미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배치 공식 발표



1621 라퐁텐 태어남 <우화집> “황금알을 낳는 닭을 가진 한 사나이가 닭의 몸속에 보물이 든 줄 알고 닭을 죽이고 배를 갈라보았으나 보통 닭과 조금도 다름이 없었다. 욕심이 많으면 모두 다 얻으려다 송두리째 잃는 법이다.”

1815 나폴레옹의 백일천하 끝남
1822 영국 낭만파 시인 셀리(1792-1822) 세상 떠남 “예언의 나팔이여! 오 바람이여!/겨울이 오면 봄도 멀지 않으리!”The trumpet of a prophecy! O, Wind!/If the Winter Comes, can Spring be far behind? “노래하면서 날고, 날면서 노래하여라.” And singing still doth soar, and soaring ever singest.
1839 미국 석유왕 록펠러 태어남

1913 제2차 발칸전쟁 일어남
1914 손문 도쿄에서 중화혁명당 결성

1972 팔레스타인 소설가 가산 카니파니(36세) 폭탄 폭발로 세상 떠남
1979 중국 외국인투자 허용하는 합작투자법률 공포

1988 대만 이등휘 총통 국민당 주석으로 뽑힘

2014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공격, 8월26일 공격 중단 때까지 팔레스타인인 2,139명 살해, 이스라엘인 70명 숨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487 [역사 속 오늘] 2018(4351). 1.14(일) 음력 11.28 병오 머니북 2018-01-15 1937
2486 [역사 속 오늘] 08/19(1839) 프랑스화가 루이 다게르, 사진술 발명 머니북 2015-08-19 1937
2485 [역사 속 오늘] 07/20(1969) 인류최초로 달 착륙 머니북 2015-07-20 1937
2484 [역사 속 오늘] 06/26(1949) 백범 김구, 안두희의 총에 맞아 세상 떠남 머니북 2015-06-26 1937
2483 [역사 속 오늘] 03/29(2001) 인천국제공항 8년4개월만에 개항(공사비 7조8천억원) 머니북 2015-03-30 1937
2482 [역사 속 오늘] 12/18(1965) 한일협정발효 한일국교정상화 머니북 2014-12-18 1937
2481 [역사 속 오늘] 2017(4350). 9.21(목) 음력 8.2 신해 국제적 휴전과 비폭력의 날(세계 평화의 날) 세계치매극복의 날 머니북 2017-09-21 1936
2480 [역사 속 오늘] 07/11(1974) 비상보통군법회의, 인혁당 피고인 7명 사형 8명 무기 선고 머니북 2015-07-12 1936
2479 [역사 속 오늘] 2020(4353). 5. 9(토) 음력 4.17 임자 세계공정무역의 날 머니북 2020-05-11 1935
2478 [역사 속 오늘] 2020(4353). 2. 5(수) 음력 1.12 무인 첫호랑이날(상인일) 머니북 2020-02-05 1934
2477 [역사 속 오늘] 06/22(1965) 한일협정 정식조인(도쿄) 머니북 2015-06-22 1934
2476 [역사 속 오늘] 2019(4352). 1.11(금) 음력 12.6 무신 머니북 2019-01-11 1933
2475 [역사 속 오늘] 07/08(1592) 이순신장군 한산대첩 대승 머니북 2015-07-08 1933
2474 [역사 속 오늘] 2017(4350). 9.10(일) 음력 7.20 경자 세계자살예방의 날(World Suicide Prevention Day) 머니북 2017-09-11 1932
2473 [역사 속 오늘] 10/11(1996) OECD 한국가입 초청 결정(29번째로 가입) 머니북 2014-10-13 1931
2472 [역사 속 오늘] 2017(4350). 9.30(토) 음력 8.11 경신 머니북 2017-10-20 1930
2471 [역사 속 오늘] 07/18(1994) 박홍 서강대총장, 주사파발언 파문 머니북 2015-07-20 1930
2470 [역사 속 오늘] 06/20(1963) 주민등록법 시행 머니북 2015-06-21 1929
2469 [역사 속 오늘] 01/16(1944) 시인 이육사 베이징감옥에서 세상 떠남 머니북 2015-01-16 1928
2468 [역사 속 오늘] 2020(4353) 5. 4(월) 음력 4.12 정미 국제 소방관의 날(International Firefighters' Day) 머니북 2020-05-04 1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