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개비 서린/이른 봄날/산길을 걷자//어느 추억으로도/마음 달랠 길 없을 때/손짓하는 자연의 손길//보송보송 다시 살아나/빛나는 몸으로 일어서는/산을 맞으러 가자//그곳에 파랗게 눈떠 가는/나무를 찾아서//언젠가 심은 그 나무 찾아서”-김후란 ‘언젠가 심은 나무’

3월22일 오늘은 세계 물의 날 1992년 제47차 유엔총회에서 물 문제의 심각성, 물관리의 중요성, 국가간 협력증진의 중요성 알리고 수자원보호 위해 제정, 우리나라는 1990년에 7월 1일을 '물의 날'로 정했다가 1995년부터 세계 물의 날 행사에 본격적으로 참여 2014년의 슬로건은 물과 에너지(Water & Energy)
-- 유엔 지원을 받는 세계수자원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에서 하루 5천명 이상(15초마다 한 명)의 어린이가 물 부족으로 죽어감, 해마다 600만 명이 트라코마로 시각장애인 되며 1200만 명이 장티푸스 걸림, 오염된 물을 마셔서 걸리는 병은 설사 콜레라 장티푸스 소아마비 A형 간염 등 
-- 현재 지구표면에 있는 물의 양은 13억8,600만㎦, 97.5%가 바닷물/인간이 쓸 수 있는 물은 2.5%/쓸 수 있는 물의 68.9%가 빙하나 만년설 29.9%가 지하수 0.3%가 담수호 및 하천 0.9%가 흙 속에 포함되어 있음
-- 1993년 우리나라를 물부족국가로 분류한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는 유엔산하기관 아닌 사설연구소, PAI가 우리나라를 물부족국가로 분류한 기준도 근거가 없음
-- 우리나라 연간강수량은 1,267억톤, 570억톤(45%)은 공기중으로 증발/396억톤(31%)은 바다로 흘러듬/쓸 수 있는 물은 301억톤(24%) 하천172억톤(14%) 댐저장수103억톤(8%) 지하수26억톤(2%) 생활용수(62억톤) 농업용수(149억톤) 공업용수(26억톤) 하천유지용수(64억톤)
-- 하루에 쓰는 물의 양은 미국 378리터, 우리나라 178.2리터, 에티오피아 5리터

1229(고려 고종 16) 삼사(三司)의 문장고(文帳庫) 불에 탐

1624(조선 인조 2) 이괄, 부하인 기익헌 등의 배신으로 죽음

1897(대한제국 광무 1) 미국인 모스 인천 우각현에서 경인선 건설 시작
-- 자금난으로 중단되었다가 일본이 다시 공사 시작해 1898년에 완공

1946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열림
1947 남로당 지도 아래 남한 일대 24시간 총파업 

1961 2대 악법(반공법 데모규제법) 반대 서울시민궐기대회 대규모시위
1962 윤보선 대통령 정치정화법에 불만 표시하고 사임
1965 단일변동환율제 실시
1967 북한 조선중앙통신 부사장 이수근 판문점 통해 귀순
-- 1969년 중앙정보부는 위장귀순이라고 발표, 이수근은 재판을 받고 1969.7.2 사형집행. 2007년 1월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는 이수근 사건이 중앙정보부 조작이라 결론 
1967 금강대교 기공식
1968 울산에 석유화학계열 공업단지 기공
1969 서울 3.1고가도로 개통

1973 남해대교 개통
1973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 부근 고분 발굴 착수
1975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저수지 벽골제 발견
1975 한승헌 변호사 반공법 위반혐의로 구속
1977 사학자 김상기 세상 떠남

1980 여자 핸드볼 첫 올림픽 출전권 획득

1990 한국-체코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
1991 서울-평양-연길-바로아(소련) 4개 도시 친선축구대회 개최 결정
1993 한-미-일 3국 북한 핵문제와 관련해 뉴욕 실무회의. 김영삼 정부 ‘신경제100일계획’ 확정발표
1995 홍천 내촌면 5개 초등학교 화상수업 시작
1996 한국동성애자인권운동협의회 발족

2004 국회 일제강점 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정

2013 정부조직법 공포안 국무회의 의결 17부3처17청으로 개편



1384 명나라 과거 제도 공포

1832 독일 문호 요한 볼프강 폰 괴테(1749-1832) 세상 떠남 <파우스트>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1868 노벨상(1923년) 수상자인 미국 물리학자 밀리컨 태어남
1895 파리에서 최초의 무성영화 상영

1945 아랍연맹 결성

1972 미국 상원 남녀평등 인정하는 헌법수정안 가결

2001 만화영화 ‘톰과 제리’ 제작자 윌리엄 해너 세상 떠남
2008 타이완 총통선거 야당 국민당의 마잉주(馬英九) 후보 당선

2016 벨기에 브뤼셀 공항과 지하철 역에서 IS 연쇄폭탄테러 34명 숨짐 230여 명 다침. 버락 오바마 미국대통령 현직 대통령으론 88년 만에 쿠바 방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4893 [역사 속 오늘] 11/09(1919) 항일독립운동단체 의열단, 만주 길림성서 결성(단장 김원봉) moneybook 2010-11-09 3427
4892 [역사 속 오늘] 11/12(1866) 중국 혁명가 손문 태어남 moneybook 2010-11-12 2937
4891 [역사 속 오늘] 11/13(1970) 전태일, 분신자살. moneybook 2010-11-13 3259
4890 [역사 속 오늘] 11/14(1915) 아인슈타인, 상대성이론 발표. moneybook 2010-11-15 3097
4889 [역사 속 오늘] 11/15(1988) 동요작곡가 윤극영 세상떠남. moneybook 2010-11-15 3285
4888 [역사 속 오늘] 11/16(1995) 노태우, 부정축재혐의구속 moneybook 2010-11-16 3108
4887 [역사 속 오늘] 11/17(1905) 을사늑약 체결조인. moneybook 2010-11-17 3618
4886 [역사 속 오늘] 11/18(1906) 평민 의병장 신돌석 세상떠남. moneybook 2010-11-18 3315
4885 [역사 속 오늘] 11/19(1598) 이순신장군 세상 떠남. moneybook 2010-11-19 3399
4884 [역사 속 오늘] 11/20(1910) 톨스토이 세상 떠남. moneybook 2010-11-20 3125
4883 [역사 속 오늘] 11/21(1972) 유신헌법안 국민투표 실시 moneybook 2010-11-21 3120
4882 [역사 속 오늘] 11/22(1966) 독립운동가 강제 신숙 세상 떠남. moneybook 2010-11-22 3489
4881 [역사 속 오늘] 11/23(1988) 전두환 전 대통령, 대국민사과 후 강원도 인제 백담사로 떠남. moneybook 2010-11-23 3372
4880 [역사 속 오늘] 11/24(1859) 찰스 다윈의 &lt;종의 기원&gt; 출판 moneybook 2010-11-24 3125
4879 [역사 속 오늘] 11/25(1929) 독립운동가 김좌진 피살 moneybook 2010-11-25 3202
4878 [역사 속 오늘] 11/26(2001) 국가인권위원회 출범 moneybook 2010-11-26 3651
4877 [역사 속 오늘] 11/27(1954) 4사5입 개헌 파동 moneybook 2010-11-28 3393
4876 [역사 속 오늘] 11/28(1864) 독립운동가 서재필 태어남 moneybook 2010-11-28 3339
4875 [역사 속 오늘] 11/29(1987) 대한항공기 공중폭발, 탑승객 115명 모두 목숨 잃음 moneybook 2010-11-29 3390
4874 [역사 속 오늘] 11/30(2002) 서울 광화문에서 2000명 참석 최초의 촛불시위 열림. moneybook 2010-11-30 3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