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개비 서린/이른 봄날/산길을 걷자//어느 추억으로도/마음 달랠 길 없을 때/손짓하는 자연의 손길//보송보송 다시 살아나/빛나는 몸으로 일어서는/산을 맞으러 가자//그곳에 파랗게 눈떠 가는/나무를 찾아서//언젠가 심은 그 나무 찾아서”-김후란 ‘언젠가 심은 나무’

3월22일 오늘은 세계 물의 날 1992년 제47차 유엔총회에서 물 문제의 심각성, 물관리의 중요성, 국가간 협력증진의 중요성 알리고 수자원보호 위해 제정, 우리나라는 1990년에 7월 1일을 '물의 날'로 정했다가 1995년부터 세계 물의 날 행사에 본격적으로 참여 2014년의 슬로건은 물과 에너지(Water & Energy)
-- 유엔 지원을 받는 세계수자원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에서 하루 5천명 이상(15초마다 한 명)의 어린이가 물 부족으로 죽어감, 해마다 600만 명이 트라코마로 시각장애인 되며 1200만 명이 장티푸스 걸림, 오염된 물을 마셔서 걸리는 병은 설사 콜레라 장티푸스 소아마비 A형 간염 등 
-- 현재 지구표면에 있는 물의 양은 13억8,600만㎦, 97.5%가 바닷물/인간이 쓸 수 있는 물은 2.5%/쓸 수 있는 물의 68.9%가 빙하나 만년설 29.9%가 지하수 0.3%가 담수호 및 하천 0.9%가 흙 속에 포함되어 있음
-- 1993년 우리나라를 물부족국가로 분류한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는 유엔산하기관 아닌 사설연구소, PAI가 우리나라를 물부족국가로 분류한 기준도 근거가 없음
-- 우리나라 연간강수량은 1,267억톤, 570억톤(45%)은 공기중으로 증발/396억톤(31%)은 바다로 흘러듬/쓸 수 있는 물은 301억톤(24%) 하천172억톤(14%) 댐저장수103억톤(8%) 지하수26억톤(2%) 생활용수(62억톤) 농업용수(149억톤) 공업용수(26억톤) 하천유지용수(64억톤)
-- 하루에 쓰는 물의 양은 미국 378리터, 우리나라 178.2리터, 에티오피아 5리터

1229(고려 고종 16) 삼사(三司)의 문장고(文帳庫) 불에 탐

1624(조선 인조 2) 이괄, 부하인 기익헌 등의 배신으로 죽음

1897(대한제국 광무 1) 미국인 모스 인천 우각현에서 경인선 건설 시작
-- 자금난으로 중단되었다가 일본이 다시 공사 시작해 1898년에 완공

1946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열림
1947 남로당 지도 아래 남한 일대 24시간 총파업 

1961 2대 악법(반공법 데모규제법) 반대 서울시민궐기대회 대규모시위
1962 윤보선 대통령 정치정화법에 불만 표시하고 사임
1965 단일변동환율제 실시
1967 북한 조선중앙통신 부사장 이수근 판문점 통해 귀순
-- 1969년 중앙정보부는 위장귀순이라고 발표, 이수근은 재판을 받고 1969.7.2 사형집행. 2007년 1월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는 이수근 사건이 중앙정보부 조작이라 결론 
1967 금강대교 기공식
1968 울산에 석유화학계열 공업단지 기공
1969 서울 3.1고가도로 개통

1973 남해대교 개통
1973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 부근 고분 발굴 착수
1975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저수지 벽골제 발견
1975 한승헌 변호사 반공법 위반혐의로 구속
1977 사학자 김상기 세상 떠남

1980 여자 핸드볼 첫 올림픽 출전권 획득

1990 한국-체코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
1991 서울-평양-연길-바로아(소련) 4개 도시 친선축구대회 개최 결정
1993 한-미-일 3국 북한 핵문제와 관련해 뉴욕 실무회의. 김영삼 정부 ‘신경제100일계획’ 확정발표
1995 홍천 내촌면 5개 초등학교 화상수업 시작
1996 한국동성애자인권운동협의회 발족

2004 국회 일제강점 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정

2013 정부조직법 공포안 국무회의 의결 17부3처17청으로 개편



1384 명나라 과거 제도 공포

1832 독일 문호 요한 볼프강 폰 괴테(1749-1832) 세상 떠남 <파우스트>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1868 노벨상(1923년) 수상자인 미국 물리학자 밀리컨 태어남
1895 파리에서 최초의 무성영화 상영

1945 아랍연맹 결성

1972 미국 상원 남녀평등 인정하는 헌법수정안 가결

2001 만화영화 ‘톰과 제리’ 제작자 윌리엄 해너 세상 떠남
2008 타이완 총통선거 야당 국민당의 마잉주(馬英九) 후보 당선

2016 벨기에 브뤼셀 공항과 지하철 역에서 IS 연쇄폭탄테러 34명 숨짐 230여 명 다침. 버락 오바마 미국대통령 현직 대통령으론 88년 만에 쿠바 방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5033 [역사 속 오늘] 06/16(1998) 정주영 회장, 소 500마리 끌고 북한방문 moneybook 2010-06-16 6027
5032 [역사 속 오늘] 06/17(1949) 국회 지방자치법안 가결. moneybook 2010-06-17 5662
5031 [역사 속 오늘] 06/18(1977) 물리학자 이휘소 세상 떠남 moneybook 2010-06-18 6167
5030 [역사 속 오늘] 06/19(1623) 프랑스 철학자/수학자 파스칼 태어남.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이다" moneybook 2010-06-19 5842
5029 [역사 속 오늘] 06/20(1991) 30년 만에 지방자치 부활 moneybook 2010-06-20 6179
5028 [역사 속 오늘] 06/21(1908) 윤봉길 의사 태어남 moneybook 2010-06-21 5840
5027 [역사 속 오늘] 06/22(1965) 한일협정, 동경에서 정식 조인. moneybook 2010-06-22 5701
5026 [역사 속 오늘] 06/23(2010) 한국 처음으로 월드컵 원정 16강 진출 moneybook 2010-06-23 5437
5025 [역사 속 오늘] 06/24(2009) 가곡 &lt;명태&gt;부른 바리톤 오현명 세상 떠남(85세) moneybook 2010-06-24 6774
5024 [역사 속 오늘] 06/25(2009) 마이클 잭슨 13년만의 월드투어 앞두고 갑자기 세상 떠남. moneybook 2010-06-25 6303
5023 [역사 속 오늘] 07/01(1995) 34년만의 완전한 지방자치 시작. moneybook 2010-07-01 6416
5022 [역사 속 오늘] 07/02(1896) 서재필 윤치호 등 독립협회 창립. moneybook 2010-07-05 6531
5021 [역사 속 오늘] 07/03(1907) 헤이그 밀사 사건 moneybook 2010-07-05 6178
5020 [역사 속 오늘] 07/04(1776) 미국 독립선언 moneybook 2010-07-05 6229
5019 [역사 속 오늘] 07/05(1987) 연세대생 이한열, 최루탄 맞은 지 27일만에 세상 떠남. moneybook 2010-07-05 5770
5018 [역사 속 오늘] 07/06(1928) 미국에서 세계 최초로 발성영화 등장. moneybook 2010-07-06 5633
5017 [역사 속 오늘] 07/07(1970) 경부고속도로 준공 moneybook 2010-07-07 5717
5016 [역사 속 오늘] 07/08(1592) 이순신 장군, 한산대첩에서 대승. moneybook 2010-07-08 5272
5015 [역사 속 오늘] 07/09(660) 계백 장군, 황산벌 격전 moneybook 2010-07-09 5411
5014 [역사 속 오늘] 07/10(1907) 최초로 마산 근로자, 야학 개강 moneybook 2010-07-10 5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