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8/24] 우리말) 여우다와 여의다

조회 수 4297 추천 수 0 2017.08.31 15:50:08

.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여우다'와 '여의다' - 성기지 운영위원
무더위가 한풀 꺾이면서 예식장이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아들딸을 다 키워놓으면 자기들끼리 짝을 이뤄서 부모 곁을 떠나는데, 우리말에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을 뜻하는 ‘여의다’와 ‘여우다’가 있다.
‘여의다’는 “부모나 사랑하는 사람이 죽어서 이별하다.”란 뜻으로 쓰는 말이다. 그런데 어느 때부턴가 이 말을 “딸을 여의다.”처럼 ‘딸을 시집보내다’라는 뜻으로도 쓰게 되었다. 본디 딸을 시집보내는 것을 이르는 우리말은 ‘여의다’가 아니라 ‘여우다’이다. “아랫마을 김씨네가 막내딸을 여운다고 해.”처럼 요즘도 시골 어르신들이 자주 쓰는 말이다. 그런데 ‘여우다’가 ‘여의다’와 발음이 비슷한데다가, 아주 옛날에는 딸을 시집보내고 나면 다시는 볼 수 없었기 때문에 마치 죽어서 이별한 것과 다름없다 하여 그 슬픈 심정을 “딸을 여의다.”로 에둘러 표현했던 것이다. 그러다가 오늘날에는 아예 딸을 시집보낸다는 뜻의 ‘여우다’는 표준말에서 비껴나 버리고 ‘여의다’만이 표준말이 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여우다’는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뚜렷하게 살아있는 순 우리말이다. 이제 문화도 많이 달라져서 딸을 시집보낸다고 해서 못 보게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딸을 여의다.”는 말은 맞지 않게 되었다. 하루빨리 ‘여우다’를 표준말의 자리에 찾아 앉혀서, 딸이 세상을 떠났을 때는 “딸을 여의다.”라고 하고, 딸을 시집보낼 때는 “딸을 여우다.”라고 하여 뜻을 뚜렷하게 구분하여 사용했으면 한다. 우리말을 가멸게 하는 길은 멀리 있지 않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1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매듭]
안녕하세요.

설 잘 쇠셨죠?
저는 설 잘 쇠고 잘 쉬었습니다. ^^*

벌써 1월이 지나갔습니다.
올해 초에 세운 계획을 하나하나 잘 매듭지으며 나가야 연말에 좋은 성과를 얻을 것 같습니다.

우리말에 '매듭'이 있습니다.
노, 실, 끈 따위를 잡아매어 마디를 이룬 것.
어떤 일에서 순조롭지 못하게 맺히거나 막힌 부분.
일의 순서에 따른 결말.
『수공』끈이나 실 따위를 잡아매어 마디를 이루는 원리로 장식, 실용 따위에 응용하는 여러 가지 방법 및 그 공예
라는 뜻입니다.

매듭이라고 하면 그저 끈 따위를 잡아매어 마디를 이룬 것이라고만 알고 계시지만,
"어떤 일에서 순조롭지 못하게 맺히거나 막힌 부분"이나 "일의 순서에 따른 결말"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며칠 전에 입춘이 지났습니다.
매듭을 잘 풀어 연말에 멋진 매듭을 지을 수 있도록 열심히 삽시다.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41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125
2676 [2009/07/0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7-09 2198
2675 [2015/01/06] 우리말) 개개다와 개기다 머니북 2015-01-06 2200
2674 [2010/02/12] 우리말) 설날에 예법에 맞는 세배 해보세요 id: moneyplan 2010-02-12 2205
2673 [2015/08/04] 우리말) 그러거나 말거나 머니북 2015-08-04 2207
2672 [2009/01/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1-09 2209
2671 [2009/06/01] 우리말) 안녕과 앞날 id: moneyplan 2009-06-01 2210
2670 [2015/12/23] 우리말) 올해 읽은 책을 소개합니다 머니북 2015-12-24 2212
2669 [2016/03/31] 우리말) 감치다 머니북 2016-04-01 2213
2668 [2009/01/07] 우리말) 흐지부지 [1] id: moneyplan 2009-01-07 2214
2667 [2014/10/20] 우리말) 웨하스 머니북 2014-10-21 2215
2666 [2014/05/30] 우리말) 안갚음 머니북 2014-05-30 2222
2665 [2016/07/06] 우리말) 어수룩해지려고 귀촌하는가? 머니북 2016-07-06 2222
2664 [2009/09/03] 우리말) 징크스 id: moneyplan 2009-09-03 2224
2663 [2014/12/12] 우리말) 놈팽이와 놈팡이 머니북 2014-12-12 2225
2662 [2010/10/18] 우리말) 있습니다와 있음 moneybook 2010-10-18 2226
2661 [2012/03/05] 우리말) 돌잔치 머니북 2012-03-05 2227
2660 [2012/12/28] 우리말) 매무시와 매무새 머니북 2012-12-28 2227
2659 [2015/12/02] 우리말) 속박이 머니북 2015-12-02 2227
2658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229
2657 [2015/02/02] 우리말) 되갚을 것은 없다 머니북 2015-02-02 2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