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3/27] 우리말) 이유와 원인

조회 수 2608 추천 수 0 2017.03.27 10:13:53

.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이유와 원인]
우리나라의 출산율이 세계 최저 수준이라고 한다. 그래서 몇몇 언론매체에서는 인구 절벽이니 재앙이니 하는 말들로 위기감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재앙과도 같은 출산율 저하의 이유는 무엇인가?”, 또 “출산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원인은 무엇인가?”라는 기사문이 눈에 뜨인다. 같은 사건을 두고 ‘이유’와 ‘원인’이라는 낱말을 쓰고 있지만 이 두 말은 의미가 다르다. ‘어떤 결과가 일어난 까닭’을 말할 때는 ‘원인’이 맞다. 따라서 “출산율 저하의 이유”가 아니라 “출산율 저하의 원인”이라 해야 한다. 이에 비해 ‘이유’는 ‘어떤 주장이나 행동의 근거’를 말할 때 쓴다. “당신이 이곳에 온 이유가 무엇인가요?”처럼 사용하는 말이다. 이것을 “당신이 이곳에 온 원인이 무엇인가요?”라 하면 올바른 표현이 아니다.
이처럼 비슷한 뜻을 지니고 있지만 문맥에 맞게 구별해 써야 하는 말들이 꽤 많다. 방송을 보면, ‘자생하다’와 ‘서식하다’를 자연 속에서 동물과 식물이 무리지어 사는 것으로 뒤섞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둘 또한 구별해서 써야 하는 말이다. ‘자생하다’는 식물에 해당하며, ‘서식하다’는 동물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식물은 고산지대에 자생하고 있다.”라 해야 하고, 반면에 “쉬리는 동강에 서식하고 있다.”처럼 써야 한다. 서로 바꾸어 쓸 수는 없다.
‘마침’이란 말과 ‘공교롭게’란 말도 서로 비슷한 말이긴 하지만, 실제 용법이 다르기 때문에 잘 가려 써야 하는 말들이다. ‘마침’은 “마침 지나가던 차가 있어서 지각을 면했다.”처럼 긍정적인 상황에 쓰인다. 그러나 ‘공교롭게’는 “공교롭게 지나가던 행인이 차에 치였다.”처럼 부정적인 사태에 쓰인다는 차이가 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내드린 편지입니다.

[나가다와 나아가다]

안녕하세요.

오늘부터 전국에 분향소가 마련되고 돌아가신 46분에 대한 추모가 이어집니다.
아직도 왜 돌아가셨는지 원인 규명이 안 되었지만,
나라를 위해 군에서 돌아가신 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돌아가신 분들의 희생을 헛되이 하지 않고자 우리는 다시 나아가야 합니다.


오늘은 나가다와 나아가다를 알아보겠습니다.

'나가다'는 말 그대로 밖으로 나가는 것입니다.
그러나 
'나아가다'는 "앞으로 향하여 가다. 또는 앞을 향하여 가다."는 뜻이 있습니다.
그는 아무나 만날 수 있을 때까지 앞으로 나아가기로 하였다.
관직에 나아가다,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께 효도하고, 싸움에 나아가 물러나지 않고, 친구를 사귀되 신의로써 한다.
한 걸음을 더 나아가 왼쪽으로 돌아라
처럼 씁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869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4284
2556 [2016/02/16] 우리말) 덕분/때문 머니북 2016-02-16 2373
2555 [2016/05/20] 우리말) 조으다 -> 좋다 머니북 2016-05-20 2374
2554 [2015/04/17] 우리말) 피로연 머니북 2015-04-17 2376
2553 [2015/07/30] 우리말) 줄다와 준 머니북 2015-08-02 2376
2552 [2010/07/15] 우리말) 본데와 본때 moneybook 2010-07-15 2377
2551 [2015/04/23] 우리말) 영화 어벤져스(2) 머니북 2015-04-24 2379
2550 [2015/08/20] 우리말) 배지 머니북 2015-08-20 2381
2549 [2015/03/26] 우리말) 2014년 새 낱말 머니북 2015-03-26 2382
2548 [2015/07/21] 우리말) 개발과 계발 머니북 2015-07-22 2382
2547 [2015/07/29] 우리말) 무슨과 몇 머니북 2015-08-02 2384
2546 [2015/09/23] 우리말) '구경하다'와 '좋은 구경 하다' 머니북 2015-09-23 2384
2545 [2014/11/18] 우리말) 난이도 머니북 2014-11-18 2385
2544 [2015/07/16] 우리말) 밥맛없다와 밥맛 없다 머니북 2015-07-16 2385
2543 [2016/09/19] 우리말) 한가위 머니북 2016-11-01 2385
2542 [2010/07/02] 우리말) 굴지와 불과 moneybook 2010-07-02 2386
2541 [2014/09/03] 우리말) 과자 봉지에 우리글보다 외국어를 더 크게 쓴다고? 머니북 2014-09-03 2386
2540 [2010/05/27] 우리말) 성을 먼저 쓰고 그 다음에 이름을... id: moneyplan 2010-05-27 2387
2539 [2009/09/07] 우리말) 떼려야 뗄 수 없는... id: moneyplan 2009-09-07 2388
2538 [2014/03/28] 우리말) 뜨게부부와 새들꾼 머니북 2014-03-28 2389
2537 [2016/08/06] 우리말) 치닫다/내리닫다 머니북 2016-08-10 2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