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1/18] 우리말) 개판과 이판사판

조회 수 2864 추천 수 0 2016.11.19 11:29:46

.

안녕하세요.

오늘도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개판과 이판사판]
개판이라고 한다. 어떻든 난장판이 수습되지 못해서 개판으로 치닫는, 그런 불행은 없어야 하겠다. 그 어떤 벼슬에 있었든, 밝은 대낮에 훤히 드러난 치부를 손바닥으로 가리고 온 국민을 상대로 ‘이판사판이니 한번 해보자!’는 추태를 보이지 않기만을 바랄 뿐이다.
난장판이나 개판에서의 ‘판’은 순 우리말이지만, ‘이판사판’이라고 할 때의 ‘판’(判)은 한자에서 온 말로 전혀 다른 뜻이다. ‘이판사판’은 ‘이판’과 ‘사판’이 합쳐진 합성어인데, ‘이판’과 ‘사판’은 모두 불교에서 쓰이고 있는 말이다. ‘이판’은 속세와의 인연을 끊고 불도에 전념하는 일을 말하고, 그러한 일을 수행하는 스님을 ‘이판승’이라고 한다. 또 ‘사판’은 절의 재물과 사무를 맡아 처리하는 일을 말하며, 그러한 일을 수행하는 스님을 ‘사판승’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이판승’이 없으면 부처님의 가르침이 이어질 수 없고, ‘사판승’이 없으면 절이 제대로 운영될 수 없기 때문에, ‘이판’과 ‘사판’은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는 말이다.
‘이판’과 ‘사판’이 결합하여 새롭게 만들어진 말이 ‘이판사판’이다. 이 말은 오늘날 ‘막다른 데 이르러 어찌할 수 없는 지경’이란 전혀 다른 뜻으로 쓰이고 있다. 이렇게 쓰이게 된 까닭에 대해선 여러 이야기들이 있는데, 출가를 해서 스님이 되면 누구나 ‘이판’과 ‘사판’ 가운데 어느 한쪽을 선택해야 하는 기로에 서기 때문에, ‘이판사판’이라는 말에 ‘막다른 곳’, ‘막다른 궁지’라는 의미가 생겨난 것으로 설명하는 쪽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판’ 아니면 ‘사판’으로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것은, ‘이것 아니면 저것’이라는 식의 극단적 사고를 낳을 수 있고, 이러한 사고를 바탕으로 ‘막다른 곳에 이르러 어찌할 수 없음’이라는 극단적인 의미가 생겨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민얼굴과 맨얼굴]

안녕하세요.

잘 주무셨나요?
이번 주말까지 막바지 열대야가 있을 거라고 합니다.
요즘 을지연습 기간이다 보니 회사에서 밤을 새울 때가 잦습니다.
새벽에 잠시 눈을 붙이고 일어나 보면 부스스한 머리에 눈곱 낀 얼굴을 서로 보게 됩니다.
누구랄 것도 없이 부스스한 얼굴을 남에게 보여주기는 싫을 겁니다.

"화장하지 않은 여자의 얼굴"은 '민낯'이라고 합니다. 사전에 따르면 여자에게만 쓸 수 있는 낱말입니다.
"꾸미지 않은 얼굴"은 '민얼굴'입니다. 이 낱말은 여자나 남자 모두에게 쓸 수 있습니다.

요즘은 '맨얼굴'이라는 말을 많이 씁니다.
사전에는 없는 낱말인데 조어법에는 맞는 말입니다.
앞가지(접두사) '맨-'은 일부 이름씨(명사) 앞에 붙어 "다른 것이 없는"의 뜻을 더합니다.
맨발, 맨땅, 맨주먹 따위로 씁니다.

민얼굴이나 맨얼굴이나 뜻이 같다면, 둘 가운데 하나만 사전에 올려 쓰임을 막을 게 아니라,
둘 다 사전에 올려 복수표준어로 만들어 주는 것도 우리말을 풍부하게 해주는 게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러나
'쌩얼'이라는 낱말은 좀 거시기 합니다.
민얼굴, 맨얼굴에 견줘 쌩얼을 좀 싸구려처럼 느껴지지 않나요?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41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124
2676 [2009/07/0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7-09 2197
2675 [2015/01/06] 우리말) 개개다와 개기다 머니북 2015-01-06 2200
2674 [2010/02/12] 우리말) 설날에 예법에 맞는 세배 해보세요 id: moneyplan 2010-02-12 2205
2673 [2015/08/04] 우리말) 그러거나 말거나 머니북 2015-08-04 2206
2672 [2009/01/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1-09 2209
2671 [2009/06/01] 우리말) 안녕과 앞날 id: moneyplan 2009-06-01 2209
2670 [2015/12/23] 우리말) 올해 읽은 책을 소개합니다 머니북 2015-12-24 2212
2669 [2016/03/31] 우리말) 감치다 머니북 2016-04-01 2213
2668 [2009/01/07] 우리말) 흐지부지 [1] id: moneyplan 2009-01-07 2214
2667 [2014/10/20] 우리말) 웨하스 머니북 2014-10-21 2215
2666 [2014/05/30] 우리말) 안갚음 머니북 2014-05-30 2222
2665 [2016/07/06] 우리말) 어수룩해지려고 귀촌하는가? 머니북 2016-07-06 2222
2664 [2009/09/03] 우리말) 징크스 id: moneyplan 2009-09-03 2224
2663 [2010/10/18] 우리말) 있습니다와 있음 moneybook 2010-10-18 2225
2662 [2014/12/12] 우리말) 놈팽이와 놈팡이 머니북 2014-12-12 2225
2661 [2012/03/05] 우리말) 돌잔치 머니북 2012-03-05 2227
2660 [2012/12/28] 우리말) 매무시와 매무새 머니북 2012-12-28 2227
2659 [2015/12/02] 우리말) 속박이 머니북 2015-12-02 2227
2658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229
2657 [2015/02/02] 우리말) 되갚을 것은 없다 머니북 2015-02-02 2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