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0/06] 우리말) 우리말샘

조회 수 2745 추천 수 0 2016.11.01 21:43:02

국립국어원에서 '우리말샘'이라는 온라인 사전을 만들었습니다.
자주 쓰긴 하지만, 국어사전에 없는 낱말을 이제는 '우리말샘'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국립국어원에서 '우리말샘'이라는 온라인 사전을 만들었습니다.
http://opendict.korean.go.kr 
자주 쓰긴 하지만, 국어사전에 없는 낱말을 이제는 '우리말샘'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꽃중년, 힐링하다 따위가 그 사전에 올라있습니다.
또, 누구나 낱말 풀이를 더하거나 고칠 수도 있다고 합니다.
국립국어원은 이처럼 집단지성의 힘을 빌린 참여형 국어사전의 등장으로 시대가 급변하며 쏟아지는 신조어와 외래어, 전문단어를 대폭 수용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문제점을 지적한 기사도 있네요.
검토와 조율을 거치지 않은 단어가 단지 우리말샘에 올랐다는 이유로 표준어처럼 취급될 수 있다는 것이죠.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I71&newsid=01285766612809640&DCD=A407&OutLnkChk=Y

우리말샘이 좋은 사전으로 자리잡기를 기대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조찬]

안녕하세요.

아침에 자전거를 타고 일터에 나오면서
오늘은 무슨 내용으로 우리말 편지 밥상을 차릴지 생각하다가 아들 녀석이 넘어지는 것도 못 봤네요. ^^*
일터에 다 와 가는데도 마땅한 찬거리가 생각나지 않았는데,
고맙게도 길에서 만난 선배님이 도와주시네요.

"성 박사, 오랜만이네, 어부인 잘 계시지?"
"예, 오랜만입니다."
"이렇게 일찍 아들과 같이 일터에 나가려면 조찬이나 드시고 나오셨는가?"
"예, 애들과 같이 아침을 꼭 챙겨 먹습니다."

짧은 몇 마디 주고받았는데 걸리는 낱말이 있네요.
'어부인'은 일본어에서 온 말입니다.
다른 사람의 아내를 말할 때는 '부인'이라고 해야 하고,
남 앞에서 자기 아내를 소개할 때는 '처'나 '아내'라고 말해야 합니다.
'부인'은 높임말입니다. 남에게 자기 아내를 소개하면서 '부인'이라는 호칭을 쓰면 안 됩니다.

조찬은 
손님을 초대하여 함께 먹는 아침 식사(朝餐)
검소하게 차린 식사(粗餐)
변변하지 않은 반찬(粗饌)
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아침'에는 날이 새는 동안이라는 뜻도 있지만 '아침밥'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조찬 드셨는가?'보다는 '아침은 들었는가?'가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 날씨가 참 좋을 것 같습니다.
날씨만큼 환하고 기쁜 일 많이 만드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20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3881
2476 [2006/09/16] 우리말) 어머니 글을 또 보내드립니다 id: moneyplan 2006-09-18 5216
2475 [2007/03/29] 우리말) 움츠리다와 옴츠리다 id: moneyplan 2007-03-30 5174
2474 [2006/12/07] 우리말) 자선냄비 id: moneyplan 2006-12-07 5173
2473 [2011/10/18] 우리말) 끼적거리다와 끄적거리다 머니북 2011-10-18 5140
2472 [2006/11/09] 우리말) 한무릎공부 id: moneyplan 2006-11-09 5127
2471 [2006/10/17] 우리말) 천상 제날짜에 가야지... id: moneyplan 2006-10-17 5097
2470 [2013/08/19] 우리말) 잘못된 높임말 머니북 2013-08-19 5067
2469 [2006/11/02] 우리말) 제 아들에게 먼지떨음을 했습니다 id: moneyplan 2006-11-02 5045
2468 [2008/02/28] 우리말) 제치다와 제끼다 id: moneyplan 2008-02-28 5031
2467 [2017/06/08] 우리말) 초콜릿 머니북 2017-06-08 5028
2466 [2014/04/04] 우리말) 사이시옷 머니북 2014-04-08 5009
2465 [2011/07/01] 우리말) 그대 이름은 바람 머니북 2011-07-01 5000
2464 [2017/11/15] 우리말) ‘오’가 ‘우’로 바뀐 말들 머니북 2017-11-16 4999
2463 [2007/06/29] 우리말) 평이 아니라 제곱미터 id: moneyplan 2007-06-29 4997
2462 [2006/11/03] 우리말) 제고와 재고를 재고해야합니다 id: moneyplan 2006-11-03 4997
2461 [2007/01/18] 우리말) 두루말이 화장지/두루마리 화장지 id: moneyplan 2007-01-19 4996
2460 [2007/03/21] 우리말) 파래, 퍼레, 파란색, 파랑색 id: moneyplan 2007-03-21 4993
2459 [2006/09/26] 우리말) 허접 쓰레기? 허섭스레기 id: moneyplan 2006-09-26 4988
2458 [2011/07/12] 우리말) 째/체/채 머니북 2011-07-12 4986
2457 [2013/07/09] 우리말) 누구와 아무 머니북 2013-07-09 4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