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위의 떡'이라고 하면 금상첨화와 같은 뜻이고,
'하품에 딸꾹질'이나 '기침에 재채기'라고 하면 설상가상과 같은 뜻으로 쓸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내일부터 한가위 연휴입니다.
넉넉하고 행복하게 보내시길 빕니다. 

흔히,
좋은 일 위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를 때 금상첨화(錦上添花)를 씁니다.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이죠.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를 때는 설상가상(雪上加霜)을 씁니다.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이죠.

이를 이르는 우리말 속담도 있습니다.
'밥 위의 떡'이라고 하면 금상첨화와 같은 뜻이고,
'하품에 딸꾹질'이나 '기침에 재채기'라고 하면 설상가상과 같은 뜻으로 쓸 수 있습니다.

이번 한가위는 날씨도 좋다고 합니다.
밥 위의 떡처럼 좋은 일 많이 일어나고,
비단 위에 꽃을 더하는 것처럼 행복한 일이 자주 일어나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2010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만듬과 만듦]

안녕하세요.

어젯밤 KBS2에서 9:42에 '... 만듬'이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우리가 잘 아는 '살다'의 명사형이 '삼'이 아니라 '삶'이듯이
'줄다'의 명사형은 '줆'이고,
'갈다'의 명사형은 '갊'이며,
'만들다'의 명사형은 '만듦'입니다.

동사의 어미가 자음 'ㄹ'로 끝날 때에 동사를 명사처럼 만들어주는 명사형 어미가 좀 헷갈립니다.
'ㄹ'이 비록 자음이지만 현대국어에 'ㄻ'이라는 겹받침의 형태가 있기 때문에
'으'를 넣지 않고 자연스럽게 ㄹ 다음에 ㅁ이 들러붙는 형태를 씁니다. 
따라서,
만들다-만듦, 베풀다-베풂, 갈다-갊, 줄다-줆, 살다-삶이 그런 형태가 되는 겁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0220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7825
2456 [2011/07/12] 우리말) 째/체/채 머니북 2011-07-12 5030
2455 [2017/11/20] 우리말) 롱 패딩 머니북 2017-11-20 5022
2454 [2017/11/03] 우리말) 제가 누구냐고요? 머니북 2017-11-06 5015
2453 [2006/12/29] 우리말) 하일라이트가 아니라 하이라이트 id: moneyplan 2006-12-29 5012
2452 [2013/02/01] 우리말) 거나하다/건하다 머니북 2013-02-01 4979
2451 [2007/02/26] 우리말) '이력'은 순 우리말입니다 id: moneyplan 2007-02-27 4955
2450 [2006/12/27] 우리말) 책을 구입하고 책 값을 지불하신다고요? id: moneyplan 2006-12-27 4949
2449 [2015/06/12] 우리말) 부딪힐 때와 부딪칠 때 머니북 2015-06-12 4933
2448 [2011/10/14] 우리말) 휭하니와 힁허케 머니북 2011-10-14 4925
2447 [2006/11/15] 우리말) 택도없긴... 턱도없지... id: moneyplan 2006-11-15 4923
2446 [2006/11/21] 우리말) 첫과 처음 id: moneyplan 2006-11-21 4921
2445 [2017/06/19] 우리말) 미닫이와 빼닫이 머니북 2017-06-22 4917
2444 [2017/11/17] 우리말) 패러다임 머니북 2017-11-17 4916
2443 [2006/11/26] 우리말) 가엾고 설운 어린아이 id: moneyplan 2006-11-27 4904
2442 [2006/09/29] 우리말) 이걸 처먹으라고? id: moneyplan 2006-09-29 4903
2441 [2017/11/08] 우리말) 제기? 머니북 2017-11-08 4895
2440 [2011/10/05] 우리말) 먹거리와 먹을거리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05 4886
2439 [2017/03/16] 우리말) 나가다와 나아가다 머니북 2017-03-17 4879
2438 [2017/11/16] 우리말) 통음 머니북 2017-11-16 4874
2437 [2013/09/16] 우리말) 시키다 머니북 2013-09-16 4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