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에 소개한 '새로 쓰는 비슷한 말 꾸러미 사전'에서는
곱다/예쁘다/예쁘장하다/아름답다/아리땁다/어여쁘다/귀엽다
를 같이 소개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는 날씨가 참 좋았는데, 오늘은 다시 더워질 거라고 합니다. 

저는 중학교 1학년 딸이 있습니다.
오늘 아침에 밥상에서 애를 보는데 어찌 그리 예쁘던지요.
제 자식이라서 좀 그렇지만, 참으로 귀엽고 예뻤습니다. ^^*
이제 막 사춘기에 들어서서 하루가 다르게 고와지고 있나 봅니다. 
제가 밥상머리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지안아, 너 지안이 맞아? 진짜 내 딸 맞아? 어떡하려고 이렇게 예뻐지니?"
그 말을 듣고 딸내미가 가볍게 눈을 흘기더군요. 
팔불출... ^__^*

얼마 전에 소개한 '새로 쓰는 비슷한 말 꾸러미 사전'에서는
곱다/예쁘다/예쁘장하다/아름답다/아리땁다/어여쁘다/귀엽다
를 같이 소개하고 있습니다.

큰 틀에서 뜻풀이하고, 이어서 낱말 별로 보기를 들어가며 설명합니다.
이렇게 책을 만들어 놓으니, 비슷한 말을 한꺼번에 볼 수 있어 참 좋습니다.

언젠가 기회가 닿으면 이 책을 쓰신 최종규 님을 꼭 뵙고 싶습니다.
인천에 가서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사투리]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주말에 고향에 다녀왔습니다.
토요일 오후에 기차를 타고 목포 들러 해남 고향에 다녀왔습니다.
해남에서 선배님과 저녁을 먹고 10시쯤 들어가서 새벽 3시까지 어머니와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오랜만에 어머니와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니 시간 가는 줄 모르겠더군요.

어머니와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오랜만에 들어본 낱말을 참 많이 듣게 됩니다.
그런 낱말을 거의 다 사투리라고 해서 쓰지 않는 게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심심한디 사과 좀 깡카라.(사과 좀 깎아라.)
너무 크다. 좀 빵캐라.(잘게 빠개라.)
과일을 앱두로두지 말고 한태 모태라.(별도로 두지 말고 한곳에 모아라)
손에 힘이 없어서 우크라니 나와브렀다.(한꺼번에...)

사투리의 정의는
"어느 한 지방에서만 쓰는, 표준어가 아닌 말"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이 정의는 바뀌어야 한다고 봅니다.
어느 한 지방에서만 쓰는 것은 맞지만 표준어가 아닌 말로 못 박아 놓으니 사투리는 모두 쓰면 안 되는 말이 되어버린 겁니다.
조상의 숨결이 살아 있는 사투리를 살려 쓰는 것도 우리말을 아끼는 한 방법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고맙습니다.


보태기)
지난 주말에 보낸 편지에서,
'트내기'를 '트네기'라고 적었네요.
이봉원 님이 트위터리안을 갈음할 우리말로 '트내기'를 제안하셨습니다.
널리 퍼뜨려 우리말로 명토를 박으면 좋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988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5460
2456 [2007/05/09] 우리말) 천벌 받을... id: moneyplan 2007-05-09 3777
2455 [2007/05/10] 우리말) 가슴을 에이는이 아니라 에는 id: moneyplan 2007-05-10 2942
2454 [2007/05/11] 우리말) 아이들이 이리저리 피해 달아나며 뛰노는 장난 id: moneyplan 2007-05-11 3140
2453 [2007/05/14] 우리말) '생채기'는... id: moneyplan 2007-05-14 3957
2452 [2007/05/15] 우리말) 손수 만든 꽃? id: moneyplan 2007-05-15 2889
2451 [2007/05/16] 우리말) 바리캉, 포클레인, 제록스, 스카치테이프, 나일론, 무스, 본드, 스티로폼 id: moneyplan 2007-05-16 5143
2450 [2007/05/17] 우리말) 하양과 하얀색 id: moneyplan 2007-05-17 3280
2449 [2007/05/18] 우리말) 고마움과 감사 id: moneyplan 2007-05-18 3537
2448 [2007/05/21] 우리말) 보라 id: moneyplan 2007-05-21 3401
2447 [2007/05/22] 우리말) 보릿고개와 총체보리 id: moneyplan 2007-05-22 2973
2446 [2007/05/23] 우리말) 자린고비 id: moneyplan 2007-05-23 2893
2445 [2007/05/25] 우리말) 머드러기와 지스러기 id: moneyplan 2007-05-28 2929
2444 [2007/05/28] 우리말) 바리바리 싸 주신... id: moneyplan 2007-05-28 2969
2443 [2007/05/29] 우리말) 일 뒤에도 점을 찍어야 합니다 id: moneyplan 2007-05-29 2801
2442 [2007/05/30] 우리말) 세리머니가 아니라 뒤풀이입니다 id: moneyplan 2007-05-30 3091
2441 [2007/05/31] 우리말) 건하다와 거나하다 id: moneyplan 2007-05-31 2935
2440 [2007/06/01] 우리말) 맹세와 다짐 id: moneyplan 2007-06-01 2990
2439 [2007/06/01] 우리말) 쌩얼과 민낯 id: moneyplan 2007-06-01 2824
2438 [2007/06/04] 우리말) 간인과 사잇도장 id: moneyplan 2007-06-04 3707
2437 [2007/06/05] 우리말) 최대값과 최댓값 id: moneyplan 2007-06-05 2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