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5/17] 우리말) 억장

조회 수 2413 추천 수 0 2016.05.18 11:49:25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억장'을 찾아보면
"썩 높은 것. 또는 그런 높이."라고 풀어놓고
관용구로 '억장이 무너지다.'를 보기로 들어놨습니다.

안녕하세요.

날씨가 참 맑고 좋네요.
오늘 아침도 마땅히 애들과 자전거를 타고 집을 나섰습니다.
아들이 먼저 초등학교로 들어가고, 저는 셋째와 함께 어린이집까지 자전거를 타고 왔습니다.
공원을 지나오면서 잠시 간지럼나무를 간지럼 태우는 해찰도 부려보고,
민들레 꽃씨도 불어보는 등 놀면서 일터에 나왔습니다.

이렇게 재밌게 출근할 수 있는데,
비가 오면 그런 재미를 못 봅니다.
그래서 저는 비가 오면 억장이 무너집니다. ^^*  뻥이 좀 심했나요? ^^*

오늘은 억장을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에 쓴 장(丈)은 길이 단위로 얼추 열 자에 해당하는 3미터 정도 됩니다.
억은 천, 만, 억할 때의 억입니다.
그래서 억장을 있는 그대로 풀면, 3억 미터입니다.
지구 한 바퀴를 도는 길이가 대략 40,000km이니, 3억미터는 지구를 7.5바퀴 도는 길이네요. 
뭔가를 억장이나 쌓아놨는데, 순식간에 무너지면 얼마나 아프고 괴롭겠어요. 그게 억장이 무너지는 느낌이겠죠.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억장'을 찾아보면
"썩 높은 것. 또는 그런 높이."라고 풀어놓고
관용구로 '억장이 무너지다.'를 보기로 들어놨습니다.

다음 사전에는 ①썩 높음, ②또는 썩 높은 길이만 있고,
네이버 사전에는 ①썩 높은 것, ②또는, 그 길이, ③극심한 슬픔이나 절망 등으로 몹시 가슴이 아프고 괴로운 상태가 됨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하루 애와 함께 자전거를 못 탄다고 해서 
'극심한 슬픔이나 절망 따위로 몹시 가슴이 아프고 괴롭'지는 않습니다.
오늘 못 타면 내일 타면 되고, 내일도 못 타면 모레 자전거를 타면 되니까요.
그러나 한여름이나 겨울에는 자전거를 타고 다닐 수 없기에
요즘처럼 자전거를 탈 수 있는 날 비가 오면 서운하기는 합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내숭]

안녕하세요.

아침에 일터에 나오자마자 제 속을 뒤집는 사람이 있네요.
제가 잘못된 건지 그 사람이 잘못된 건지...쩝...

사람을 만나다 보면 내숭을 떠는 사람이 있습니다.
제가 내숭을 잘 못 떨어서 그런지는 몰라도 저는 그런 사람이 싫습니다.
그냥 있는 그대로 보여주고, 그대로만 돌려받으면 될 것을 뭐 그리 숨기고 감출 게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내숭이라는 말은 어찌 보면 순 우리말이 아닙니다.
수육이 숙육(熟肉)에서 왔고, 배웅이 배행(陪行)에서 왔듯이
이 내숭 또한 내흉(內凶)에서 온 말입니다.
힘줄이 심줄이 되듯이, 내흉의 ㅎ이 ㅅ으로 바뀌어 내숭이 된 거죠.
한자 뜻 그대로만 본다면 내흉이 변한 내숭은 속마음이 더럽다는 뜻일 겁니다.

내숭은 이름씨(명사)로 쓰일 때는 내숭을 떨다, 내숭을 피우다처럼 쓰이지만,
그림씨(형용사)로도 씁니다.
"겉으로는 순해 보이나 속으로는 엉큼하다."는 뜻으로
할아버지는 사람이 좀 내숭합니다처럼 씁니다.

내숭을 예쁘게 피운다는 것도 말이 되는지는 모르겠지만,
내숭이라는 낱말 자체가 별로 맘에는 안 듭니다.

겉과 속이 같고, 말고 행동이 같은 사람을 많이 만나고 싶습니다.
저부터 그런 사람인지를 반성하면서 
모든 사람을 진실로 대하고, 변함없는 마음으로 대하며 살고자 합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899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4576
156 [2016/06/17] 우리말) 분식회계 머니북 2016-06-17 2402
155 [2016/04/18] 우리말) 쓰임새 많은 바둑 용어 머니북 2016-04-19 2402
154 [2014/07/07] 우리말) 사리 머니북 2014-07-07 2402
153 [2016/04/04] 우리말) 만발 -> 활짝 머니북 2016-04-05 2401
152 [2015/07/15] 우리말) 온종일 머니북 2015-07-15 2401
151 [2016/03/11] 우리말) '화두'와 '촌스럽다' 머니북 2016-03-14 2400
150 [2015/02/11] 우리말) 모밀국수와 메일국수 머니북 2015-02-11 2400
149 [2014/10/27] 우리말) 치 머니북 2014-10-27 2400
148 [2010/06/22] 우리말) 차두리와 덧두리 moneybook 2010-06-22 2400
147 [2009/02/25] 우리말) 점심과 식사 id: moneyplan 2009-02-25 2400
146 [2016/01/07] 우리말) 마을/마실 머니북 2016-01-09 2399
145 [2014/12/30] 우리말) 소나기술과 벼락술 머니북 2014-12-30 2399
144 [2015/06/10] 우리말) 살품 머니북 2015-06-10 2397
143 [2015/12/27] 우리말) 차지다/찰지다 머니북 2015-12-28 2396
142 [2016/08/06] 우리말) 치닫다/내리닫다 머니북 2016-08-10 2394
141 [2015/06/08] 우리말) 사춤 머니북 2015-06-09 2394
140 [2015/05/22] 우리말) 코르크 머니북 2015-05-26 2394
139 [2015/09/23] 우리말) '구경하다'와 '좋은 구경 하다' 머니북 2015-09-23 2393
138 [2014/03/28] 우리말) 뜨게부부와 새들꾼 머니북 2014-03-28 2393
137 [2010/07/02] 우리말) 굴지와 불과 moneybook 2010-07-02 2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