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늘은 신문 기사 두 개를 함께 보고
그 기사에 대한 한글문화연대 정인환 님의 글도 같이 보겠습니다.

먼저,
학생들 어휘력이 부족하다는 기사와 이에 대한 정인환 님의 댓글입니다.

고교 교실서 “관행이 무슨 뜻이에요?”...어휘력 부족 얼마나 심각?
http://pub.chosun.com/client/news/viw.asp?cate=C01&nCateM=M1003&nNewsNumb=20160420117&nidx=20118

'빈어증', '상쇄' 같은 어려운 말 쓰면서 우리 아이들 어휘력 낮다고 싸잡아서 말하며 마지막엔 초등학교 한자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좀 물읍시다. 도대체 그 근거가 뭡니까? 제발 객관적인 자료 좀 내면서 그런 의견을 내십시오. 
우리 청소년 문해력은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국제기구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3년마다 조사한 국제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만15세 학생들의 읽기 능력은 2003년부터 줄곧 1~2위였습니다.
오이시디에서 주관하여 치른 2013 국제성인역량평가에서도 청소년의 문해력은 3~4위 성적으로 매우 높습니다. 반대로 55~65세의 문해력은 뒤에서 3~4위 였습니다.


다음은
국한문 혼용해야 한다는 기고문과 그에 대한 정인환 님의 댓글입니다.

國漢文 혼용이 讀書의 능률을 높인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4/27/2016042703671.html

이런 주장이라면 글쓴이는 당연히 국한문혼용으로 신문사에 글을 보냈을테고, 이 글이 신문에 실린 것으로 보아 신문사도 찬성한다는 이야기인데...왜 신문 지면에는 떳떳하게 국한문혼용을 못 하는가? 조선일보에서 제발 좀 국한문혼용으로 신문을 만들어 주면 좋겠다.


정인환 님은 한글문화연대 운영위원입니다.
한글문화연대는 우리말글을 아름답게 가꾸고, 우리 말글살이의 잘못된 점을 바꾸어, 세계화의 거센 물결에서 잃어가는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찾고 세계에 자랑할 수 있는 독창적인 한글문화를 일구고자 활동하는 시민단체입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문제를 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문제를 내겠습니다.



어제는 벌초하러 가신 분들이 많으셔서 고속도로가 무척 밀렸나 봅니다.

이마도 이번 주도 그럴 것 같습니다.



명절에는 어르신을 찾아가서 인사를 드리는 게 도리입니다.

그러나 부득이 그럴 수 없을 때는 

그전에 미리 찾아가서 인사를 드리기도 합니다.

아름다운 우리 문화라고 생각합니다.



오늘 문제는 바로 이것입니다.

명절에 찾아뵙지 못할 것 같아 미리 찾아뵙고 인사드리는 것을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겁니다.



오늘도 즐겁게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38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102
136 [2015/07/30] 우리말) 줄다와 준 머니북 2015-08-02 2288
135 [2015/02/11] 우리말) 모밀국수와 메일국수 머니북 2015-02-11 2288
134 [2009/09/07] 우리말) 떼려야 뗄 수 없는... id: moneyplan 2009-09-07 2288
133 [2016/04/19] 우리말) 신문 기사를 잇습니다 머니북 2016-04-22 2287
132 [2009/04/24] 우리말)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id: moneyplan 2009-04-24 2287
131 [2016/03/11] 우리말) '화두'와 '촌스럽다' 머니북 2016-03-14 2286
130 [2015/01/20] 우리말) 뇌물 수수 협의/뒷돈 받은 듯 머니북 2015-02-02 2286
129 [2010/04/30] 우리말) 비게질 id: moneyplan 2010-04-30 2286
128 [2016/06/01] 우리말) 국보 1호? 머니북 2016-06-02 2285
127 [2016/05/20] 우리말) 조으다 -> 좋다 머니북 2016-05-20 2285
126 [2015/05/18] 우리말) 마침표와 온점 머니북 2015-05-18 2285
125 [2014/06/03] 우리말) 한 표에 얼마? 머니북 2014-06-03 2285
124 [2015/11/06] 우리말) 싸가지와 거시기 머니북 2015-11-09 2284
123 [2015/07/21] 우리말) 개발과 계발 머니북 2015-07-22 2284
122 [2015/04/01] 우리말) 누룽지튀각과 눌은밥튀각 머니북 2015-04-01 2284
121 [2010/09/20] 우리말) 한가위를 맞아 넉넉하게 보내시길 빕니다. moneybook 2010-09-20 2284
120 [2016/04/12] 우리말) 발표할 때... 머니북 2016-04-16 2283
119 [2016/04/18] 우리말) 쓰임새 많은 바둑 용어 머니북 2016-04-19 2282
118 [2015/05/06] 우리말) 이팝나무 머니북 2015-05-06 2281
117 [2014/12/26] 우리말) 피로해소/원기회복 머니북 2014-12-29 2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