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피'를 '-고 싶다'를 떠올려 '-다싶이'로 쓰면 틀립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편지에서
제가 신문기사를 따다 써도 법에 걸리지 않는지를 여쭤봤는데 아무도 답장을 안 주셨습니다.
아마 그쪽을 아시는 분이 안 계신가 봅니다. ^^*

오늘은 '-다시피'를 알아보겠습니다.
'-다시피'는 씨끝(어미)으로 
알다, 보다, 느끼다, 짐작하다 따위 지각을 나타내는 움직씨(동사) 뒤에 붙어)) '-는 바와 같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입니다.
너도 잘 알다시피 내게 무슨 힘이 있니?, 보시다시피 제 손에는 아무것도 없습니다처럼 씁니다.
'-었-', '-겠-' 뒤에 붙어 어떤 동작에 가까움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시간이 없어서 거의 뛰다시피 급히 걸어갔다, 그는 연구실에서 살다시피 했다처럼 쓰는 게 그렇습니다.

'-다시피'를 '-고 싶다'를 떠올려 '-다싶이'로 쓰면 틀립니다.

아시다시피, 저는 이윤을 목적으로 우리말 편지를 보내는 게 아닙니다.
그래서 제 생각에는 신문기사를 따다 쓰고 어디서 따왔다고만 밝히면 별문제 없을 것 같기는 합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독농가와 모범 농가]



안녕하세요.



어젯밤 12:11분에 KBS1에서 출연자가 "혼자 농사를 짓는 독농가..."라고 말을 했고,

자막에도 그렇게 나왔습니다.



'독농가'는 혼자서 농사를 짓는 獨농가가 아닙니다.

'독농가'는 篤農家로 모범 농가라는 뜻입니다.



이 말은 일본말에서 왔습니다.

篤農이라 쓰고 とくのう[도꾸노우]라 읽으며 뜻은 "독실한 농사꾼"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독농가'가 아니라 '모범 농가'나 '우수 농가'가 바르다고 봅니다.



짧은 제 생각에,

우리 사전에는 우리가 거의 쓰지 않는 한자말이 너무 많이 실려 있다고 봅니다.

그래놓고 우리말의 70%가 한자라고 이야기한다면 앞뒤가 맞지 않는 게 아닐까요?

그냥 제 생각입니다.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독서칼럼이라는 곳에 제 글이 올랐네요.

마침 그 글이 '독농가'로 시작합니다.

http://www.nlcy.go.kr:8085/column/main/main.php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146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7049
2356 [2012/09/07] 우리말) 주리팅이 머니북 2012-09-07 4305
2355 [2007/08/23] 우리말) 갖바치 내일 모레 id: moneyplan 2007-08-23 4298
2354 [2017/11/13] 우리말) 금도 머니북 2017-11-16 4290
2353 [2017/11/06] 우리말) 우리나라와 저희나라 머니북 2017-11-06 4287
2352 [2006/11/01] 우리말) 아빠, 원준이 또 똥쌌어요 id: moneyplan 2006-11-01 4283
2351 [2011/11/02] 우리말) 오순도순과 오손도손 머니북 2011-11-02 4281
2350 [2011/08/31] 우리말) 줄거리와 졸가리 머니북 2011-08-31 4272
2349 [2006/11/29] 우리말) '메모지'가 아니라 '적바림'입니다 id: moneyplan 2006-11-30 4270
2348 [2011/07/21] 우리말) 아부재기 머니북 2011-07-21 4238
2347 [2008/11/07] 우리말) 안스럽다와 안쓰럽다 id: moneyplan 2008-11-07 4236
2346 [2011/08/22] 우리말) 휘지르다와 지다위 머니북 2011-08-22 4229
2345 [2007/01/19] 우리말) 외교부가 하는 꼬라지 하고는... id: moneyplan 2007-01-19 4220
2344 [2017/11/22] 우리말) 머니북 2017-11-23 4207
2343 [2007/01/02] 우리말) 담배를 꼭 끊어보겠다는 큰 보짱이 있습니다 id: moneyplan 2007-01-02 4198
2342 [2007/01/22] 우리말) 쉼표와 마침표 id: moneyplan 2007-01-22 4197
2341 [2006/12/22] 우리말) 외골수/외곬 id: moneyplan 2006-12-22 4197
2340 [2013/07/31] 우리말) 우편번호 읽기 머니북 2013-07-31 4191
2339 [2008/01/30] 우리말) 좀이 쑤시다 id: moneyplan 2008-01-30 4189
2338 [2006/12/23] 우리말) 우리말편지가 책으로 나왔습니다 id: moneyplan 2006-12-26 4188
2337 [2006/11/22] 우리말) 난 널 짜장 좋아한다 id: moneyplan 2006-11-22 4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