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4/20] 우리말) 쭉신

조회 수 2231 추천 수 0 2016.04.22 08:39:29

가끔, 일주일에 한 번 정도 구두를 닦는데 그때 혹시 구두를 신을 일이 있을까 봐 임시로 가져다 놓은 낡은 구두도 있습니다.
그런 구두를 '쭉신'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즐거운 수요일입니다. 오늘은 야근하지 않는 날이거든요. ^^*

저는 일터에 신이 4개 있습니다.

아침에 일터에 나올 때와 저녁에 집에 갈 때 신는 검은색 운동화가 있고요.
낮에 신는 구두가 있습니다.
가끔, 일주일에 한 번 정도 구두를 닦는데 그때 혹시 구두를 신을 일이 있을까 봐 임시로 가져다 놓은 낡은 구두도 있습니다.
그런 구두를 '쭉신'이라고 합니다.
"해지고 쭈그러진 헌 신"이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흔히 슬리퍼라고 하는 실내화도 있습니다.
슬리퍼(slipper)는 
실내에서 신는 신으로 뒤축이 없이 발끝만 꿰게 되어 있습니다.

같은 뜻으로 
뒤축은 없고 발의 앞부분만 꿰어 신는 신을 '끌신'이라고 합니다.
뒤축이 없어 끌고다니는 신이니 끌신이죠. ^^*

제 일터에는
운동화, 구두, 쭉신, 끌신 이렇게 신발 네 개가 있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징크스]



안녕하세요.


저는 징크스가 하나 있습니다.

우리말 편지를 보내면서 실수를 하면 연이어 몇 번 실수가 이어집니다.

평소보다 더 조심한다고 하는데도 꼭 실수가 연달아 이어집니다.



어제 제가 띄어쓰기를 잘못 설명드려서 실수했다는 말씀을 드렸는데 그 편지에도 틀린 게 있었네요.

'보건복지가족부의 '홈리스'라는 법률용어를 가름할 우리말을 찾고 있습니다.'라고 했는데,

'가름할'이 아니라 '갈음할'이 맞습니다.

가름은 쪼개거나 나누어 따로따로 만드는 것이고,

갈음은 다른 것으로 바꾸어 대신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홈리스라는 낱말을 바꿀 우리말을 찾는 것은 가름할 우리말을 찾는다고 해야 바릅니다.



며칠 전에 보낸 편지에서도 실수가 있었습니다.

"곧게 펴거나 벌리는 모양"은 '쭉'이 아니라 '죽'입니다라고 말씀 드렸는데,

쭉은 죽의 센말입니다. 마땅히 표준말입니다.

제가 실수했습니다.



이런 게 바로 제 징크스입니다.

한번 실수하면 연달아 실수가 일어납니다. 거 참 이상합니다. ^^*



본디 징크스(jinx)는 

고대 그리스에서 불길한 징후를 나타내는 새의 이름에서 왔다고 합니다.

국립국어원에서 '불길한 일', '재수 없는 일'로 다듬었습니다.



누가 그러더군요. 징크스는 깨라고 있는 것이라고...

우리말편지에서 실수했다면, 더 꼼꼼하게 봐서 다시는 그런 실수를 하지 않으면 제 징크스는 깨지는 거죠? 

그렇게 해 보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34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052
2616 [2017/07/12] 우리말) 오늘 자, 오늘 치 머니북 2017-07-13 3658
2615 [2017/07/11] 우리말) 부처님 오신 날 머니북 2017-07-11 3169
2614 [2017/07/10] 우리말) 토마토 머니북 2017-07-11 3572
2613 [2017/07/07] 우리말) 눈그늘, 멋울림 머니북 2017-07-07 2764
2612 [2017/07/06] 우리말) 희귀병 머니북 2017-07-07 3147
2611 [2017/07/05] 우리말) 잔주름 머니북 2017-07-06 3103
2610 [2017/07/04] 우리말) 장애인과 불구 머니북 2017-07-06 2579
2609 [2017/07/03] 우리말) 태풍 난마돌 머니북 2017-07-04 2870
2608 [2017/06/30] 우리말) 7월에 놀러가기 좋은 곳 머니북 2017-06-30 2474
2607 [2017/06/28] 우리말) 한판과 한 판 머니북 2017-06-29 3349
2606 [2017/06/26] 우리말) 뒷담화 머니북 2017-06-28 2704
2605 [2017/06/23] 우리말) 천장인가 천정인가 머니북 2017-06-24 3308
2604 [2017/06/22] 우리말) 서식 머니북 2017-06-22 2873
2603 [2017/06/21] 우리말) 거덜나다 머니북 2017-06-22 2485
2602 [2017/06/20] 우리말) 비슷한 말 꾸러미 사전 머니북 2017-06-22 3449
2601 [2017/06/19] 우리말) 미닫이와 빼닫이 머니북 2017-06-22 4575
2600 [2017/06/16] 우리말) 기억과 생각의 차이 머니북 2017-06-19 5297
2599 [2017/06/14] 우리말) 우둥우둥 머니북 2017-06-14 2463
2598 [2017/06/13] 우리말) 괘념 머니북 2017-06-13 2621
2597 [2017/06/12] 우리말) 빈손으로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일 머니북 2017-06-13 2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