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4/12] 우리말) 발표할 때...

조회 수 2424 추천 수 0 2016.04.16 17:30:46

생각을 다듬고 정리해서, 좋은 낱말로 천천히 말하면 내가 뜻하는 모든 것을 상대방이 이해할 수 있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바람이 좀 부네요.
그래서 애와 자전거를 타지 않고 차를 타고 나왔습니다.
바람이 제 기쁨을 빼앗아 갔습니다. ^^*

우리말은 좋은 낱말을 골라 바르게 소리 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글을 쓸 때건, 말을 할 때건 그렇게 해야 합니다.

누군가가 발표하는 것을 들으면 참으로 답답할 때가 잦습니다.
제 생각에
말을 천천히 하고, 되도록 또박또박 말하되, 필요하면 강약을 줘서 강조하면 
생각한 뜻을 오해없이 잘 전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가 생각한 답답한 말투와 이렇게 고치면 좋겠다는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목차가 되겠습니다. -> 목차입니다. 또는 차례입니다.
~사항이 되겠습니다. -> 사항입니다.
에서 분석한 내용이 되겠습니다만.. -> 에서 분석한 내용입니다. 
사료됩니다. -> 생각합니다. 또는 판단합니다.
판단되어집니다. -> 판단합니다.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보고드리겠습니다.

'되겠습니다.'는 말이 참 거슬립니다.
'이것은 화장실입니다.'라고 하면 되지, '이것은 화장실이 되겠습니다.'라고 하면 이상하잖아요.

내 입에서 정돈되지 않은 말이 나오는 것은
아직 생각이 덜 여물었다는 뜻일 겁니다.
생각을 다듬고 정리해서, 좋은 낱말로 천천히 말하면 내가 뜻하는 모든 것을 상대방이 이해할 수 있다고 봅니다.

오늘은 '천천히'를 생각하면서 살고자 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목이 메다]



안녕하세요.



그저께 저녁에 고향 동생을 만나면서 그 친구 아버님께 전화를 드렸습니다.

반가운 마음에 호기있게 전화를 드리긴 했는데,

막상 그분 목소리를 들으니 돌아가신 아버지가 생각나서 말을 잇지 못했습니다.

목이 메어 말이 안나오더군요.



어제 보내드린 편지에 소개한 낱말인 '메다'에는 여러 가지 뜻이 있습니다.

1. 뚫려 있거나 비어 있던 곳이 묻히거나 막히다.

2. 어떤 장소에 가득 차다.

3. 어떤 감정이 북받쳐 목소리가 잘 나지 않다. 

는 뜻이 있습니다.

1, 2번 뜻으로 쓰일 때 메다의 시킴꼴(사동형)이 어제 편지에서 소개한 '메우다'이고,

3번 뜻으로 쓰일 때는 시킴꼴이 없습니다.

따라서,

'목을 메웠다'라고 쓰지 않고 '목이 메게 했다'로 써야 옳습니다.



오랜만에 들은 고향 어르신의 목소리가 제 목을 메게 하네요.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832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3893
156 [2016/04/18] 우리말) 쓰임새 많은 바둑 용어 머니북 2016-04-19 2391
155 [2015/01/13] 우리말) 에라, 잘코사니라 머니북 2015-01-13 2391
154 [2010/06/22] 우리말) 차두리와 덧두리 moneybook 2010-06-22 2391
153 [2016/06/20] 우리말) 관청은 알기 쉬운 용어를 써야 한다 머니북 2016-06-21 2390
152 [2015/06/10] 우리말) 살품 머니북 2015-06-10 2390
151 [2016/01/07] 우리말) 마을/마실 머니북 2016-01-09 2389
150 [2014/03/17] 우리말) 나잇살/나쎄 머니북 2014-03-17 2389
149 [2015/12/04] 우리말) 엉터리와 터무니 머니북 2015-12-07 2387
148 [2014/12/30] 우리말) 소나기술과 벼락술 머니북 2014-12-30 2387
147 [2016/03/11] 우리말) '화두'와 '촌스럽다' 머니북 2016-03-14 2386
146 [2015/12/27] 우리말) 차지다/찰지다 머니북 2015-12-28 2385
145 [2014/10/27] 우리말) 치 머니북 2014-10-27 2385
144 [2009/09/07] 우리말) 떼려야 뗄 수 없는... id: moneyplan 2009-09-07 2385
143 [2015/05/22] 우리말) 코르크 머니북 2015-05-26 2384
142 [2014/09/03] 우리말) 과자 봉지에 우리글보다 외국어를 더 크게 쓴다고? 머니북 2014-09-03 2384
141 [2010/05/27] 우리말) 성을 먼저 쓰고 그 다음에 이름을... id: moneyplan 2010-05-27 2384
140 [2016/08/06] 우리말) 치닫다/내리닫다 머니북 2016-08-10 2383
139 [2014/03/28] 우리말) 뜨게부부와 새들꾼 머니북 2014-03-28 2383
138 [2016/05/27] 우리말) 남자와 여자 머니북 2016-05-30 2382
137 [2016/04/04] 우리말) 만발 -> 활짝 머니북 2016-04-05 2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