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4/08] 우리말) 떡볶이와 떡볶기

조회 수 3217 추천 수 0 2016.04.11 15:18:01

‘떡볶기’는 떡을 볶는 행위를 말하고 ‘떡 볶기’처럼 띄어 써야 한다. ‘떡볶이’는 떡을 볶아 놓은 음식을 가리킨다.

안녕하세요.

즐거운 금요일입니다. ^^*

오늘도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떡볶이와 떡볶기

‘떡볶이’와 ‘떡볶기’를 나란히 써 놓고 보면, 어느 것이 올바른 표기인지 헷갈릴 수가 있다. ‘떡볶기’는 떡을 볶는 행위를 말하고 ‘떡 볶기’처럼 띄어 써야 한다. ‘떡볶이’는 떡을 볶아 놓은 음식을 가리킨다. 그러니까, “떡볶이가 맛있다.”에서는 ‘떡볶이’이고, “떡 볶기가 재미있다.”에서는 ‘떡 볶기’이다. ‘구두닦이’와 ‘구두 닦기’도 마찬가지이다. 구두 닦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은 ‘구두닦이’이고, 구두를 닦는 행동을 가리켜 말할 때에는 ‘구두 닦기’이다. “구두닦이라고 해서 구두 닦기가 즐거운 것만은 아니다.”라고 구별해서 쓸 수 있다.

이처럼 ‘볶다’, ‘닦다’와 같은 말들은 그 명사형인 ‘볶기’, ‘닦기’ 외에 각각 음식 이름(‘-볶이’)과 직업 이름(‘-닦이’)을 나타내는 뒷가지로도 쓰임을 알 수 있다. 한 가지 예를 더 들면, ‘곱꺾이’란 말도 ‘꺾다’가 일을 나타내는 뒷가지(‘-꺾이’)로 쓰인 경우이다. ‘곱꺾이’는 “뼈마디를 오그렸다가 다시 폈다 하는 일”을 뜻하는 말이다. 또 음악에서 노래를 부를 때, “꺾이는 부분에 가서 소리를 낮추었다가 다시 소리를 돋우어 부드럽게 불러 넘기는 일”을 가리키기도 한다. ‘곱꺾기’가 아니라 ‘곱꺾이’임에 주의하자.

글을 쓸 때, ‘꺾다’, ‘낚다’, ‘닦다’, ‘볶다’ 들처럼 어간 말에 쌍기역(ㄲ)이 오는 말들이 가끔 혼란을 준다. 중학생들에게 받아쓰기를 시켜 보면, 뜻밖에도 ‘낚시’를 ‘낙시’로, ‘낙지’를 ‘낚지’로 쓰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쌍기역 받침이 헷갈리고 있다는 증거이다. 하지만 그 용례가 많지 않으니, 잘 살펴 쓰면 어렵지 않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잊다 잊히다]



안녕하세요.



잘 아시는 것처럼 어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국장이 있었습니다.



김수환 추기경께서 여섯 달 전에 돌아가셨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석 달이 채 되지 않았습니다.

그때는 하늘이 무너지는 듯 안타까웠지만 지금은 오래된 일처럼 그때 일이 가물가물합니다.



우리는 이렇게 잘 잊나 봅니다.

그분들의 큰 뜻을 잊지 않고 잘 따라야 하는데, 이렇게 쉽게 잊나 봅니다.



'잊다'는 "한번 알았던 것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기억해 내지 못하다."는 뜻입니다.

이 잊다의 피동형이 '잊히다'입니다.

오래전에 잊힌 일들을 다시 얘기할 필요는 없다나 정곡을 찌르는 그 말 한마디는 잊히지가 않는다처럼 씁니다.



이를 잊혀지다로 잘못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래전에 잊혀진 일들, 말 한마디는 잊혀지지가 않는다는 틀린 말입니다.

잊혀진 철도 틀렸습니다.



비록 사람은 가셨지만 그분들의 큰 뜻은 잊히지 않을 겁니다.



거듭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064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6245
2356 [2012/09/07] 우리말) 주리팅이 머니북 2012-09-07 4296
2355 [2007/08/23] 우리말) 갖바치 내일 모레 id: moneyplan 2007-08-23 4288
2354 [2017/11/13] 우리말) 금도 머니북 2017-11-16 4280
2353 [2017/11/06] 우리말) 우리나라와 저희나라 머니북 2017-11-06 4276
2352 [2006/11/01] 우리말) 아빠, 원준이 또 똥쌌어요 id: moneyplan 2006-11-01 4273
2351 [2011/11/02] 우리말) 오순도순과 오손도손 머니북 2011-11-02 4267
2350 [2011/08/31] 우리말) 줄거리와 졸가리 머니북 2011-08-31 4264
2349 [2006/11/29] 우리말) '메모지'가 아니라 '적바림'입니다 id: moneyplan 2006-11-30 4251
2348 [2011/07/21] 우리말) 아부재기 머니북 2011-07-21 4236
2347 [2008/11/07] 우리말) 안스럽다와 안쓰럽다 id: moneyplan 2008-11-07 4225
2346 [2011/08/22] 우리말) 휘지르다와 지다위 머니북 2011-08-22 4219
2345 [2007/01/19] 우리말) 외교부가 하는 꼬라지 하고는... id: moneyplan 2007-01-19 4207
2344 [2017/11/22] 우리말) 머니북 2017-11-23 4193
2343 [2007/01/22] 우리말) 쉼표와 마침표 id: moneyplan 2007-01-22 4189
2342 [2006/12/22] 우리말) 외골수/외곬 id: moneyplan 2006-12-22 4185
2341 [2007/01/02] 우리말) 담배를 꼭 끊어보겠다는 큰 보짱이 있습니다 id: moneyplan 2007-01-02 4183
2340 [2014/08/25] 우리말) '가지다'와 '지니다'의 차이 머니북 2014-08-26 4177
2339 [2008/01/30] 우리말) 좀이 쑤시다 id: moneyplan 2008-01-30 4176
2338 [2006/12/23] 우리말) 우리말편지가 책으로 나왔습니다 id: moneyplan 2006-12-26 4176
2337 [2013/07/31] 우리말) 우편번호 읽기 머니북 2013-07-31 4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