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1/07] 우리말) 마을/마실

조회 수 2390 추천 수 0 2016.01.09 08:37:07

마실/마을
이쁘다/예쁘다
찰지다/차지다
~고프다/~고 싶다
를 복수표준어로 올렸습니다.

안녕하세요.

날씨가 추울 거라고 했는데, 생각보다는 따뜻하네요. 겨울에는 추워야 제 맛인데, 걱정입니다. ^^*

지난해 12월 14일, 국립국어원은 낱말 11개를 표준말로 올린다고 발표했습니다.
지난 2011년에 짜장면, 먹거리 따위를 표준말로 올렸고,
2014년에는 꼬시다 등 13개를 표준말로 올린데 이어 1988년 표준어 규정을 고시한 이후 세 번째입니다.
표준이 자주 바뀌는 것 같아 걱정도 되지만, 사전이 그만큼 현실 언어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좋다고 봅니다.

기나긴 겨울 밤, 심심한데 '마실'이나 나갈까?
이제 막 걷기 시작한 자네 셋째, 참 '이쁘네'. 

위에 있는 월을
기나긴 겨울 밤, 심심한데 '마을'이나 나갈까?
이제 막 걷기 시작한 자네 셋째, 참 '예쁘네'. 
라고 하면 말맛이 조금 달라집니다.

이런 현실을 반영하여,
마실/마을
이쁘다/예쁘다
찰지다/차지다
~고프다/~고 싶다
를 복수표준어로 올렸습니다.

잎새/잎사귀
푸르르다/푸르다
도 별도 표준어로 올렸습니다.

이렇게 사전은 새 뜻을 넣으면서 발전합니다.

앞으로는 '촌스럽다'에도
"어울린 맛과 세련됨이 없이 어수룩한 데가 있다."는 뜻과 함께
"유달리 시골을 좋아하는 사람"이나
"여유로운 삶을 찾아 촌으로 들어가는 사람"과 같은 뜻도 사전에 같이 올리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제가 몇 년째 이렇게 떠들고 있는데도 사전에 안 올라가네요. ^^*

저는 무척 촌스럽습니다.
촌에서 나서, 촌과 관련된 일을 하고, 촌을 좋아하며, 지금도 촌에 살고 있으며, 앞으로도 촌에서 살 것이니
저는 당연히 촌스럽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안녕과 앞날]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편지를 쓰다 보니 글을 쓰는 손이 좀 어색하네요. 
우리는 지난주에 노무현 전 대통령을 편안히 쉴 수 있는 곳으로 보내드렸습니다.
허전하고, 아쉽고, 미련이 남지만 그래도 보내드렸습니다.

우리말에 헤어질 때와 만날 때 모두 쓰는 낱말이 있습니다.
만날 때도 쓰고 헤어질 때도 그 낱말을 씁니다.

'안녕'이 그런 낱말입니다.
우리는 아침에 동료를 만나면 "안녕!"이라고 반갑게 인사합니다.
어젯밤에 잘 잤냐는 안부를 묻는 거죠.
저녁에 집에 가면서도 "안녕!"이라고 합니다.
아무 탈 없이 잘 갔다가 내일 다시 보자는 말이겠죠.
사전에 오른 뜻은
감탄사로 "편한 사이에서, 서로 만나거나 헤어질 때 정답게 하는 인사말."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만날 때도 '안녕'이라고 말하고, 헤어질 때도 '안녕'이라 말합니다.

'앞날'도 두 가지 뜻이 있습니다.
앞날은 이전의 어느 날이나 얼마 전이라는 뜻을 지녀 "전날"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그러면서 "앞으로 닥쳐올 날"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우리는 지난주에 '안녕'하지 못했고 
쓰린 가슴을 부여잡고 노 전 대통령에게 '안녕'이라고 인사하며 보내드렸습니다.
그분이 살아오신 '앞날'을 지지한 사람도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겠지만,
그분의 뜻에 따라,
우리 '앞날'은 서로 싸우지 않고 살아야 할 겁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847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4054
2456 [2009/06/15] 우리말) 음식 맛 id: moneyplan 2009-06-15 2429
2455 [2009/03/27] 우리말) 오늘은 예전에 보낸 편지로... id: moneyplan 2009-03-27 2430
2454 [2016/04/12] 우리말) 발표할 때... 머니북 2016-04-16 2430
2453 [2009/08/06] 우리말) 중과 가운데 id: moneyplan 2009-08-06 2432
2452 [2010/06/17] 우리말) 승패와 성패 moneybook 2010-06-17 2432
2451 [2010/08/18] 우리말) 언어예절 moneybook 2010-08-18 2433
2450 [2016/02/18] 우리말) 핑크빛과 핑큿빛 머니북 2016-02-19 2433
2449 [2009/04/10] 우리말) 파렴치와 몰염치 id: moneyplan 2009-04-10 2434
2448 [2010/08/03] 우리말) 미덥다와 구덥다 moneybook 2010-08-03 2434
2447 [2016/06/09] 우리말) 나라지다 머니북 2016-06-10 2434
2446 [2014/03/1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ㄴㄲ하다) 머니북 2014-03-18 2435
2445 [2016/04/19] 우리말) 신문 기사를 잇습니다 머니북 2016-04-22 2435
2444 [2012/04/26] 우리말) 광화문 안내판 머니북 2012-04-27 2436
2443 [2015/12/22] 우리말) 차지다/찰지다 머니북 2015-12-23 2436
2442 [2016/09/02] 우리말) 드레지다 머니북 2016-09-07 2436
2441 [2008/08/19] 우리말) 여태와 여직 id: moneyplan 2008-08-19 2437
2440 [2009/07/10] 우리말) 예전 편지로... id: moneyplan 2009-07-10 2437
2439 [2010/05/24] 우리말) 서털구털 id: moneyplan 2010-05-24 2438
2438 [2009/02/17] 우리말) 큰 별이 지셨네요 id: moneyplan 2009-02-17 2439
2437 [2012/12/24 우리말) 뜯어보다 머니북 2012-12-24 2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