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2/14] 우리말) 사랑을 쓸려거든

조회 수 2243 추천 수 0 2015.12.15 15:21:52

.

안녕하세요.

비가 조금씩 내리네요.
이번주도 즐겁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사랑을 쓸려거든 연필로 쓰세요-성기지 운영위원
우리가 평소에 자주 쓰는 말 가운데 발음을 잘못 알고 사용하고 있는 사례가 적지 않다. 물론 아주 쉬운 말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그런 사례 가운데, 우리가 의심 없이 쓰고 있는 ‘집에 갈려고’, ‘밥을 먹을려고’, ‘일찍 잘려고’, ‘오늘 할려고’ 들과 같은 말들이 있다. 잘못 된 발음이다.

‘갈려고’는 동사 ‘가다’의 어간에 어미 ‘-려고’가 붙어 쓰인 경우인데, 중간에 ‘ㄹ’ 받침이 불필요하게 끼어들었다. 이 말은 ‘갈려고’가 아니라 ‘가려고’가 맞다. ‘먹을려고’는 ‘먹으려고’가 맞고, ‘잘려고’는 ‘자려고’로, ‘할려고’도 ‘하려고’로 해야 올바른 말이 된다. 우리 대중가요 중에 “사랑을 쓸려거든 연필로 쓰세요”라든가, “울려고 내가 왔던가, 웃을려고 왔던가”라는 가사들이 있는데, 이때의 ‘쓸려거든’, ‘웃을려고’ 들도 각각 ‘쓰려거든’, ‘웃으려고’를 잘못 쓴 것이다.

ㄹ 받침을 붙여서 말하는 경우는 ‘울다’, ‘날다’, ‘흔들다’ 들처럼, 어간이 ㄹ 받침으로 끝나는 말일 때에 한한다. 이때에는 ‘울려고’, ‘날려고’, ‘흔들려고’ 들처럼 말한다. 예를 들어, “이 집을 사려고 한다.”와 “이 집에 살려고 한다.”에서, ‘사려고’와 ‘살려고’는 각각 서로 다른 낱말임을 알 수 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구구단]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6:56, SBS뉴스에 스친 신문에 '츄리닝'이라는 낱말이 보이네요.
"운동이나 야외 활동을 할 때 편하게 입는 옷."은 '츄리닝'이 아니라 '추리닝'이며 
이마저도 '연습복'이나 '운동복'으로 다듬었습니다.
우리말에서 외래어를 쓸 때 ㅈ과 ㅊ 다음에 ㅕ나 ㅠ를 쓰지 않습니다.
ㅓ나 ㅜ를 쓴 것과 소리에서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비젼이 아니라 비전이라 쓰고,
츄리닝이 아니라 추리닝이라 씁니다.

요즘 제 딸 지안이가 숫자를 익히고 있습니다. 오늘은 숫자 이야기를 해 볼게요.

우리말은 낱말 별로 띄어 쓰고, 그게 낱말인지 아닌지는 사전을 찾아보면 된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낱말이면 사전에 올라 있을 것이고, 사전에 올라 있지 않으면 한 낱말이 아니므로 띄어 쓴다고 했습니다.

구구단은 어떨까요?
5*5=25를 읽을 때 [오오 이십오]라고 하는데 이를 쓸 때는 어떻게 써야 바를까요?
구구단이 몽땅 사전에 올라 있을 리는 없고, 그렇다고 사전에 올라 있지 않으니 한 낱말로 볼 수 없다고 다 띄어서 쓰기도 그렇고...

구구단은 비록 사전에 올라 있지는 않지만 전체가 굳어진 표현으로 봐서 모두 붙여 쓰는 게 합리적입니다.
육육삼십육, 오오이십오, 구구팔십일처럼 쓰시면 됩니다.

딸내미가 숫자를 조금씩 알아가니 같이 노는 재미가 무척 쏠쏠합니다.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76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450
2676 [2009/07/0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7-09 2201
2675 [2015/01/06] 우리말) 개개다와 개기다 머니북 2015-01-06 2206
2674 [2009/01/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1-09 2211
2673 [2010/02/12] 우리말) 설날에 예법에 맞는 세배 해보세요 id: moneyplan 2010-02-12 2211
2672 [2015/08/04] 우리말) 그러거나 말거나 머니북 2015-08-04 2212
2671 [2009/06/01] 우리말) 안녕과 앞날 id: moneyplan 2009-06-01 2215
2670 [2009/01/07] 우리말) 흐지부지 [1] id: moneyplan 2009-01-07 2220
2669 [2014/10/20] 우리말) 웨하스 머니북 2014-10-21 2221
2668 [2015/12/23] 우리말) 올해 읽은 책을 소개합니다 머니북 2015-12-24 2223
2667 [2016/03/31] 우리말) 감치다 머니북 2016-04-01 2223
2666 [2016/07/06] 우리말) 어수룩해지려고 귀촌하는가? 머니북 2016-07-06 2227
2665 [2014/05/30] 우리말) 안갚음 머니북 2014-05-30 2229
2664 [2014/12/12] 우리말) 놈팽이와 놈팡이 머니북 2014-12-12 2229
2663 [2009/09/03] 우리말) 징크스 id: moneyplan 2009-09-03 2232
2662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234
2661 [2010/10/28] 우리말) 얼마큼 moneybook 2010-10-28 2234
2660 [2010/10/18] 우리말) 있습니다와 있음 moneybook 2010-10-18 2235
2659 [2015/02/02] 우리말) 되갚을 것은 없다 머니북 2015-02-02 2236
2658 [2009/06/17] 우리말) 제비집 id: moneyplan 2009-06-17 2237
2657 [2012/12/28] 우리말) 매무시와 매무새 머니북 2012-12-28 2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