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2/08] 우리말) 금도

조회 수 2324 추천 수 0 2015.12.08 09:16:21

.

안녕하세요.

저는 오늘부터 주말까지 필리핀으로 출장을 갑니다.
제3차 아태지역 지속가능한 농기계 지역 포럼에 참석하고, 
지속가능한 농기계화센터 기술위원회도 들어가서 우리나라 농업기계화연구에 대해 발표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저 혼자 가는 것이라 좀 걱정되 됩니다.

오늘부터 주말까지는 예전에 보낸 편지를 붙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금도를 보여야 하나 넘어야 하나...]

안녕하세요.

요즘 뉴스를 보면 정치인과 돈 이야기뿐인 것 같습니다.
누가 누구의 돈을 먹고, 누구는 무슨 돈을 쓰고...
그러면서 서로 넘어서는 안 될 선을 넘었다고 헐뜯고...

우리가 보는 말 가운데 정치인과 이름있는 학자들만 쓰는 낱말이 있어 소개합니다.
바로 '금도'입니다.
"넘어선 안 될 선"이라는 뜻으로 씁니다.
최근 뉴스를 검색해 보니 아래처럼 나오네요.

건넨 액수가...금도를 지킬 때 가능하다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90418005006

금도를 넘어선 반인륜적 언론 탄압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10090416104120

정치의 정도와 금도에 어긋난 말
http://www.gooddaysports.co.kr/news/?cset=hot&bset=view&tot_code=281&code=20896

최소한의 예의와 금도는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http://nanumnews.com/sub_read.html?uid=8513§ion=sc201&

그러나 안타깝게도
넘어서는 안 될 선이라는 뜻의 '금도(禁度)'는 사전에 없는 말입니다.

사전을 찾아보면
금도에는 아래 다섯 가지 뜻이 나옵니다.
금도(金桃) 복숭아의 한 종류. 
금도(金途) 돈줄.
금도(琴道) 거문고에 대한 이론과 연주법을 통틀어 이르는 말. 
금도(禁盜) 도둑질하는 것을 금함. 
금도(襟度) 다른 사람을 포용할 만한 도량. 
사전에는 이 다섯 가지 뜻밖에 없습니다.
어디에도 금도(禁度)는 없습니다.
사전에는 없지만 정치인과 이름있는 학자들은 씁니다.

금도를 정치인이나 학자들이 쓰시려면
"다른 사람을 포용할 만한 도량."이라는 뜻으로 써야 한다고 봅니다.
큰일을 하시는 분일수록 남을 감싸주고 안아줄 수 있어야 하잖아요.
병사들은 장군의 장수다운 배포와 금도에 감격하였다, 
경선과정에서 말과 행동 모두 금도를 보여줘야 한다,
법관의 자리에 오른 사람의 금도가 이정도인가, 
지도자로서 보여 줘야 할 금도이다처럼 써야 한다고 봅니다.
꼭 쓰시려면......

어쨌든 '금도'는 보여주거나 말거나 할 것이지, 넘거나 말거나 할 것은 아닙니다.

부탁드립니다.
오늘 편지는 특정 정치인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냥 뉴스에 검색되는 것을 보기로 들었을 뿐입니다.
결코 정치인 이야기를 한 게 아닙니다.
오늘 편지는 금도(禁度)라는 낱말이 사전에 없다는 것을 말씀드린 것뿐입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31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025
2516 [2017/01/12] 우리말) 흔줄 머니북 2017-01-13 2408
2515 [2017/01/11] 우리말) 우리말 사랑 머니북 2017-01-13 2944
2514 [2017/01/10] 우리말) 트롯트와 트롯 머니북 2017-01-10 2834
2513 [2017/01/09] 우리말) 멀찍이와 가직이 머니북 2017-01-09 2874
2512 [2017/01/02] 우리말) 끄트머리와 실마리 머니북 2017-01-02 2807
2511 [2016/12/29] 우리말) 올 한 해 읽은 책을 정리했습니다. 머니북 2016-12-29 2831
2510 [2016/12/28] 우리말) 올 한 해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를 모았습니다. 머니북 2016-12-29 2494
2509 [2016/12/27] 우리말) 해끝 머니북 2016-12-29 3120
2508 [2016/12/26] 우리말) 해넘이와 해맞이 머니북 2016-12-26 2737
2507 [2016/12/23] 우리말) 잉꼬부부와 원앙부부 머니북 2016-12-25 3364
2506 [2016/12/22] 우리말) 날개짓과 날갯짓 머니북 2016-12-23 3207
2505 [2016/12/21] 우리말) 첫걸음 머니북 2016-12-23 2625
2504 [2016/12/20] 우리말) 뚝배기와 곱빼기 머니북 2016-12-21 3131
2503 [2016/12/19] 우리말) 성 중립 언어 머니북 2016-12-20 2410
2502 [2016/12/16] 우리말) 거멀못 머니북 2016-12-19 2381
2501 [2016/12/15] 우리말) 혼밥, 혼술, 혼영, 혼말? 머니북 2016-12-19 3121
2500 [2016/12/14] 우리말) ‘살처분’에 숨겨진 의미 머니북 2016-12-15 2721
2499 [2016/12/13] 우리말) 자치동갑 머니북 2016-12-14 2564
2498 [2016/12/12] 우리말) 짐승의 어미와 새끼 머니북 2016-12-13 3138
2497 [2016/12/09] 우리말) AI, 우리말에 숙제를 던지다 머니북 2016-12-12 2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