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1/05] 우리말) 찜찜하다/찝찝하다

조회 수 2650 추천 수 0 2015.11.05 14:21:11

우리말에 '벗바리'라는 멋진 낱말이 있습니다.
"뒷배를 보아 주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그는 어찌나 벗바리가 좋은지 근무 태도가 좋지 않은데도 아무도 내칠 수가 없었다.’처럼 씁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보낸 편지에서
'아침부터 목이 칼칼한 게 영 찜찜합니다.'라고 했는데요.
'찜찜하다'가 틀린 게 아니냐는 말씀이 있었습니다. '찝찝하다'가 맞지 않냐는 거죠.


찜찜하다와 찝찝하다는 뜻이 비슷합니다.
사전 풀이에 따르면,
'찜찜하다'는 "마음에 꺼림칙한 느낌이 있다."이고,
'찝찝하다'는 "(속되게) 개운하지 않고 무엇인가 마음에 걸리는 데가 있다."입니다.

뜻풀이가 거의 같아서 저는 가르지 않고 아무거나 씁니다. ^^*

아침에 받은 편지 가운데 함께 읽고 싶은 글이 있어 소개합니다.
양구여자고등학교에 계시는 정운복 선생님이 쓰신 글입니다.

올해 노벨상을 보면서

지구별에 살고 있는 인구의 총량은 67억 정도 된다고 합니다.
그중에 우리나라는 약 5,000만 정도의 인구이고
유태인은 1,700만 정도 됩니다.

그리고 국민 평균 아이큐나 국제 수학올림피아드 성적을 보면
우리는 세계에서 1,2위를 다투지만
유태인은 30위 근처를 헤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노벨상을 받은 것으로만 판단하면 우리나라는 1명인데 비하여 유태인은 184명이나 됩니다.
물론 노벨상이 민족이나 국가의 장래를 재는 척도는 될 수 없겠지만
일단 우리나라 입장에서 보면 기분이 언짢은 것이 사실입니다.

유태인은 머리도 좋지 않고, 수학도 못하고, 인구도 적은데....
우리와 비교불허일 정도로 우수한 사람들이 많이 배출되고
그 사람들이 인류에게 끼친 영향이 지대하다는 것은
한 번쯤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것은 어쩌면 교육의 차이에서 오는 것일는지 모릅니다.
유태인은 자유로운 생각의 전환을 많이 가르칩니다.
즉 토론과 논쟁을 통하여 답을 찾아가도록 유도하지요.

흥부와 놀부를 가르치면
우린 놀부는 나빠서 벌을 받고 흥부는 착해서 복을 받는다고 가르칩니다.
왜? 라는 물음은 생략되고, 혹여 묻는 사람이 있으면 머리 나쁜 부진아로 치부됩니다.

왜 놀부는 부모의 재산을 혼자 독차지하게 되었으며
흥부는 상황을 벗어나려고 노력하지 않았는지.....
누구의 잘잘못을 떠나 상황 논리 속에서 자신만의 정답을 찾아가야 합니다.
생각의 근력을 길러야 하는 것이지요.

수학을 잘하는 사람으로 키우려면
어려운 문제를 풀고 답을 잘 내는 것이 아니라
수학적인 사고로 문제해결력을 발휘하는 사람으로 성장시켜야 하는 것이고

언어나 사회탐구 분야에서 뛰어난 사람으로 키우려면
교과서나 참고서에 있는 모범답안을 줄줄이 외워 그대로 옮기는 사람이 아니라
풍부한 독서와 깊은 사색에서 나오는 자신만의 창의적 답안을 써내는 사람으로 키워내야 합니다.

우리 민족이 우수하다고 오만하게 앉아 있을 것이 아니라
현실의 통렬한 반성을 통한 미래 성장을 바라보아야 합니다.
우린 결코 나약하거나 뒤떨어진 민족이 아니니 말입니다.

*아주 단순 무식하게 인구비례로만 계산한다면
유태인이 184명의 노벨상을 배출할 때 우리도 540명을 배출했어야 했습니다. ㅠㅠ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나라비]

안녕하세요.

오늘도 일본말 하나 알아볼게요.

공무원 들이 하는 일 가운데 많은 부분이 일정한 기준에 따라 순서를 매기고 예산 범위에서 어느 선까지 지원해 주는 것일 겁니다.
쉽게 말해 점수에 따라 나란히 줄을 세운 후 위에 있는 순서대로 지원하는 것이죠.
이런 것을 두고 흔히 '나라비세웠다'고 합니다.
제 경험으로 사회에서는 별로 쓰지 않는데 유독 공무원들이 많이 쓰는 낱말 같습니다.
이것도 공무원들의 권위 의식인지는 모르지만,
어쨌든 공무원들이 자주 쓰는 낱말입니다.

나라비는 일본말 び로 ならび[나라비]라 읽습니다.
늘어섬, 늘어선 모양을 뜻하는 이름씨 입니다.

나라비라 하지 않고,
한 줄로 세웠다나 나란히 세웠다고 하면 됩니다.
나라비를 세웠다고 해야 공무원의 체면이 서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779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3438
» [2015/11/05] 우리말) 찜찜하다/찝찝하다 머니북 2015-11-05 2650
2415 [2016/02/18] 우리말) 핑크빛과 핑큿빛 머니북 2016-02-19 2651
2414 [2016/01/13] 우리말) 대갚음/되갚음 머니북 2016-01-14 2652
2413 [2016/05/27] 우리말) 남자와 여자 머니북 2016-05-30 2652
2412 [2016/06/09] 우리말) 나라지다 머니북 2016-06-10 2653
2411 [2009/08/06] 우리말) 중과 가운데 id: moneyplan 2009-08-06 2654
2410 [2010/10/14] 우리말) 답은 '노르다'입니다 moneybook 2010-10-14 2654
2409 [2015/03/13] 우리말) 쑥되고 말았다 머니북 2015-03-13 2654
2408 [2015/12/22] 우리말) 차지다/찰지다 머니북 2015-12-23 2654
2407 [2016/05/13] 우리말) 퍼센트와 퍼센트 포인트 머니북 2016-05-13 2656
2406 [2009/03/07] 우리말) 어머니 글(예전에 보낸 편지) id: moneyplan 2009-03-09 2657
2405 [2009/08/10]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9-08-14 2657
2404 [2016/07/26] 우리말) 어떻게/어떻해 머니북 2016-08-10 2657
2403 [2016/06/08] 우리말) 나달 머니북 2016-06-10 2658
2402 [2009/06/24] 우리말) 짝꿍과 맞짱 id: moneyplan 2009-06-24 2659
2401 [2014/12/26] 우리말) 피로해소/원기회복 머니북 2014-12-29 2660
2400 [2015/06/08] 우리말) 사춤 머니북 2015-06-09 2660
2399 [2016/07/01] 우리말) 감격해하다 머니북 2016-07-06 2660
2398 [2014/11/17] 우리말) 막냇동생 머니북 2014-11-17 2661
2397 [2009/10/30] 우리말) 동서남북과 세한마높 id: moneyplan 2009-10-30 26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