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0/16] 우리말) 사열/빠름

조회 수 2445 추천 수 0 2015.10.16 10:09:13

빠르다는 "어떤 동작을 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다."는 뜻으로 속도가 빠른 것이고,
시기가 대중이나 기준을 잡은 때보다 앞설 때는 '이르다'를 써야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에는 KBS방송에서 잘 못 나온 게 두 개나 보이네요.

1. 6:33쯤, 동아일보 기사를 소개하면서 "대통령이 사열을 받고 있다."고 했습니다.
'사열'은 "부대의 훈련 정도, 사기 따위를 열병과 분열을 통하여 살피는 일"로
대통령이 사열을 '하는 것'입니다.
사열을 받는 것은 부대입니다.
'대통령이 미국 부대를 사열하고 있다.'고 해야 바릅니다.

2. 7:17쯤, 단풍을 소개하면서 "올해는 단풍이 빨리 온다."고 했습니다.
빠르다는 "어떤 동작을 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다."는 뜻으로 속도가 빠른 것이고,
시기가 대중이나 기준을 잡은 때보다 앞설 때는 '이르다'를 써야 합니다.
올해는 단풍이 이른 것입니다.

주말에 집 앞에 있는 황방산에 올라 단풍 맛 좀 보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임과 님]

안녕하세요.

오늘이 경칩이라네요.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깬다는 경칩...
바야흐로 이제 봄인가 봅니다. 이게 곧 꽃도 피겠죠? ^^*

우리 익은말(속담)에
'꽃 피자 님 온다.'는 말이 있습니다.
때맞추어 반가운 일이 생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그런 좋은 일이 많이 일어나면 좋겠습니다. ^^*

익은말에서는 사모하는 사람을 '임'이라 하지 않고 '님'이라 썼습니다.
현재 맞춤법에서는 사모하는 사람을 '님'이라 하지 않고 '임'이라 해야 바릅니다.
임을 그리는 마음, 임을 기다리다, 임을 못 잊다, 임과 이별하다처럼 씁니다.

속담에
'임 없는 밥은 돌도 반 뉘도 반'이라는 게 있고,
우리가 잘 아는
'임도 보고 뽕도 딴다'도 있잖아요. 
이런 속담에는 모두 '임'이라고 쓰는데,
'님'이라고 쓰는 속담이 몇 개 있습니다.
고와도 내 님 미워도 내 님(좋으나 나쁘나 한번 정을 맺은 다음에야 말할 것이 없다는 말)
내 님 보고 남의 님 보면 심화 난다(자기 님이 더 훌륭하기를 바라는 뜻에서 잘난 남의 님을 보면 마음이 편치 아니하다는 말)
꽃 피자 님 온다(때맞추어 반가운 일이 생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이 바로 그런 보기입니다.

속담까지 맞춤법에 맞춰 '님'을 '임'으로 다 바꿔야 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냥 그런 속담이 있다는 것을 말씀드릴 뿐입니다.

봄입니다.
저도 제 임과 함께 즐겁게 살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102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6609
176 [2015/07/31] 우리말) 주둥이와 아가리 머니북 2015-08-02 2449
175 [2015/05/06] 우리말) 이팝나무 머니북 2015-05-06 2449
174 [2016/06/20] 우리말) 관청은 알기 쉬운 용어를 써야 한다 머니북 2016-06-21 2447
173 [2015/09/01] 우리말) 어영부영 머니북 2015-09-02 2447
172 [2015/12/27] 우리말) 차지다/찰지다 머니북 2015-12-28 2446
» [2015/10/16] 우리말) 사열/빠름 머니북 2015-10-16 2445
170 [2015/01/15] 우리말) 토씨 머니북 2015-01-15 2446
169 [2014/12/30] 우리말) 소나기술과 벼락술 머니북 2014-12-30 2446
168 [2015/06/08] 우리말) 사춤 머니북 2015-06-09 2445
167 [2009/01/30] 우리말) 예탐과 여탐 id: moneyplan 2009-01-30 2445
166 [2016/06/17] 우리말) 분식회계 머니북 2016-06-17 2444
165 [2016/03/11] 우리말) '화두'와 '촌스럽다' 머니북 2016-03-14 2443
164 [2015/04/16] 우리말) 애성이 머니북 2015-04-16 2443
163 [2015/01/13] 우리말) 에라, 잘코사니라 머니북 2015-01-13 2443
162 [2010/07/30] 우리말) 스리와 쓰리 moneybook 2010-07-30 2443
161 [2015/09/17] 우리말) 수치레 머니북 2015-09-17 2442
160 [2015/02/11] 우리말) 모밀국수와 메일국수 머니북 2015-02-11 2442
159 [2014/11/13] 우리말) 조비비다 머니북 2014-11-13 2442
158 [2010/07/02] 우리말) 굴지와 불과 moneybook 2010-07-02 2442
157 [2015/06/10] 우리말) 살품 머니북 2015-06-10 2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