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8/20] 우리말) 배지

조회 수 2388 추천 수 0 2015.08.20 14:52:49

"신분 따위를 나타내거나 어떠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옷이나 모자 따위에 붙이는 물건."을 badge라고 하고, 우리말로는 '배지'로 씁니다. '뱃지'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조금 전에 뉴스에서 들으니 올해 국회 국정감사 일정이 확정되었다고 합니다.
국회, 국회의원들이 계시는 곳이죠.
국회의원은 옷깃에 배지를 달고 다닙니다. 
배지 안에 예전에는 國 자를 넣었는데, 요즘은 '국회'라고 한글로 넣었습니다. 
진작 그렇게 했어야 하는데, 이제라도 해서 다행입니다.

"신분 따위를 나타내거나 어떠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옷이나 모자 따위에 붙이는 물건."을 badge라고 하고, 우리말로는 '배지'로 씁니다. '뱃지'가 아닙니다.

배지...
신분을 나타내거나 뭔가를 기념하고자 붙이는 거...
굳이 신분을 나타내고 싶지 않으면 붙이지 않아도 되는 거죠?
저는 그런 게 없지만... ^_^*

고맙습니다.

아래는 지난 2009년에 보냈던 편지입니다.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안녕하세요.

약속대로 오늘 문제를 내겠습니다.
요즘은 바람이 불어서 날씨가 더 추운가 봅니다.
칼바람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몹시 매섭고 독한 바람."이라는 뜻과 "아주 혹독한 박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씁니다.
섣달 그믐께나 강을 훑고 올라온 칼바람이 살점을 도려내는 듯 아렸다처럼 씁니다.

바람은
"기압의 변화 또는 사람이나 기계에 의하여 일어나는 공기의 움직임"입니다.
남녀 관계로 생기는 들뜬 마음이나 행동도 바람이기는 하지만 여기서는 공기 움직임만 이야기하겠습니다.

하늘에 새가 날아갈 때 줄지어 날아가는 게 보이죠?
이렇게 새가 V자형으로 날아가는 이유는 에너지를 최소화하여 오래 날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새가 날 때, 새는 날갯짓으로 공기를 아래로 밀어내고, 공기는 새를 위로 밀어올리죠.
동시에 아래로 움직이는 공기는 바로 밑의 다른 공기와 부딪치면서 위쪽으로 소용돌이치게 되는데,
이때 위쪽으로 소용돌이치는 공기가 상승기류를 만들어내고 이를 뒤따라오는 새가 써먹는 거죠. 

가끔은, 요즘처럼 바람이 세게 부는 날에 보면,
하늘에 새가 떠 있는데 날갯짓을 전혀 하지 않고 불어오는 바람에 날개 방향만 바꿔가면서 하늘에 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바로 이처럼 새가 바람을 타고 놀며 날갯짓을 전혀 하지 않는 바로 그 날개를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겁니다.
불어오는 바람에 맞서 칼로 뭔가를 가르듯, 날개로 바람을 가른다고 해서 붙여진 말입니다.

오늘 문제는 좀 어려운가요?
오늘 편지 여기저기서 뚱겨드렸으니 답을 쉽게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
이렇게 문제를 내면 
어떤 분은 귀찮게 사전찾아보게 만든다고 꾸중을 하시기도 하지만,
이런 기회에 사전 한 번 찾아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 이런 문제를 가끔 드립니다.

바람을 칼로 가르듯...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913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4717
156 [2016/06/17] 우리말) 분식회계 머니북 2016-06-17 2404
155 [2016/04/18] 우리말) 쓰임새 많은 바둑 용어 머니북 2016-04-19 2404
154 [2014/10/27] 우리말) 치 머니북 2014-10-27 2404
153 [2015/07/15] 우리말) 온종일 머니북 2015-07-15 2403
152 [2015/02/11] 우리말) 모밀국수와 메일국수 머니북 2015-02-11 2403
151 [2014/07/07] 우리말) 사리 머니북 2014-07-07 2403
150 [2016/04/04] 우리말) 만발 -> 활짝 머니북 2016-04-05 2402
149 [2010/06/22] 우리말) 차두리와 덧두리 moneybook 2010-06-22 2402
148 [2009/02/25] 우리말) 점심과 식사 id: moneyplan 2009-02-25 2402
147 [2016/03/11] 우리말) '화두'와 '촌스럽다' 머니북 2016-03-14 2401
146 [2014/12/30] 우리말) 소나기술과 벼락술 머니북 2014-12-30 2400
145 [2016/01/07] 우리말) 마을/마실 머니북 2016-01-09 2399
144 [2015/12/27] 우리말) 차지다/찰지다 머니북 2015-12-28 2399
143 [2015/05/22] 우리말) 코르크 머니북 2015-05-26 2398
142 [2015/06/10] 우리말) 살품 머니북 2015-06-10 2397
141 [2009/09/07] 우리말) 떼려야 뗄 수 없는... id: moneyplan 2009-09-07 2397
140 [2016/08/06] 우리말) 치닫다/내리닫다 머니북 2016-08-10 2396
139 [2015/09/23] 우리말) '구경하다'와 '좋은 구경 하다' 머니북 2015-09-23 2395
138 [2015/06/08] 우리말) 사춤 머니북 2015-06-09 2395
137 [2014/03/28] 우리말) 뜨게부부와 새들꾼 머니북 2014-03-28 2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