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3/09] 우리말) 봉오리와 봉우리

조회 수 2339 추천 수 0 2015.03.09 09:18:34

망울만 맺히고 아직 피지 아니한 꽃은 '봉오리' 또는 '꽃봉오리'라고 합니다.
이와 헷갈리는 낱말이 '봉우리'입니다.
'봉우리'는 산에서 뾰족하게 높이 솟은 부분으로 '산봉우리'라고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우리말편지를 보내죠?
그동안 편지를 못 보내서 죄송합니다.
일하는 사무실을 옮겼고, 어머니는 한 달 동안 병원에 입원하셨고, 두 번이나 외국에 다녀왔습니다.
그러느라 한 달 동안 편지를 보내지 못했습니다.
미리 말씀 못드리고 편지를 보내지 않아서 죄송합니다.

요즘 봄입니다.
여기저기 꽃봉오리가 보이네요. ^^*
망울만 맺히고 아직 피지 아니한 꽃은 '봉오리' 또는 '꽃봉오리'라고 합니다.
이와 헷갈리는 낱말이 '봉우리'입니다.
'봉우리'는 산에서 뾰족하게 높이 솟은 부분으로 '산봉우리'라고도 합니다.

여기저기 꽃봉오리가 많이 보입니다. 곧 봄이 오겠죠? ^^*
이런 꽃봉오리는 앞산에 있는 산봉우리에도 있고, 뒷산에 있는 봉우리에도 있을 겁니다.
하루빨리 따뜻한 봄이 오길 기대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트렌드와 흐름]

안녕하세요.

저는 가끔
"당신은 영어나 한자를 모두 버리고 순 우리말만 쓰자고 고집하는 것이냐?"는 질문을 받습니다.

저는 그럴 때마나 이렇게 대답합니다.
"그렇다. 순 우리말만 쓰자고 고집한다. 한자 ‘도로’보다는 우리말 ‘길’을 쓰면 좋고, 영어 트렌드 보다는 흐름이라는 우리말을 쓰면 좋다.
다만, 지금 당장 고칠 수 없는 것은 꾸준히 좋은 말을 찾거나 만들면 된다.
국회라는 낱말이 일본에서 왔다고 해서 '놈팡이'로 바꿀 수도 없고, 물리나 화학이라는 낱말을 당장 안 쓸 수도 없다.
또, 하이브리드카나 클러스터, 웰빙이나 쿨비즈 같이 다른 나라에서 만들어진 낱말은 우리가 받아들이면서부터 우리말로 바꿔 받아들이는 게 좋다고 본다.
그렇다고 컴퓨터를 샘틀로 바꾸고, 이화여자대학교를 배꽃계집큰서당으로 바꾸자는 것은 아니다."
라고 이야기합니다.
예나 지금이나 제 생각은 마찬가집니다.

그래서 
'Trend를 알아야 Future를 볼 수 있다'를
'경향을 알아야 미래를 볼 수 있다'나
'일의 흐름을 알아야 앞을 내다볼 수 있다'로 바꾸는 게 좋다고 봅니다.

아래는 '바른 말을 찾아서'라는 윤재열 님의 책에서 몇 줄 따왔습니다.(227, 228쪽)
쉽고 아름다운 우리말이 있는 데도, '오물 투기, 고도 제한, 승강장' 등의 한자어를 사용하거나 '로드맵, 어젠다, 허브'등의 외래어를 쓰려는 경향은 사대주의 사상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사대 심리는 언어 표현으로 끝나지 않는다. 우리 문화를 배척하고 외국 문화에 대한 맹목적인 숭배로 이어져 마침내는 우리의 정신까지 빼앗기게 된다.
우리말을 가꾸기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국어에 대한 우리의 관심과 의식이다. 실제 언어생활에서도 아름다운 우리말을 쓰는데 앞장서야 하고, 상품 이름이나 상호를 결정할 일이 있을 때도 우리말을 잘 살려 쓰려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특히 공적인 지위에 있거나 지도자의 위치에 있는 사람들의 우리말 사용은 다른 사람들에게 모범이 되기 때문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오늘 편지는 조금 조심스럽네요. 쩝... ^^*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36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075
2516 [2011/07/13] 우리말) 대머리/민머리/맨머리 머니북 2011-07-13 5344
2515 [2013/02/18] 우리말) 간지나다 머니북 2013-02-18 5323
2514 [2007/10/09] 우리말) 어린것이 깜찍스럽다는 뜻의 낱말은? id: moneyplan 2007-10-09 5317
2513 [2008/01/29]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id: moneyplan 2008-01-29 5300
2512 [2006/12/11] 우리말) 벼리를 잘 잡아야합니다 id: moneyplan 2006-12-11 5299
2511 [2017/06/16] 우리말) 기억과 생각의 차이 머니북 2017-06-19 5297
2510 [2014/10/22] 우리말) 좀이 슬다 머니북 2014-10-23 5291
2509 [2017/10/30] 우리말) 문안 인사 머니북 2017-11-06 5276
2508 [2006/12/04] 우리말) 간지럽히다가 아니라 간질이다 id: moneyplan 2006-12-04 5273
2507 [2006/09/04] 우리말) 들이키다와 들이켜다 id: moneyplan 2006-09-04 5257
2506 [2006/11/18] 우리말) 구좌가 아니라 계좌/통장 id: moneyplan 2006-11-20 5251
2505 [2006/10/18] 우리말) 심술깨나 부리게 생겼다. 꽤나 고집이 세겠군 id: moneyplan 2006-10-18 5248
2504 [2006/09/14] 우리말) 가을내가 아니라 가으내 id: moneyplan 2006-09-14 5224
2503 [2011/11/04] 우리말) 치근거리다와 추근거리다 머니북 2011-11-04 5222
2502 [2006/09/07] 우리말) 일본 왕실의 왕자 탄생을 축하합니다 id: moneyplan 2006-09-08 5222
2501 [2006/10/21] 우리말) 고육지책 id: moneyplan 2006-10-23 5219
2500 [2006/09/24] 우리말) 산문 모음집 id: moneyplan 2006-09-25 5219
2499 [2006/10/11] 우리말) 배추 뿌리, 배추꼬랑이 id: moneyplan 2006-10-11 5209
2498 [2007/01/17] 우리말) 졸가리/줄거리 id: moneyplan 2007-01-17 5196
2497 [2006/11/23] 우리말) 머지않아 연말입니다 id: moneyplan 2006-11-23 5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