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참모총장 뇌물 수수 협의'는
'해군참모총장 뒷돈 받은 듯'으로 해도 뜻은 거뜬히 통할 수 있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아침 뉴스를 보니 전 해군참모총장이 뇌물 수수 협의로 체포되었다고 하네요.
참모총장까지 하신 분이 어쩌다가…….


뇌물(賂物)은 "어떤 직위에 있는 사람을 매수하여 사사로운 일에 이용하기 위하여 넌지시 건네는 부정한 돈이나 물건"입니다.
이는 "은밀히 주고받는 돈"이라는 뜻을 지진 '뒷돈'으로 바꿔 쓰시는 게 좋습니다.


수수(收受)는 "무상으로 금품을 받음. 또는 그런 일"로 형법에서, 수뢰죄 및 장물죄 따위를 구성하는 요건이 된다고 합니다.
이는 그냥 '받다'로 쓰면 어떨까요?

그래서
'해군참모총장 뇌물 수수 협의'는
'해군참모총장 뒷돈 받은 듯'으로 해도 뜻은 거뜬히 통할 수 있다고 봅니다.

되도록이면 한 마디를 하더라도 깨끗한 우리말을 쓰는 게 
우리 얼을 바로 세우는 길이라고 봅니다.

그래야 더러운 돈은 안 주고, 안 받죠.
저는 가난하게 살더라도 맘 편하게 살고 싶습니다.
더러운 돈과는 거리를 두고…….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맛적다와 멋쩍다]

어제 편지를 보시고 몇 분이 댓글을 달아주셨습니다.
제가 애도 아닌데 그런 투정을 부려서 죄송합니다. 
멋쩍네요. 

흔히 어색하고 쑥스러울 때 멋쩍다고 합니다.
'멋쩍다'는 그림씨(형용사)로 
그는 자신의 행동이 멋쩍은지 뒷머리를 긁적이며 웃어 보였다, 나는 그들을 다시 보기가 멋쩍었다처럼 씁니다.
이를 '멋적다'로 쓰시면 안 됩니다. 

예전에는 '멋적다'로 적었습니다.
그러나 요즘 쓰는 한글맞춤법에는 적다(少)의 뜻이 없이 소리가 [쩍]으로 나면 '쩍'으로 쓴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멋쩍다가 멋이 적다는 뜻이 아니고, 소리도 멋쩍다로 나므로 '멋쩍다'로 쓰는 게 바릅니다.
맥쩍다, 해망쩍다, 겸연쩍다, 객쩍다, 수상쩍다, 미심쩍다, 미안쩍다 따위가 그런 겁니다.

그러나 맛적다는 다릅니다. 
소리는 [맏쩍따]로 나지만 낱말 뜻에 적다(少)의 뜻이 살아 있는
"재미나 흥미가 거의 없어 싱겁다."는 뜻이므로
'맛적다'로 적는 게 옳습니다.

제가,
사람이 맛적으니 어제 일도 영 멋쩍네요.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61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323
2556 [2017/03/29] 우리말) 씨양이질 머니북 2017-03-30 3078
2555 [2017/03/27] 우리말) 이유와 원인 머니북 2017-03-27 2565
2554 [2017/03/17] 우리말) 나무 심기 좋은 때 머니북 2017-03-17 3466
2553 [2017/03/16] 우리말) 나가다와 나아가다 머니북 2017-03-17 4588
2552 [2017/03/15] 우리말) 꽃보라 머니북 2017-03-15 2467
2551 [2017/03/14] 우리말) 사저 머니북 2017-03-14 2778
2550 [2017/03/13] 우리말) 인용 머니북 2017-03-13 2841
2549 [2017/03/10] 우리말) 교보문고 머니북 2017-03-10 2938
2548 [2017/03/09] 우리말) '언어에 대하여' 머니북 2017-03-10 3099
2547 [2017/03/08] 우리말) 주기와 주년 머니북 2017-03-09 3173
2546 [2017/03/07] 우리말) 혹은과 또는 머니북 2017-03-08 3068
2545 [2017/03/06] 우리말) 홍두깨 머니북 2017-03-07 2530
2544 [2017/02/27] 우리말) 짊다와 짊어지다 머니북 2017-02-28 3986
2543 [2017/02/24] 우리말) 돌팔이와 단감 머니북 2017-02-24 3302
2542 [2017/02/22] 우리말) 역시 머니북 2017-02-22 2982
2541 [2017/02/21] 우리말) '2017년, 새롭게 인정받은 표준어는?... 머니북 2017-02-22 3391
2540 [2017/02/20] 우리말) 지표식물 머니북 2017-02-20 2790
2539 [2017/02/17] 우리말) 모, 알, 톨, 매, 벌, 손, 뭇, 코... 머니북 2017-02-17 2711
2538 [2017/02/16] 우리말) 어섯 머니북 2017-02-16 2926
2537 [2017/02/15] 우리말) 딸내미/딸따니 머니북 2017-02-16 2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