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줍게’보다는 ‘어줍잖게’라는 말을 많이 쓰고 있지만, 바른 표현이 아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읽겠습니다.



‘어줍다’와 ‘어쭙잖다’

우리말에 ‘어줍다’는 말이 있다. 서투르고 어설픈 것을 표현할 때, 또는 어쩔 줄을 몰라 겸연쩍거나 어색한 모습을 나타낼 때 쓰는 말이다. 남자가 맞선을 보면서 시선 처리를 잘 못하고 말을 더듬는다든지 하면 “그 남자는 맞선을 보면서 무척 어줍어했다.”라고 쓸 수 있다. ‘이렇게 보면 어줍다’는 말은 ‘수줍다’와 비슷한 점이 있다. ‘수줍다’는 “숫기가 없어 다른 사람 앞에서 부끄러워하다.”는 뜻으로, “그 여자는 맞선을 보면서 몹시 수줍어했다.”처럼 쓰인다. 그러니까 어줍은 남자와 수줍은 여자가 맞선을 보게 되면, 얼마나 어색한 자리가 될 것인가.

우리는 ‘어줍게’보다는 ‘어줍잖게’라는 말을 많이 쓰고 있지만, 바른 표현이 아니다. ‘어줍다’가 “서투르고 어설프다”는 뜻이니까 ‘어줍잖다’라고 하면 그 반대인 “세련되다”는 뜻을 나타내야 이치에 맞을 것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서투르고 어설픈 것을 표현할 때 ‘어줍잖다’, ‘어줍잖게’처럼 말하고 있다. 이것은 ‘우연하게’라고 말해야 할 자리에 ‘우연찮게’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어줍다’는 표준말이지만, ‘어줍잖다’는 표준말이 아니다.

그런데 ‘어줍다’와 비슷한 말로 ‘어쭙잖다’라는 말이 있다. 아주 서투르고 어설플 때, 또는 비웃음을 살 만큼 분수에 넘치는 짓을 할 때 ‘어쭙잖다’라는 말을 쓴다. 가령 “그런 어쭙잖은 실력으론 우리 회사에서 배겨나지 못할 거야.” 한다든지, “변변한 벌이도 없으면서 어쭙잖게 자가용을 몰고 다니냐?”라고 쓸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바로 이때의 ‘어쭙잖다’를 ‘어줍잖다’로 잘못 발음하고 있는 것이다.

성기지/ 한글문화연대 학술위원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920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893
2656 [2013/12/02] 우리말) 녘 머니북 2013-12-02 2506
2655 [2010/02/16] 우리말) 절 하는 방법에 대한 댓글 id: moneyplan 2010-02-16 2507
2654 [2015/01/12] 우리말) 우리는 한국인인가?(박남 님 편지) 머니북 2015-01-12 2507
2653 [2016/07/08] 우리말) 깝살리다 머니북 2016-07-11 2507
2652 [2016/03/29] 우리말) 바람만바람만 머니북 2016-03-30 2508
2651 [2009/06/01] 우리말) 안녕과 앞날 id: moneyplan 2009-06-01 2509
2650 [2015/02/10] 우리말) 메밀꽃 머니북 2015-02-10 2509
2649 [2016/04/25] 우리말) 선물과 물선 머니북 2016-04-26 2511
2648 [2014/12/02] 우리말) 추켜세우다/치켜세우다 머니북 2014-12-02 2513
2647 [2009/07/0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7-09 2514
2646 [2014/09/24] 우리말) 산득 머니북 2014-09-24 2514
2645 [2016/06/27] 우리말) 백상어의 공포 머니북 2016-06-29 2515
2644 [2015/01/06] 우리말) 개개다와 개기다 머니북 2015-01-06 2517
2643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519
2642 [2016/01/29] 우리말) 난장판의 아수라 머니북 2016-02-01 2520
2641 [2016/02/19] 우리말) 철 머니북 2016-02-25 2520
2640 [2014/03/26] 우리말) 안중근 의사 어머니 편지 머니북 2014-03-26 2522
2639 [2013/11/22]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은? 머니북 2013-11-22 2524
2638 [2016/03/09] 우리말) 꽃샘추위/잎샘추위/꽃샘잎샘 머니북 2016-03-10 2527
2637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