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12/30] 우리말) 소나기술과 벼락술

조회 수 2637 추천 수 0 2014.12.30 11:34:43

우리말에 '소나기술'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보통 때에는 마시지 아니하다가 입에만 대면 한정 없이 많이 마시는 술"로 '벼락술'이라고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무래도 연말이다보니 술자리가 잦네요.
건강 잘 챙기시면서 술드시기 바랍니다.

저는 요즘 술을 자주 마시지 않습니다. 되도록이면 이핑계 저핑계 대며 자리에 안가려고 애씁니다.
저도 나이를 먹어감에따라 점점 마시는 양이나 자리 횟수를 줄여야 할 필요성을 느낍니다.
그렇게 잘 참다가도 한번 입에 대면 예전 버릇이 나와 많이 마시게 됩니다. 그걸 참아야 하는데...

우리말에 '소나기술'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보통 때에는 마시지 아니하다가 입에만 대면 한정 없이 많이 마시는 술"로 '벼락술'이라고도 합니다.
이렇게 막소주를 배가 부르도록, 더구나 안주도 없이 쭉쭉 소나기술로 마셔 댔으니, 온전할 턱이 없었다처럼 씁니다.

어제 저녁에는 기획실 환송회라서 소나기술을 마셨습니다.
오늘은 고향 친구를 만나는데, 벼락술 마시지 않도록 잘 참아보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엉터리 말과 자막]

안녕하세요.

어제저녁 6:47에 KBS에서 '금슬이 좋다'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금슬'은 "거문고와 비파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고,
"부부간의 사랑"은 '금실'입니다.
KBS에 있는 자막 내보내는 기계가 더위를 먹었나 봅니다. ^^*

어젯밤 MBC 마감뉴스에서 한 기자가
"지리한 국회 공방..."이라고 했습니다.

'지리하다'는 '지루하다'의 잘못입니다.
표준어 규정, 제1부 표준어 사정 원칙, 제2절 제11항에 보면
모음의 발음 변화를 인정하여 발음이 바뀌어 굳어진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 게 있습니다.
그에 따라
깍정이가 아니라 깍쟁이고,
나무래다가 아니라 나무라다이고,
상치가 아니라 상추입니다.

'지루하다'도 본디는 '지리(支離)하다'가 표준어였지만,
'모음의 발음 변화를 인정하여'
지금은 '지루하다'가 표준어입니다.
"시간을 너무 오래 끌어 따분하고 싫증이 나다"는 뜻의 낱말은,
'지리하다'가 아니라 '지루하다'입니다.

저는 텔레비전이 참 고맙습니다.
내일 아침에는 무슨 반찬으로 우리말 편지를 차릴지 고민하는데,
이렇게 텔레비전이 도와주잖아요.
엉터리 자막과 말로...^^*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93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639
156 [2006/09/13] 우리말) 고개를 숙이고 땅을 쳐다봐? id: moneyplan 2006-09-13 5642
155 [2006/11/17] 우리말) '폼' 버리고 '품' 잡게요 id: moneyplan 2006-11-17 5644
154 [2006/10/30] 우리말) '한목'과 '한몫' id: moneyplan 2006-10-30 5650
153 [2017/05/18] 우리말) 해찰하다/헤찰하다 머니북 2017-05-18 5655
152 [2013/05/16] 우리말) 불초소생 머니북 2013-05-16 5669
151 [2006/09/06] 우리말) 코스모스꽃? 살사리꽃! id: moneyplan 2006-09-06 5705
150 [2006/10/14] 우리말) 가을이 오는 속도 id: moneyplan 2006-10-14 5729
149 [2006/09/08] 우리말) 자세한 내역? 자세한 내용? 자세하게? id: moneyplan 2006-09-08 5734
148 [2006/09/19] 우리말) 고랭지, 고냉지, 고령지 id: moneyplan 2006-09-19 5734
147 [2006/12/18] 우리말) 암캐도 복제 성공했다 id: moneyplan 2006-12-19 5735
146 [2007/09/06] 우리말) 지킴이와 지기의 반대말 id: moneyplan 2007-09-06 5739
145 [2006/09/07] 우리말) 휭하니 >> 힁허케 id: moneyplan 2006-09-07 5746
144 [2007/03/22] 우리말) 미역 서식지? id: moneyplan 2007-03-22 5747
143 [2017/11/27] 우리말) 오늘까지만 우리말 편지를 보냅니다 머니북 2017-11-27 5751
142 [2006/11/16] 우리말) 난이도가 있다? 난이도가 높다? id: moneyplan 2006-11-16 5755
141 [2006/10/16] 우리말) 아싸리 말해서 이거 똔똔입니다 id: moneyplan 2006-10-16 5761
140 [2008/11/06] 우리말) 관용구란? id: moneyplan 2008-11-06 5761
139 [2013/08/29] 우리말) 점잔과 점잖 머니북 2013-08-29 5767
138 [2006/12/20] 우리말) 세모가 아니라 세밑! id: moneyplan 2006-12-20 5771
137 [2008/09/04] 우리말) 알켜주다와 갈켜주다 id: moneyplan 2008-09-04 5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