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12/26] 우리말) 피로해소/원기회복

조회 수 2653 추천 수 0 2014.12.29 09:37:56

'피로'는 "과로로 정신이나 몸이 지쳐 힘듦. 또는 그런 상태."를 뜻합니다.
따라서 '피로'는 없애야 하지 굳이 '회복'할 필요는 없습니다.
회복한다면 원기를 회복해야겠죠.
'피로회복'이 아니라 '원기회복'이나 '피로해소'가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주 지나고, 다음 주 사흘만 지나면 2014년이 역사 속으로 사라집니다.
별로 한 일이 없고, 딱히 내세울 게 없다 보니 더 허전한가 봅니다.

저는 이달 말을 끝으로 기획실을 떠나 연구하는 곳으로 갑니다.
그동안 기획실에서 함께 고생하신 분들을 모시고 오늘 저녁을 함께할 생각입니다.
그동안 많이 도와주셔서 고맙다는 말씀은 드리고 떠나는 게 도리라서요. ^^*

오늘 아침 6:46에 문화방송 뉴스에서 포도주를 마시면 '부기 완화'와 '피로회복'에 좋다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피로회복... 정말 이제는 입이 아플 지경입니다.
'피로'는 "과로로 정신이나 몸이 지쳐 힘듦. 또는 그런 상태."를 뜻합니다.
따라서 '피로'는 없애야 하지 굳이 '회복'할 필요는 없습니다.
회복한다면 원기를 회복해야겠죠.
'피로회복'이 아니라 '원기회복'이나 '피로해소'가 바릅니다.

오늘 저녁에 기획실 분들과 시간을 함께하면서
그동안의 피로를 해소하고(없애고), 좋은 음식 많이 먹으면서 원기를 회복하고 오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인제와 이제]

안녕하세요.

주말 잘 쉬셨나요?
아침에 안개가 낀 것을 보니 오늘도 무척 더울 것 같네요.

오늘은 '이제'와 '인제'를 갈라볼게요.
소리가 비슷해서 자주 헷갈리는 낱말입니다.

'이제'가 어찌씨(부사)로 쓰일 때는
"바로 이때에"라는 뜻으로 지나간 때와 단절된 느낌을 줍니다.
이제 며칠 뒤면 졸업이다, 돈도 떨어지고 이제 어떻게 하지?처럼 습니다.

'인제'도 어찌씨로 쓰일 때는
"이제에 이르러"라는 뜻으로 지금부터 앞으로를 뜻합니다.
인제 막 가려는 참이다, 인제 생각하니 후회가 된다처럼 씁니다.

그래도 헷갈리신다고요? 
다시 좀 쉽게 갈라보면,
'이제'는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를 뜻하고,
'인제'는 현재부터 앞으로를 뜻합니다. '이제부터 얼마 안 가서'라는 뜻입니다.

오늘이 월요일입니다.
'이제'까지 잘 쉬셨으니 '인제'는 또 열심히 일해야겠죠?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766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3316
2536 [2010/07/15] 우리말) 본데와 본때 moneybook 2010-07-15 2566
2535 [2015/11/06] 우리말) 싸가지와 거시기 머니북 2015-11-09 2568
2534 [2008/11/08] 우리말) 제가 상을 받았습니다 ^^* id: moneyplan 2008-11-10 2569
2533 [2014/07/18] 우리말) 즈런즈런 머니북 2014-07-18 2569
2532 [2016/09/21] 우리말) 햇것 머니북 2016-11-01 2569
2531 [2016/06/17] 우리말) 분식회계 머니북 2016-06-17 2570
2530 [2015/10/30] 우리말) 무료로 주고 공짜로 받고 머니북 2015-11-02 2571
2529 [2015/04/16] 우리말) 애성이 머니북 2015-04-16 2572
2528 [2014/11/06]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머니북 2014-11-06 2573
2527 [2009/04/10] 우리말) 파렴치와 몰염치 id: moneyplan 2009-04-10 2574
2526 [2015/05/22] 우리말) 코르크 머니북 2015-05-26 2576
2525 [2010/06/22] 우리말) 차두리와 덧두리 moneybook 2010-06-22 2579
2524 [2016/04/04] 우리말) 만발 -> 활짝 머니북 2016-04-05 2579
2523 [2010/07/08] 우리말) 처서가 아니라 소서 moneybook 2010-07-08 2580
2522 [2015/04/01] 우리말) 누룽지튀각과 눌은밥튀각 머니북 2015-04-01 2580
2521 [2014/06/05] 우리말) 무투표 당선 머니북 2014-06-05 2582
2520 [2016/04/18] 우리말) 쓰임새 많은 바둑 용어 머니북 2016-04-19 2585
2519 [2015/06/22] 우리말) 유월 머니북 2015-06-22 2586
2518 [2015/01/13] 우리말) 에라, 잘코사니라 머니북 2015-01-13 2587
2517 [2015/07/08] 우리말) 하굿둑(2) 머니북 2015-07-08 2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