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11/13] 우리말) 조비비다

조회 수 2613 추천 수 0 2014.11.13 19:29:21

.

안녕하세요.

어찌 그리 날을 잘 맞추는지요.
수능시험 보는 것을 기가 막히게 알고 날씨가 춥네요. ^^*

모든 시험이 다 그렇지만
시험 볼 때는 떨리고, 결과에 따라 웃는 사람이 있고 우는 사람이 있습니다.

시험 보는 사람이 누구보다 고생이지만,
그걸 바라보며 조비비는 부모님이나 선생님도 맘고생이 크다는 것을 알아줄지….

'조바심'이 무슨 뜻인지는 잘 아실 겁니다.
그 '조바심'이라는 낱말과 비슷한 뜻을 지닌 '조비비다'라는 움직씨(동사)가 있습니다.
(주로 '조비비듯' 꼴로 쓰여) 조가 마음대로 비벼지지 아니하여 조급하고 초조해진다는 뜻으로,
마음을 몹시 졸이거나 조바심을 냄을 이르는 말입니다.
'판결을 앞두고 마음이 조비비듯 하다, 애가 밤늦게까지 들어오지 않아 조비비듯 기다렸다.'처럼 씁니다. 

지나고 보면 별 거 아닌데, 시험 때는 왜 그리 떨리는지….^^*
오늘 시험 보신 모든 분에게 행운이 함께하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엉터리 자막 몇 개]

어서오세요. 

토요일 아침 6:05, SBS
'열개', '되는게 아냐?'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단위는 앞말과 띄어 씁니다. '열 개'가 맞습니다. 
'되는 게 아냐?'가 맞습니다.

토요일 오전 10:54, KBS1
출연자가 "제 와이프"라고 이야기했고, 자막에는 '제 부인'이라고 나왔습니다.
부인은 "남의 아내를 높여 이르는 말"입니다.
'아내'라고 하는 게 맞습니다.

어느 방송이었는지 기억하지 못하지만
'압정'이라는 말이 나왔습니다. 자막에도 그렇게 나왔습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을 찾아보면
"대가리가 크고 촉이 짧아서 흔히 손가락으로 눌러 박는 쇠못."이라 나와 있고
'누름 못', '누름 핀'으로 다듬었다고 나와 있습니다.

토요일 저녁 9:13, KBS뉴스
"첫 접촉을 가졌다."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처음으로 만났다."라고 하는 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일요일 오후 4:40, MBC
'홍길동씨'라고 이름과 '씨'를 붙여서 썼습니다.
호칭과 이름을 띄어서 쓰는 게 맞습니다.
곧이어 41분에
'몇개'라는 자막이 있었습니다.
'몇 개'가 맞습니다.

일요일 오후 6:18, MBC
'옷걸이가 좋다'고 했습니다. 사회자가 그렇게 말하고 자막도 그렇게 나왔습니다.
'옷걸이'는 "옷을 걸어 두도록 만든 물건"이고,
"옷을 입은 맵시."는 '옷거리'입니다.
옷거리가 좋다, 옷거리가 늘씬하다처럼 씁니다.

일요일 오후 6:23, KBS2
'세시간'이라는 자막과 '3시간'이라는 자막을 내 보냈습니다.
'세 시간'이 맞고 '3시간'으로 붙여 쓰실 수 있습니다.

같은 방송에서 6:54
'성공하던 실패하던'이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던'은 과제 '든'은 조건에 쓰입니다.
'성공하든 실패하든'이 맞습니다.

저는 주말에 텔레비전을 자주 보는 편이 아닙니다.
근데도 그렇게 보입니다.
이 일을 어쩌죠?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07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3723
2416 [2016/01/13] 우리말) 대갚음/되갚음 머니북 2016-01-14 2663
2415 [2009/08/06] 우리말) 중과 가운데 id: moneyplan 2009-08-06 2665
2414 [2010/10/14] 우리말) 답은 '노르다'입니다 moneybook 2010-10-14 2665
2413 [2009/08/10]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9-08-14 2666
2412 [2014/12/26] 우리말) 피로해소/원기회복 머니북 2014-12-29 2666
2411 [2015/03/13] 우리말) 쑥되고 말았다 머니북 2015-03-13 2666
2410 [2015/06/10] 우리말) 살품 머니북 2015-06-10 2666
2409 [2009/03/07] 우리말) 어머니 글(예전에 보낸 편지) id: moneyplan 2009-03-09 2667
2408 [2015/12/22] 우리말) 차지다/찰지다 머니북 2015-12-23 2667
2407 [2016/02/18] 우리말) 핑크빛과 핑큿빛 머니북 2016-02-19 2667
2406 [2016/07/26] 우리말) 어떻게/어떻해 머니북 2016-08-10 2667
2405 [2016/05/13] 우리말) 퍼센트와 퍼센트 포인트 머니북 2016-05-13 2668
2404 [2016/06/09] 우리말) 나라지다 머니북 2016-06-10 2669
2403 [2014/11/17] 우리말) 막냇동생 머니북 2014-11-17 2670
2402 [2016/05/27] 우리말) 남자와 여자 머니북 2016-05-30 2671
2401 [2009/06/24] 우리말) 짝꿍과 맞짱 id: moneyplan 2009-06-24 2672
2400 [2016/06/08] 우리말) 나달 머니북 2016-06-10 2672
2399 [2013/07/19] 우리말) 벌써와 벌써부터 머니북 2013-07-19 2675
2398 [2015/12/15] 우리말) 육질과 과육 머니북 2015-12-15 2675
2397 [2016/07/01] 우리말) 감격해하다 머니북 2016-07-06 2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