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시렁거리다’라고 말하고 있는데, 이 말은 ‘구시렁거리다’로 해야 맞다.

안녕하세요.

아침마다 이번 가을들어 가장 춥다고 하네요. 
하루가 다르게 추워지나봅니다.
건강 잘 챙기면서 삽시다. ^^*

오늘도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고자 합니다.


'소근소근'과 '궁시렁거리다'-성기지 학술위원

어린이 책에서 “별들만이 소근소근 속삭이는 밤하늘에”와 같은 문구를 본 적이 있다. 또, “인부들이 한 곳에 모여 수근거리고 있다.”처럼 쓰는 경우도 흔히 볼 수 있다. 모두가 남이 알아듣지 못하도록 낮은 목소리로 말을 주고받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그러나 ‘소근소근’이라든지 ‘수근거리다’는 말은 모두 바른말이 아니다. ‘소근소근’은 ‘소곤소곤’으로 써야 하고, ‘수근거리다’도 ‘수군거리다’로 바로잡아야 한다. ‘수근덕거리다’도 마찬가지로 ‘수군덕거리다’로 써야 한다. 작은 발음 차이 때문에 틀리기 쉬운 말 가운데 하나이다.

받침소리를 잘못 내는 경우도 있다. ‘궁시렁거리다’란 말도 그러한 사례이다. 무언가 못마땅하여 군소리를 듣기 싫도록 자꾸 한다는 뜻으로 많은 사람들이 ‘궁시렁거리다’라고 말하고 있는데, 이 말은 ‘구시렁거리다’로 해야 맞다. “뭘 그렇게 혼자 구시렁거리고 있니?”가 올바른 표현이다. 말하는 사람이 어린아이인 경우에는 ‘구시렁거리다’의 작은 말인 ‘고시랑거리다’로 표현할 수도 있다. 또, “얼른 나가지 못하고 제자리에서 몸을 움직여 비비대는 것”을 ‘뭉기적거리다’ 또는 ‘밍기적거리다’라고 말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이때에도 역시 발음에 주의해서 올바로 말하면 ‘뭉그적거리다’가 바른말이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문제를 냈습니다]

아침 7:33 KBS 뉴스에서 '시작한지'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지'가 어떤 일이 있었던 때로부터 지금까지의 동안을 나타낼 때는 앞말과 띄어 씁니다.
그를 만난 지도 꽤 오래되었다, 집을 떠나온 지 어언 3년이 지났다처럼 씁니다.

벌써 금요일입니다.
세상이 바삐 돌아가니 저도 덩달아 정신없이 사는 것 같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마음 다잡고 건강도 잘 챙겨야지 싶습니다.

우리말에 '참'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거짓에 맞서는 참도 있지만,
"일을 하다가 일정하게 잠시 쉬는 동안"
"일을 시작하여서 일정하게 쉬는 때까지의 사이"
"일을 하다가 잠시 쉬는 동안이나 끼니때가 되었을 때에 먹는 음식"
"길을 가다가 잠시 쉬어 묵거나 밥을 먹는 곳"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오늘은 오랜만에 문제를 내겠습니다.
건물에 오르다 보면 계단을 타고 올라가는 때가 잦습니다.
거의 모든 계단은 층을 반쯤 올라가서 약간 넓은 공간을 두고 방향을 바꿔 다시 올라가게 되어 있습니다.
바로 그 공간,
"층계의 중간에 있는 좀 넓은 곳"을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겁니다.

오늘 문제를 낸 것은
살아가면서 넉넉함을 찾고
가끔은 눈을 들어 멀리 초록으로 물든 산도 좀 보고 살자는 뜻에서 입니다.

단숨에 층계를 다 오르려 용쓰지 말고
힘에 부칠 즈음 잠시 쉬는 느긋함도 갖고 
몸과 마음을 가다듬고 나서 또 가고... 그러다 힘들면 또 좀 쉬고... 뭐 이렇게 살면 어떨까 싶습니다.

맨 처음 문제를 맞히신 분께 우리말 편지 갈피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955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5233
2016 [2014/10/210] 우리말) 비가 그치겠죠? 머니북 2014-10-21 2845
2015 [2014/10/20] 우리말) 웨하스 머니북 2014-10-21 2557
» [2014/10/17] 우리말) '소근소근'과 '궁시렁거리다' 머니북 2014-10-17 3043
2013 [2014/10/16] 우리말) 따뜻한 편지 머니북 2014-10-16 3179
2012 [2014/10/14] 우리말) 제가 누구냐고요? 머니북 2014-10-14 2970
2011 [2014/10/13] 우리말) 왠/웬 머니북 2014-10-13 4566
2010 [2014/10/10] 우리말) 딴지와 딴죽 머니북 2014-10-10 3085
2009 [2014/10/08] 우리말) 몰강스럽다 머니북 2014-10-08 2841
2008 [2014/10/07] 우리말) 네이버 카페 하나 소개합니다 머니북 2014-10-07 2961
2007 [2014/10/06] 우리말) 얌치 같은 계집애?-성기지 학술위원 머니북 2014-10-06 3387
2006 [2014/10/02] 우리말) 내일/모레/내일모레 머니북 2014-10-02 3028
2005 [2014/09/30] 우리말) 망막하다/막막하다 머니북 2014-09-30 3508
2004 [2014/09/26] 우리말) 목이 두꺼운 처자 머니북 2014-09-26 2804
2003 [2014/09/25] 우리말) 언뜻/얼핏 머니북 2014-09-25 2843
2002 [2014/09/24] 우리말) 산득 머니북 2014-09-24 2520
2001 [2014/09/23] 우리말) 흐리멍텅하다 머니북 2014-09-23 2861
2000 [2014/09/22] 우리말) 야식과 밤참 머니북 2014-09-22 3260
1999 [2014/09/19] 우리말) 눈시울과 가선 머니북 2014-09-19 2612
1998 [2014/09/18] 우리말) 눈가에 생긴 잔주름 머니북 2014-09-18 2902
1997 [2014/09/17] 우리말) 구어먹다 보다는 구워먹다 머니북 2014-09-17 4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