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비가 오네요.
요즘은 땡볕이 나야 곡식이 여물고 과일이 익을텐데... 걱정입니다.

오늘은 함께 읽어야할 신문기사, 꼭 함께 읽어야할 신문기사가 있어 소개합니다.
이건범 님이 경향신문에 낸 글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어린이가 사 먹는 과자에 우리 말글보다 외국 말글을 더 크게 쓰도록 규정을 바꾼다고 합니다.
그게 규제개혁이라네요.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08252048065

[문화와 삶]과자도 사기 어려운 세상 오려나?
다들 한두 번은 겪지 않았을까 싶다. 외국어로 길게 지어진 아파트 이름을 외우기 어려워 헤매는 일 말이다. 부모가 찾아오지 못하게 하느라 그런다는 우스갯소리가 참 씁쓸하다. 외국어로 이름을 지어야 좀 있어 보인다는 생각이 널리 퍼져 있고, 공급자나 소비자가 서로 그런 생각을 부추긴다.

과자나 라면 등 식품의 이름을 포장지에 적을 때는 외국 문자나 한자가 한글보다 커서는 안된다는 규정이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정한 식품의 표시 기준이다. 이게 불필요한 규제라고 없애달라는 산업계의 민원을 규제개혁위원회(규개위)가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단다. 로마자나 한자로 포장지를 도배하든 말든 간섭하지 말라는 뜻이다.

먼저, 이들은 세계화 추세에 따라 다른 산업 분야에서는 영문 머리글자나 영문 제품명을 마구 사용하는데 식품산업은 표시 제한으로 다른 산업에 비해 영업과 마케팅 활동에서 제한을 받고 있다고 주장한다. 수출 경쟁력 문제나 업계 안의 불공정 문제가 아니라 자기네 일하기 불편하다는 불만이다. 혹시 식품산업에 대한 차별일까? 아니다. 난 이 규정이 식품산업이기에 필요하다고 본다. 먹는 걸로 장난치지 말라는 말이다. 한글과 같은 크기로 상품 이름에 외국 문자를 적을 수 있는데도, 이 규정을 없애자는 목적은 외국 문자를 크게 적고 한글은 보일 듯 말 듯 적어 외국 제품처럼 보이겠다는 것이리라. 앞서 말한 외국어 이름 아파트를 외국인 아파트로 오인할 일이야 없지만 과자나 사탕, 라면 등에서 이런 오해는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 종류가 많고 신제품도 쏟아지며 제조 단가도 싸기 때문이다.

우리 소비자기본법에서는 “국가는 소비자가 사업자와의 거래에 있어서 표시나 포장 등으로 인하여 물품 등을 잘못 선택하거나 사용하지 아니하도록” 상품명부터 여러 가지 정보의 표시 기준을 정하게 했다. 이런 마당에 정체를 제대로 드러내지 않으려는 비겁한 위장술을 마케팅이라고 우기니 기업이 욕을 먹는 거다. 어린 시절 홀짝 내기로 껌종이 따먹기 할 때 외국 글자만 쓰여 있는 외국 껌은 제대로 읽을 수가 없어서 늘 환산 가치가 높았다. 아마도 이들은 로마자로 적은 상품을 내면서 가격을 더 올릴지도 모른다.

둘째로, 이들은 국가경쟁력이 필요한 시점에서 활자 크기 제한은 경쟁력을 낮춰 식품 기업의 영업 활동에 규제가 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자신의 영업이익을 국가경쟁력과 동일시하는 이 오만함도 어처구니없고, 국내 시장에서 어떤 경쟁력을 낮춘다는 말인지 도통 이해할 수 없다. 나에겐 식품 대기업이 외국 상품처럼 꾸며서 마구 광고 때리고 돈을 퍼부어 자기네 시장 점유율 높이고 싶은데, 그걸 막고 있다는 뜻으로 읽힌다. 난 그들이 애국기업이라서 자기네 이윤을 희생해왔다고는 절대 생각지 않는다. 비용이 조금 더 들어가고 있다면 그만큼 영업이익을 겨냥한 가격을 매겨 놓았을 게 뻔하다. 


이들 식품 기업과 규개위는 식품 대기업의 이윤이 한글의 가치보다도 더 소중하다고 여기는 것 같다. 몇몇 기업 배 불리자고 우리의 미래를 희생해야 하는가? 과자와 라면 등의 식품을 가장 많이 접하는 층은 어린이와 청소년, 젊은이들이다. 그들의 눈에 한글보다 로마자가 더 멋지고 돈 되고 우수한 글자라고, 우리 글자는 과자 이름 하나도 표기할 값어치가 없는 것이라고 가르치자니. 굳이 경쟁력을 따진다면 정신의 힘을 버려야 할 까닭이 없다.

이 문제는 소비자의 권리를 침해할 소지가 큼과 동시에 영어 능력을 잣대로 삼아 영어에 취약한 세대를 차별할 위험도 갖고 있다. 영어유치원 다니는 손자 앞에서 할머니가 과자를 찾지 못해 자신의 짧은 배움을 한탄해야 하는 장면을 떠올려보라. 국민의 보건과 안전, 인간으로서 존엄하게 살 권리가 연결된 문제에서는 더 이상 천박해지지 말자.

<이건범 | 작가>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알음장과 알림장]

안녕하세요.

요즘 여기저기서 자리를 옮기는 분들이 많으시네요.
자리를 옮기는 인사는 명령을 받아봐야 안다지만,
그전에 알 수 있다면 이런저런 준비를 하는데 여러모로 도움이 될 겁니다. 제 생각에......
그러나 인사가 먼저 새나가면 안 되겠죠. ^^*

인사가 난 다음에 그 내용을 알려주는 것은 알림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알림장'이 "알려야 할 내용을 적은 글"이니까요.

재밌는 것은 '알음장'이라는 낱말입니다.
"눈치로 몰래 알려 줌"이라는 뜻입니다.

똥겨주고 뚱겨주는 것도 좋지만,
알음장하거나 알음장으로 알려주는 것도 좋은데......^^*
(뚱기다 : 눈치 채도록 슬며시 일깨워 주다.)
(똥기다 : 모르는 사실을 깨달아 알도록 암시를 주다.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55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257
256 [2015/03/13] 우리말) 쑥되고 말았다 머니북 2015-03-13 2677
255 [2012/04/26] 우리말) 광화문 안내판 머니북 2012-04-27 2677
254 [2014/07/07] 우리말) 사리 머니북 2014-07-07 2676
253 [2010/08/18] 우리말) 언어예절 moneybook 2010-08-18 2676
252 [2016/02/26] 우리말) 대보름날 윷놀이 머니북 2016-02-27 2675
251 [2009/06/19] 우리말) 오사바사하다 id: moneyplan 2009-06-19 2675
250 [2016/01/13] 우리말) 대갚음/되갚음 머니북 2016-01-14 2674
249 [2015/11/05] 우리말) 찜찜하다/찝찝하다 머니북 2015-11-05 2674
248 [2016/04/19] 우리말) 신문 기사를 잇습니다 머니북 2016-04-22 2673
247 [2010/04/28] 우리말) 떨구다와 떨어뜨리다 id: moneyplan 2010-04-28 2673
246 [2008/12/09] 우리말) 잔불과 뒷불 id: moneyplan 2008-12-09 2673
245 [2016/04/12] 우리말) 발표할 때... 머니북 2016-04-16 2672
244 [2014/03/17] 우리말) 나잇살/나쎄 머니북 2014-03-17 2672
243 [2009/01/14] 우리말) 짜집기와 짜깁기 id: moneyplan 2009-01-14 2672
242 [2014/12/22] 우리말) 빌리다와 빌다 머니북 2014-12-22 2671
241 [2010/05/24] 우리말) 서털구털 id: moneyplan 2010-05-24 2671
240 [2009/01/29] 우리말) 높임말 id: moneyplan 2009-01-29 2671
239 [2015/07/20] 우리말) "농업, 일제용어 정리해야 진정한 광복" 머니북 2015-07-20 2670
238 [2009/05/25] 우리말) 조문의 뜻풀이 id: moneyplan 2009-05-26 2670
237 [2014/12/08] 우리말) 기프트 카 머니북 2014-12-08 26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