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에 '까대기'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벽이나 담 따위에 임시로 덧붙여 만든 허술한 건조물."을 뜻합니다.
그는 까대기에 들어박혀 가마니를 짰다, 삽짝에 가까운 까대기 겸 외양간에서...처럼 씁니다.

안녕하세요.

무척 덥네요.

오늘도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누가 '전기세'를 걷나?-성기지 학술위원

생활 속에서 자주 혼동되는 표현 가운데, ‘집세’나 ‘월세’, ‘전기세’ 들과 같은 말들이 있다. 남의 집에 세를 들어 사는 사람들은 (전세살이가 아니면) 다달이 집세를 낸다. 다달이 내는 세이니 월세라고도 한다. 이처럼 ‘집세’나 ‘월세’, ‘사글세’에는 모두 ‘세’를 붙여 쓴다. 계약에 따라 일정한 돈을 의무적으로 내야 하기 때문에 ‘세’라는 말을 붙이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전기세’, ‘수도세’ 같은 말들도 자주 사용하는데, 이것은 잘못된 말들이다. 집세와는 달리, 전기나 수돗물 사용에 드는 비용은 계약에 따라 일정하게 내는 돈이 아니라, 그때그때 자기가 사용한 만큼만 내는 요금이다. 그래서 이들 경우에는 ‘세’ 대신에 ‘요금’을 붙여서, ‘전기요금’, ‘수도요금’이라고 말한다. 굳이 줄여서 말한다면 ‘전기세’, ‘수도세’가 아니라, ‘전기료’, ‘수도료’처럼 표현해야 한다.

유선방송이나 인터넷 전용선을 이용할 때에도 계약에 따라 다달이 일정하게 돈을 내는데, 그러면 이때에도 ‘세’를 붙여서 써야 할까? 그렇지는 않다. ‘세’와 ‘요금’을 구별하는 가장 우선되는 기준은 빌려 쓰는 대가로 치르는 돈이냐, 어떤 서비스를 사용한 만큼 내는 돈이냐 하는 것이다. 어떤 자리를 빌려 썼을 때 돈을 낸다면 ‘자릿세’이고, 통신 서비스를 사용한 뒤에 내는 돈은 ‘통신 이용료’이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도토리 키 재기와 도 긴 개 긴]

안녕하세요.

어제까지 새 장관들 청문회를 했죠?
다들 화려하더군요. 뭐가 화려한지는 굳이 말씀드리지 않아도 아시겠죠?

그래도 이 사회에서 한 가락 하셨다는 분들인데,
어찌 그리 모두 집이 많고 땅도 많은지... 군대는 잘도 빠지시고... 
새 장관 후보자 가운데 몇 명은 좀 낫다고는 하지만 제가 봐서는 그게 그겁니다.
도 긴 개 긴이죠.

흔히, 비슷비슷한 것, 또는 거기서 거기인 것, 도토리 키 재기처럼 별 차이 없는 것을 말할 때,
도길 개길 또는 도친 개친 이라고 합니다.
그럴때는 '도 긴 개 긴'이라고 해야 합니다.

여기서 '긴'은
"윷놀이에서, 자기 말로 남의 말을 쫓아 잡을 수 있는 거리."를 뜻하는 낱말입니다.
긴이 닿다, 모와 윷을 놓으니 걸 긴이 되었다처럼 씁니다.

따라서,
'도 긴 개 긴'이라고 하면 
도로 가는 길이나 개로 가는 길이나 그게 그거다는 뜻으로
거기서 거기, 도토리 키 재기라는 뜻이 되는 겁니다.

땅을 사랑해서 산 거지 투기는 아니라고 말씀하셨던 분이 있었습니다.
제 깜냥은 그분 발가락의 때만큼도 못하지만,
꼭 땅이 있어야 땅을 사랑하는 것은 아닙니다.
저는 땅 뙈기 하나 없지만 땅을 사랑하고 흙을 좋아합니다.
그리고 가진 땅이 없어서 오히려 떳떳합니다.
그래서 맘이 편하고 맘껏 웃을 수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49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192
2456 [2016/10/04] 우리말) 부합하다 머니북 2016-11-01 2531
2455 [2016/09/30] 우리말) 가슴꽃 머니북 2016-11-01 2731
2454 [2016/09/29] 우리말) 미역국 먹다에는 슬픈 역사가... 머니북 2016-11-01 3518
2453 [2016/09/28] 우리말) 더이페이 -> 도르리 머니북 2016-11-01 2838
2452 [2016/09/27] 우리말) 야매 머니북 2016-11-01 3092
2451 [2016/09/26] 우리말) 할 말과 못할 말 머니북 2016-11-01 3119
2450 [2016/09/23] 우리말) 애띤 얼굴? 앳된 얼굴? 머니북 2016-11-01 2630
2449 [2016/09/22] 우리말) 소라색 머니북 2016-11-01 2767
2448 [2016/09/21] 우리말) 햇것 머니북 2016-11-01 2593
2447 [2016/09/20] 우리말) 머니북 2016-11-01 2659
2446 [2016/09/19] 우리말) 한가위 머니북 2016-11-01 2639
2445 [2016/09/13] 우리말) 금상첨화와 밥 위의 떡 머니북 2016-09-16 2847
2444 [2016/09/12] 우리말) 함박과 함박웃음 머니북 2016-09-16 2781
2443 [2016/09/09] 우리말) 반죽. 변죽, 딴죽 머니북 2016-09-16 3170
2442 [2016/09/08] 우리말) 다대기 -> 다진 양념, 다지기 머니북 2016-09-16 3045
2441 [2016/09/07] 우리말) 백로 머니북 2016-09-07 2829
2440 [2016/09/06] 우리말) 찌뿌듯하다/찌뿌둥하다 머니북 2016-09-07 3067
2439 [2016/09/05] 우리말) 자웅 머니북 2016-09-07 2791
2438 [2016/09/02] 우리말) 드레지다 머니북 2016-09-07 2725
2437 [2016/09/01] 우리말) 곱다/예쁘다/예쁘장하다/아름답다/아리땁다/어여쁘다/귀엽다 머니북 2016-09-07 4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