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9/16] 우리말) 시키다

조회 수 4651 추천 수 0 2013.09.16 09:16:54

“시키다”는 ‘무엇을 하게 하다’는 말로서, “일을 시키다”, “공부를 시키다” 들처럼 쓰인다. 
가령, “취직시키다”고 하면, 자기가 취직을 하는 것이 아니라, 남을 ‘취직을 하게 하다’는 뜻이 된다.

안녕하세요.

즐거운 월요일 아침입니다. ^^*

오늘도 학글학회와 우리말문화연대 학술위원이신 성기지 박사님이 쓰신 글을 함께 읽습니다.

[거짓말시키는 사람은 누구?]

“시키다”는 ‘무엇을 하게 하다’는 말로서, “일을 시키다”, “공부를 시키다” 들처럼 쓰인다. 또는 앞말에 붙여서, “안심시키다”, “실망시키다”, ‘이해시키다’, ‘입원시키다’ 들처럼, ‘안심하게 하다’, ‘실망하게 하다’, ‘이해하게 하다’, ‘입원하게 하다’는 뜻으로 쓰는 말이다. 가령, “취직시키다”고 하면, 자기가 취직을 하는 것이 아니라, 남을 ‘취직을 하게 하다’는 뜻이 된다.

그런데 요즘 들어 이 말을 전혀 엉뚱하게 쓰는 사례들이 갈수록 많아지고 있다. ‘시키다’가 붙어서 사동을 나타내는 말이 아님에도 마구 붙여 쓰는 사례들이다. 텔레비전 방송의 어느 연속극에서 보니, “남편을 설득시켜 보세요.”라고 하는데, 이 말은 어법에 맞지 않는다. “남편을 설득해 보세요.”라고 써야 한다. 이와는 다른 상황, 곧 누군가에게 남편을 설득하게 해 보라고 할 때에, “그에게 남편을 설득하도록 시켜 보세요.”라고 말할 수 있다.

어느 신문에 “검찰의 보강 수사로 아무개 씨를 구속시켰다.”는 기사가 실렸는데, 이때에도 ‘구속시켰다’고 하면 ‘(남을) 구속하게 했다’는 뜻이 되므로 이 문장도 잘못 된 것이다. 남에게 구속하도록 시키지 않고 검찰 또는 경찰이 직접 주체가 되어 아무개 씨를 구속한 경우이니, “검찰의 보강 수사로 아무개 씨를 구속했다.”로 바로잡아 써야 한다.

‘시키다’를 잘못 쓰고 있는 사례는 이외에도 “주입시키다”, “유발시키다”, “분리시키다”, “결합시키다” 등 아주 많다. 그 중 대표적인 예가 누구누구에게 “거짓말시켰다.”고 하는 것이다. 이 말을 잘 새겨 보면, 상대방이 거짓말을 하도록 내가 시켰다는 뜻임을 알 수 있다. 내가 거짓말을 한 경우라면, “거짓말(을)시켰다.”가 아니라, “거짓말(을)했다.”로 말해야 한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미역 서식지]

출근길에
오늘은 무엇으로 우리말편지 밥상을 차리나 걱정을 하고 있는데,
마침 KBS가 저를 도와주네요.

8시 25분쯤
기상이변으로 수년 내 큰 태풍이 올지도 모른다면서,
기자가 강릉 앞바다에 들어가 보니
평소 서식하고 있던 미역이 줄어들었다고 했습니다.
또, 잠시 나온 전문가는 찬물에 서식하는 해조류보다...
라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서식은 그렇게 쓰는 낱말이 아닙니다.
서식은
살 서(棲) 자와 숨쉴 식(息) 자를 써서
"동물이 깃들여 삶"이라는 뜻입니다.
움직이지 못하는 식물에 쓰는 낱말이 아닙니다.
따라서,
천연기념물인 제주 한란 서식지가 발견되었다 같은 기사는 잘못된 겁니다.
제주 한란 군락지나 자생지가 발견되었다처럼 쓰셔야 합니다.

우리말 밥상 차리는 것을 도와주신(?) 한국방송, KBS, 
고맙습니다. ^^*

보태기)
군락지는 떼판, 자생지는 본바닥, 제바닥으로 쓰는 게 좋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하나 더) 2013.9.16.
이 글을 보내면서 다시 읽어봤습니다.
요즘 사전에는 '서식'을
"생물 따위가 일정한 곳에 자리를 잡고 삶."이라고 풀어놔서
'수생 식물 서식'처럼 식물에도 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잘못이라고 봅니다.
서식과 자생은 갈라 써야 바르다고 봅니다.
제 생각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81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502
2456 [2012/04/18] 우리말) 벚꽃 이야기 머니북 2012-04-18 2344
2455 [2015/09/01] 우리말) 어영부영 머니북 2015-09-02 2344
2454 [2009/03/27] 우리말) 오늘은 예전에 보낸 편지로... id: moneyplan 2009-03-27 2345
2453 [2010/06/17] 우리말) 승패와 성패 moneybook 2010-06-17 2345
2452 [2010/10/01] 우리말) 빼닮다와 빼쏘다 moneybook 2010-10-01 2345
2451 [2016/05/12] 우리말) 염두 머니북 2016-05-12 2346
2450 [2015/06/16] 우리말) 헛얼 머니북 2015-06-17 2348
2449 [2016/10/14] 우리말) 미망인 머니북 2016-11-01 2348
2448 [2010/07/14] 우리말) 빠르면 오늘 소환? [1] moneybook 2010-07-14 2349
2447 [2010/07/30] 우리말) 스리와 쓰리 moneybook 2010-07-30 2349
2446 [2014/12/04] 우리말) 도 긴 개 긴/도찐개찐 머니북 2014-12-04 2349
2445 [2010/05/24] 우리말) 서털구털 id: moneyplan 2010-05-24 2350
2444 [2016/02/26] 우리말) 대보름날 윷놀이 머니북 2016-02-27 2350
2443 [2016/06/08] 우리말) 나달 머니북 2016-06-10 2350
2442 [2016/06/21] 우리말) 꼬리는 말고 꽁지는 빠지고 머니북 2016-06-26 2350
2441 [2016/10/19] 우리말) 굵어진 팔뚝 머니북 2016-11-01 2350
2440 [2010/08/18] 우리말) 언어예절 moneybook 2010-08-18 2351
2439 [2014/07/02] 우리말) 여지껏과 여태껏 머니북 2014-07-02 2351
2438 [2014/08/19] 우리말) 깨끗한 우리말 머니북 2014-08-19 2351
2437 [2016/02/18] 우리말) 핑크빛과 핑큿빛 머니북 2016-02-19 2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