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9/11] 우리말) 바른말 표어 공모

조회 수 6168 추천 수 0 2013.09.11 09:26:57

한글문화연대에서 
"한글옷이 날개" 한글옷 공모전과
제5회 바른말 고운 말 쉬운 말 표어공모전을 엽니다.
함께하시면 우리말을 아끼고 사랑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가을 비가 오네요. ^^*

1.
우리말글을 아름답게 가꾸고 우리 말글살이의 잘못된 점을 바꾸어,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찾는 한글문화를 일구고자 활동하는 시민단체인 한글문화연대에서 
"한글옷이 날개" 한글옷 공모전을 엽니다.
http://www.urimal.org/96

2.
제5회 바른말 고운 말 쉬운 말 표어공모전도 엽니다.
http://www.urimal.org/97
함께하시면 우리말을 아끼고 사랑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3.
몇 번 소개한 것 같기는 한데요.
한국어 맞춤법 검사기를 소개합니다.
글을 쓴 뒤 아래 사이트에 그 글을 넣고 확인해보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저도 날마다 그렇게 합니다. ^^*
http://speller.cs.pusan.ac.kr/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이자는 길미로]

어제 이번 달 카드 청구서가 왔는데 내야 할 돈이 무려 200만 원이 넘네요.
비록 몇 개 외국 학회 연회비와 6월에 외국학회 참가비를 미리 내서 그렇긴 하지만,
월급보다 많은 카드비를 어찌 내야 할지 막막하네요. ^^*

쥐꼬리만 한 월급 받아서 이렇게 저렇게 쓰고 나면 언제 돈을 모을지......
돈을 모아야 저축하고, 저축을 해야 이자가 붙고, 이자를 붙어야 돈을 불릴 텐데......
오늘은 돈 좀 모아볼 각오로,
'이자'말씀 좀 드릴게요.

이자(利子)는 '남에게 돈을 빌려 쓴 대가로 치르는 일정한 비율의 돈'이라는 이름씨(명사)입니다.
이것은 다 아시죠?
이 '이자'라는 낱말은 국립국어원에서 '길미', '변', '변리'로 다듬은 말입니다.
어려운 한자이거나 일본어투 말을 여러 학자가 모여 쉬운 한자나 순 우리말로 다듬었는데,
'이자'라는 낱말이 바로 거기에 해당합니다.

변(邊)은 '변리'라는 뜻이고,
변리(邊利)는 '남에게 돈을 빌려 쓴 대가로 치르는 일정한 비율의 돈'을 뜻하는 낱말입니다.
'이자'의 풀이와 같습니다.
'길미'는 '빚돈에 대하여 일정한 비율로 무는 돈'입니다.
이자, 변, 변리, 길미 모두 같은 뜻입니다.

이렇게 뜻이 같은 낱말이 있다면,
마땅히 한자말보다 우리말을 쓰시는 게 좋습니다.
곧, '이자'를 쓰지 않고 '길미'를 쓰시는 게 좋다고 봅니다.

국립국어원에서 '이자'를 다듬으면서,
'길미'와 함께 '변'과 '변리'를 넣은 까닭은 모르겠지만,
이자를 갈음하여 변이나 변리를 쓰는 것보다는 '길미'를 쓰시는 게 훨씬 좋아 보입니다.

저는 언제 돈 모아 길미 좀 챙겨볼지...
빨리 돈을 모아야 길미가 돌아오고,
그 길미를 모아 또 길미를 칠텐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941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5009
116 [2007/01/31] 우리말) 회의자료 지참 --> 회의자료를 가지고 id: moneyplan 2007-01-31 5968
115 [2008/03/11] 우리말) 초승달과 초생달 id: moneyplan 2008-03-11 6004
114 [2013/09/13] 우리말) 고객관리 머니북 2013-09-13 6035
113 [2011/10/06] 우리말) 메우다와 메꾸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06 6053
112 [2006/09/05] 우리말) 과일과 과실 id: moneyplan 2006-09-05 6070
111 [2006/11/24] 우리말) 싸다와 쌓다 id: moneyplan 2006-11-24 6113
110 [2006/11/14] 우리말) 바람떡/개피떡 id: moneyplan 2006-11-14 6149
109 [2006/11/20] 우리말) 사바사바? 짬짜미! id: moneyplan 2006-11-20 6152
» [2013/09/11] 우리말) 바른말 표어 공모 머니북 2013-09-11 6168
107 [2006/09/18] 우리말) 즐거운 비명 id: moneyplan 2006-09-18 6183
106 [2014/08/11] 우리말) "찻잔 속의 태풍"은 바른 말일까? 머니북 2014-08-11 6204
105 [2016/08/02] 우리말) 자처하다/자초하다 머니북 2016-08-10 6214
104 [2006/09/02] 우리말) 저는 떠버리입니다 id: moneyplan 2006-09-04 6261
103 [2013/03/04] 우리말) 아파트를 쓸 때 @로 쓰시나요? 머니북 2013-03-04 6282
102 [2007/04/04] 우리말) 코사지, 꽃사지, 코르사주, 가슴꽃 id: moneyplan 2007-04-04 6296
101 [2011/12/14]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머니북 2011-12-14 6338
100 [2012/10/26] 우리말) 바래다와 바래지다 머니북 2012-10-26 6354
99 [2006/12/05] 우리말) 어제 점심때 [달글] 먹었습니다 id: moneyplan 2006-12-05 6377
98 [2010/01/11] 우리말) 차 띄어쓰기 id: moneyplan 2010-01-11 6382
97 [2006/09/25] 우리말) 모듬과 모둠 id: moneyplan 2006-09-25 6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