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6/11] 우리말) 압존법

조회 수 2819 추천 수 0 2013.06.11 08:53:47

직장에서는 압존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계장이나 과장이 모두 말하는 나보다 직위가 높으면 두 사람 모두를 높여야 합니다.
'과장님, 계장님께서 퇴근하셨습니다'로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안녕하세요.

어제는 식약처 직원조회에 가서 '공무원과 우리말'이라는 주제로 특강을 했습니다.
특강의 끝날 무렵 한 분이 압존법에 대해서 물으셨습니다.
처장님 앞에서 국장님을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를 물으신 거죠.

오늘은 압존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말 예절에 '압존법'이 있습니다.
말의 주체가 말하는 사람보다는 높지만 듣는 사람보다는 낮아, 그 주체를 높이지 못하는 어법이 압존법입니다.
예를 들어,
내 부모를 조부모께 말할 때
"할아버지, 아버지가 진지 잡수시라고 하였습니다."처럼 
할아버지에 대해서는 '진지, 잡수시다'라고 높였지만,
부모에 대해서는 '하였습니다.'로 높이지 않는 것이 전통 언어 예절입니다.

그러나 오늘날 이러한 전통도 바뀌어 부모보다 윗분에게도 부모를 높이는 것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으므로 
현실을 인정하여 '할아버지, 아버지가 진지 잡수시라고 하셨습니다.'와 같이 
아버지를 할아버지에게 높여 말할 수도 있습니다.
압존법이 무너진 거죠. ^^*

그러나
직장에서는 압존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계장이나 과장이 모두 나보다 직위가 높으면 두 사람 모두를 높여야 합니다.
곧, 계장이 과장보다 직위가 낮더라도 말하는 나보다 직위가 높으면 
'과장님, 계장님께서 퇴근하셨습니다'로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듣는 과장님이나, 지칭하는 계장님이나 모두 저보다 높은 사람이므로 두 분 모두를 높여야 하는 거죠.

좀 헷갈리시나요?

그럼 이렇게 생각해보시죠.
나보다 직급이 높건 낮건, 듣는 사람이나 지칭되는 사람이 어떤 사람이건,
모두 높이는 것으로...
그럼 실수할 일도 없으면서 늘 상대방을 존경할 수 있어서 좋지 않을까요?

오늘은
나보다 남을 먼저 생각하면서 지내고 싶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새로 온 동료직원에게 오늘 저녁에 제가 저녁을 대접합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기일 엄수가 아니라 날짜를 꼭 지키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우리말 편지에서 가끔 공문서에 있는 잘못된 점을 꼬집는데요.
오늘도 그런 것을 하나 짚어야겠네요.

며칠 전에 받은 공문을 보니
'oo까지 기일 엄수하여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되어 있네요.

'공문서'는
"공공 기관이나 단체에서 공식으로 작성한 서류"입니다.
마땅히 깨끗한 우리말을 써야 하고 공문을 받는 기관이나 사람에게 예의를 갖춰야 합니다.
관공서에서 보낸 문서라고 권위를 내세우면 안 됩니다.
지금이 어떤 시대인데 관공서가 국민에게 권위를 내세웁니까?

엄수(嚴守)는
"명령이나 약속 따위를 어김없이 지킴"이라는 뜻이긴 하나
국립국어원에서 '꼭 지킴'으로 다듬은 말입니다.

국가기관인 국립국어원에서 다듬은 말을
같은 국가기관이 공문을 보내면서 쓰면 안 되죠.
그건 세금 낭비로 국민의 따끔한 꾸중을 들어도 쌉니다.

국립국어원에서 아직 다듬지 않은 말도 앞장서서 다듬어 써야 할 곳이 바로 관공서입니다.
깨끗한 우리말로 글을 써야 하는 게 바로 공문서고요.
그래야 세금으로 월급 받는 사람이 제 할 일 다 하는 겁니다.
'엄수'라는 쓰레기 낱말을 쓰면서 권위를 앞세운 공문을 만들면 안 됩니다.

'oo까지 기일 엄수하여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는
'oo까지 꼭 보내주시기 바랍니다.'나
'oo까지 날짜를 지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로 바꿔쓰시면 됩니다.

공무원이 똑바로 서야 나라가 바로 섭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89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593
956 [2013/05/28] 우리말) 민들레 2 머니북 2013-05-28 2444
955 [2013/05/29] 우리말) 필자 머니북 2013-05-29 2759
954 [2013/05/30] 우리말) 시늉과 흉내 머니북 2013-05-30 2771
953 [2013/05/31] 우리말) 뒷좌석과 뒷번호 머니북 2013-06-03 2500
952 [2013/06/03] 우리말) 띠다와 띠우다 머니북 2013-06-04 3251
951 [2013/06/04] 우리말) 후순위와 차순위 머니북 2013-06-04 3421
950 [2013/06/05] 우리말) 랍스터와 로브스터 머니북 2013-06-05 3109
949 [2013/06/10] 우리말) 말길이 바로잡혀야 한다 머니북 2013-06-10 3309
» [2013/06/11] 우리말) 압존법 머니북 2013-06-11 2819
947 [2013/06/12] 우리말) 압존법(2) 머니북 2013-06-12 3159
946 [2013/06/13] 우리말) 사름 머니북 2013-06-13 3096
945 [2013/06/14] 우리말) 자장면과 짜장면 머니북 2013-06-14 2820
944 [2013/06/17] 우리말) 자장면과 짜장면(2) 머니북 2013-06-17 2564
943 [2013/06/18] 우리말) 개문냉방 머니북 2013-06-18 2470
942 [2013/06/19] 우리말) 버벅거리다 머니북 2013-06-19 2422
941 [2013/06/20] 우리말) 99일 뒤... 머니북 2013-06-20 2261
940 [2013/06/21] 우리말) 서울시장 페이스북에 뜬 글 머니북 2013-06-21 2541
939 [2013/06/24] 우리말) 혼신 머니북 2013-06-24 2262
938 [2013/06/25] 우리말) 슈퍼문 머니북 2013-06-25 2301
937 [2013/06/26] 우리말) 사회복지사, 불임/난임 머니북 2013-06-26 2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