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독도에 세워진 표지석이나 독도 바위에 새겨진 글씨는 대부분 한자라고 합니다.
독도는 우리나라 땅이므로 당연히 우리글인 한글로 글을 새겨야 하겠죠.

안녕하세요.

오늘 낮은 무척 따뜻할 것 같습니다.
오늘도 일찍 점심 먹고 일터 앞에 있는 호수를 열심히 돌겠습니다. ^^*

아침에 뉴스에서 들으니
독도 바위에 '한국 땅'이란 한글을 새겨 넣기로 했다고 합니다.
http://news.donga.com/3/all/20130327/53997819/1

지금 독도에 세워진 표지석이나 독도 바위에 새겨진 글씨는 대부분 한자라고 합니다.
독도는 우리나라 땅이므로 당연히 우리글인 한글로 글을 새겨야 하겠죠.

내친김에
경복궁 들어가는 문이자 서울 한복판에 있는 '門化光'도 '광화문'으로 바꿔야 한다고 봅니다.
그리고 이미 불타 없어진 국보1호 숭례문도 한글로 바꿔야 한다고 봅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보시나요?

고맙습니다.

보태기)
1. 독도 바위에 글을 쓰는 것은 환경 보호로 보면 옳은 일은 아니라고 봅니다.
2. 불탄 뒤 복구한 숭례문이 곧 공개될 겁니다. 그러나 그건 새로운 '복원'된 '복제건물'이고, 숭례문이라는 상징일 뿐입니다.
비록 일부 목재를 다시 쓰기는 했지만, 많은 목재와 기와가 없어졌기에 원래대로 복구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숭례문이 국보1호로서의 가치나 상징성이 떨어진다는 논란이 꾸준히 있었고 
특히 화재로 목재와 기와, 단청을 새롭게 복원한 만큼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없어졌기에
이번 기회에 국보1호 지정문제를 다시 논의해야 한다고 봅니다.
훈민정음이나 한글을 국보1호로 지정해 우리글의 가치를 높이고 국민의 자긍심을 올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봅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임용되다와 임용하다]

안녕하세요.

어제는 기분 좋은 소식을 들었습니다.
제가 아끼고 존경하는 후배 백원진 박사가 전남대학교 교수가 됐다네요.
어렵게 공부하고 열심히 노력해서 교수가 되었으니,
더욱 힘써 좋은 업적 많이 내고 두루 존경받는 교수가 되길 빕니다.

저도 어제 백 교수에게 난을 보냈지만,
흔히 교수된 것을 축하할 때 난을 보냅니다.
그러면서 
"교수 임용을 축하합니다"라고 씁니다.

뭔가 좀 어색하지 않아요?
임용(任用)은
"직무를 맡기어 사람을 씀."이라는 뜻으로
신규 임용, 요즘은 정식 교사 임용이 늘어나는 추세...처럼 쓰는 이름씨(명사)입니다.
누군가 어떤 자리에 앉는 것을 이르는 말이 아니라,
어떤 사람을 쓰는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이를 좀 쉽게 풀면,
'임용되다'는 내가 어떤 자리에 앉게 된 것이고,
'임용하다'는 내가 다른 사람을 불러다 쓰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교수 임용을 축하합니다.'라고 하면,
대학 총장이 어려운 사정 속에서도 학교 발전을 위해 큰 맘 먹고 새사람을 뽑았는데,
그것을 두고 총장에게 축하한다는 뜻이 됩니다.

내가 아는 사람이 교수가 된 것을 축하하려면,
'교수 임용됨을 축하합니다.'라고 해야 바릅니다.

내친김에 발음도 좀 볼게요.
임용은 [임용]으로 읽지 않고 [이:묘ㅇ]으로 읽습니다.
제 후배 백 박사는 전남대학교 교수로 [이:묘ㅇ]되었고,
전남대학교는 백 박사를 교수로 [이:묘ㅇ]한 겁니다.
(묘ㅇ 자가 써지지 않네요.)

아무쪼록,
이번에 전남대학교에 임용된, 전남대학교에 둥지를 틀게 된,
백원진 교수가 어디에서든지 제 구실 다 하는 멋진 교수가 되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전남대학교 교수가 되신 것을 축하합니다."라거나, 아니면 "전남대학교 교수 취임(부임)을 축하합니다."가 더 자연스럽고 그럴싸한 표현 아닐까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778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3432
2674 [2013/10/28] 우리말) 틀리기 쉬운 높임말 머니북 2013-10-28 423446
2673 [2014/01/10] 우리말) 사물 존대 동영상 머니북 2014-01-10 143200
2672 [2007/02/22] 우리말) 어제 받은 답장 몇 개 [8] id: moneyplan 2007-02-22 98559
2671 [2006/12/19] 우리말) 봇물을 이루다? id: moneyplan 2006-12-19 55072
2670 [2010/01/12] 우리말) 한판과 한 판 id: moneyplan 2010-01-12 51412
2669 [2011/12/15] 우리말) 따 논 당상 --> 떼어 놓은 당상 머니북 2011-12-16 19905
2668 [2011/11/25] 우리말) 십여 명 머니북 2011-11-25 19207
2667 [2012/08/08] 우리말) 석패 머니북 2012-08-08 17733
2666 [2008/03/07] 우리말) 발췌, 발취, 발초 id: moneyplan 2008-03-07 17686
2665 [2011/11/29] 우리말) 재시합과 재경기 머니북 2011-11-29 17380
2664 [2011/12/08] 우리말) 소반다듬이 머니북 2011-12-08 16950
2663 [2011/12/19] 우리말) 종군위안부 머니북 2011-12-19 16767
2662 [2011/11/18] 우리말) 댓글 소개 머니북 2011-11-18 15898
2661 [2006/08/18] 우리말) '당분간'이 아니라 '얼마 동안' id: moneyplan 2006-08-18 15650
2660 [2013/03/06] 우리말) 세꼬시는 뼈째회로 쓰는 게 좋습니다 머니북 2013-03-06 15301
2659 [2012/08/10] 우리말) 도합과 모두 머니북 2012-08-10 14840
2658 [2011/11/24]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머니북 2011-11-24 13761
2657 [2013/03/06] 우리말) 개그맨, 한글 박사가 되다 방송인 정재환 머니북 2013-03-06 136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