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2/20] 우리말) 봄꿈

조회 수 7093 추천 수 0 2013.02.20 10:23:47

우리말에 '봄꿈'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이름씨(명사)로 아래와 같은 세 가지 뜻이 있습니다.
봄날에 나른해져 깜빡 잠든 사이에 꾸는 꿈.
달콤하고 행복한 것을 그려 보는 꿈.
한때의 덧없는 일이나 헛된 공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안녕하세요.

오늘 날씨가 참 좋을 것 같죠?
여기저기서 봄이 오는 소리가 들리는 것 같습니다. ^^*

우리말에 '봄꿈'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이름씨(명사)로 아래와 같은 세 가지 뜻이 있습니다.
봄날에 나른해져 깜빡 잠든 사이에 꾸는 꿈.
달콤하고 행복한 것을 그려 보는 꿈.
한때의 덧없는 일이나 헛된 공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오늘 점심 드시고 잠시 낮잠 주무시면서 봄꿈 속으로 빠져드시는 것은 어때요?
행복한 봄꿈에 가슴이 부풀어 오르실 겁니다.
그렇다고 허망한 한바탕 봄꿈으로 끝내진 마시고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상가와 상갓집]

안녕하세요.

우산은 챙겨오셨나요? 오늘부터 또 비가 온다네요. 

이렇게 날씨가 갑자기 쌀쌀해지니 어르신들의 건강이 걱정됩니다.
어제는 부고를 네 건이나 받았네요. 
오늘은 상가, 상갓집을 알아보겠습니다.

"사람이 죽어 장례를 치르는 집"을 '상가'라고 합니다.
이 '상가'뒤에 흔히 '집'을 붙여 '상갓집'이라고도 합니다.
그러나 상가(喪家)가 죽을 상 자에 집 가 자 이므로,
상가 뒤에 집을 붙이면 겹말이 됩니다.
틀린 말입니다.

우리 말은 참 재밌습니다.
'상가집'이나 '상갓집'은 분명히 틀린 말인데,
사람들이 많이 쓰기 때문에 표준어로 봤습니다.
'상갓집'은 바른말입니다. 표준어로 사전에 올라있는 낱말입니다.

이렇게 겹말이면서 사전에 오른 낱말은
처갓집, 외갓집, 상갓집, 초가집, 생일날, 고목나무, 포승줄, 국화꽃, 매화꽃, 해안가, 단발머리 따위입니다.
이런 낱말은 처가, 외가, 상가, 초가, 생일, 고목, 포승, 국화, 매화, 해안, 단발로 써도 됩니다.

재밌는 것은
이렇게 사람들이 자주 쓴다고 해서 표준말로 사전에 오른 낱말은 한 낱말로 봐서 붙여 쓰지만,
그렇지 못한 억울한 낱말도 있습니다.
국화꽃이나 매화꽃은 한 낱말로 사전에 올라 있지만, 
나라 꽃이라는 '무궁화꽃'은 사전에 없습니다. 그래서 '무궁화 꽃'이라고 띄어 써야 합니다.
한 낱말이 아니니 띄어 써야죠.

글이나 말은 군더더기 없이 깨끗한 게 좋습니다.
짧고 쉬운 글이나 말이 뜻을 전달하는 데 훨씬 좋습니다.

상갓집이 사전에 올라 있으니 쓰면 안 된다고 할 수도 없지만,
그래도 '상갓집'보다는 '상가'가 훨씬 깔끔하지 않나요?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636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1973
2596 [2017/06/09]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머니북 2017-06-13 4495
2595 [2017/06/08] 우리말) 초콜릿 머니북 2017-06-08 4992
2594 [2017/06/07] 우리말) 가뭄 해갈 머니북 2017-06-08 2960
2593 [2017/06/05] 우리말) 답 그리고 정답 머니북 2017-06-05 3360
2592 [2017/06/02] 우리말) 갑질 openmind 2017-06-03 3515
2591 [2017/06/01] 우리말) 예초와 풀베기 openmind 2017-06-03 3283
2590 [2017/05/31] 우리말) 멀찌가니/멀찌거니 머니북 2017-05-31 3527
2589 [2017/05/30] 우리말) 무고하다 머니북 2017-05-31 2976
2588 [2017/05/29] 우리말) 잘못 쓴 한국어 바로잡기 머니북 2017-05-31 3394
2587 [2017/05/26] 우리말) ㅍ 받침을 쓰는 말들 머니북 2017-05-29 4567
2586 [2017/05/25] 우리말) 우와기와 한소데 머니북 2017-05-26 3526
2585 [2017/05/23] 우리말) 육교 머니북 2017-05-24 3278
2584 [2017/05/19] 우리말) 업 머니북 2017-05-19 2962
2583 [2017/05/18] 우리말) 해찰하다/헤찰하다 머니북 2017-05-18 5597
2582 [2017/05/17] 우리말) 색깔과 관련된 우리말 머니북 2017-05-18 7986
2581 [2017/05/16] 우리말) 농식품부에서 만든 책 머니북 2017-05-16 3052
2580 [2017/05/15] 우리말) 영부인과 여사 머니북 2017-05-15 4070
2579 [2017/05/12] 우리말) 안다미, 안다미로, 안다니 머니북 2017-05-12 4137
2578 [2017/05/11] 우리말) 협치 머니북 2017-05-11 3357
2577 [2017/05/08] 우리말) 단어를 바꾸면 태도가 바뀐다 머니북 2017-05-11 38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