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9/24] 우리말) 착한 남자

조회 수 8829 추천 수 0 2012.09.24 09:59:48

다행히 '차칸 남자'를 '착한 남자'로 바로잡았네요.
이렇게 많은 사람이 같이 나서면 세상을 바로잡을 수 있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날씨가 참 좋네요. ^^*
지난 2주 동안 영국과 아일랜드에 잘 다녀왔습니다.
그동안 우리말 편지를 무척 기다리셨죠? 저만 그렇게 생각하나요? ^^*

1.
요즘은 인터넷 사정이 좋아 다른 나라에서도 우리나라 뉴스를 언제든지 볼 수 있습니다.
제가 떠나기에 앞서 보낸 우리말 편지가 '차칸 남자'였는데요.
다행히 '차칸 남자'를 '착한 남자'로 바로잡았네요.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2/09/18/0200000000AKR20120918100200005.HTML?did=1179m
이렇게 많은 사람이 같이 나서면 세상을 바로잡을 수 있다고 봅니다.

2.
지지난 주에 아일랜드를 다녀왔습니다.
그곳은 게일어가 국어입니다. 그런데 그 게일어를 아는 사람이 아일랜드 국민의 20%정도 밖에 안 된다고 하네요.
그래서 아일랜드 정부에서 게일어만 쓰는 마을을 만들어서 지원하고, 공무원 시험볼 때 게일어 과목을 넣는 등 게일어를 지키고자 무척 힘쓰기는 하지만
게일어는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고 합니다.
그곳 정부에서도 게일어는 수년 안에 사라질 것으로 생각하고 있더군요.
참으로 안타까운 마음이 들며, 우리말이 떠올랐습니다.
한글날만 되면 우리말 사랑을 외치지만, 그날만 지나면 다시 또 엉터리 말이 판을 치는...
며칠 전에 한글날을 공휴일로 하자는 청원을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금이라도 모든 국민이 우리말을 아끼고 사랑하는 운동에 앞장서야 한다고 봅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6년 이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이걸 처먹으라고?]

어제는 밖에 나가서 점심을 먹었습니다.
제 배가 해장국을 애타게 찾더군요. ^^*
추어탕을 먹었는데요.
추어탕을 내오고, 그 옆에 들깨 가루가 있는데,
그걸 쳐 먹으면 좋다고 하더군요.

우스갯소리입니다. ^^*
"손님, 들깨 가루를 쳐 먹는[처멍는] 것이 좋습니다."
"뭐라고요? 처먹으라고요?"
"아니, 그게 아니라, 이걸 쳐 드시라고..."
"처먹으나 처드시나... 이런..."

오늘은 '처먹다'와 '쳐 먹다'를 갈라보겠습니다.

먼저,
'처먹다'는 
"욕심 사납게 마구 먹다."는 뜻입니다.
또, '먹다'를 속되게 이르는 말이기도 하죠.
발음은 [처먹어, 처먹으니, 처멍는]입니다.
여기에 쓴 '처'는
'함부로, 마구, 심히'의 뜻이 있습니다.

이와 달리,
'쳐 먹다'는 두 개의 낱말로 만들어진 구입니다.
여기에 쓴 '쳐'는 
"적은 분량의 액체를 따르거나 가루 따위를 뿌려서 넣다"는 뜻의 '치다'에서 온 말입니다.
곧, '쳐'는 '치-'의 활용형인 '치어'의 준말입니다.

따라서,
'들깨 가루를 쳐 먹다'는
'들깨 가루를 추어탕에 뿌려서(또는 넣어서) 먹다'는 뜻이고,
'들깨 가루를 처먹다'는
들깨 가루 먹는 것을 속되게 이르는 것입니다.

문제는,
'쳐 먹다'와 '처먹다'의 발음이 같다는 것입니다.
이건 뭐 어떻게 풀 방법이 없네요.
어르신 앞에서는 조심스럽게 쓰는 수밖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35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063
2674 [2013/10/28] 우리말) 틀리기 쉬운 높임말 머니북 2013-10-28 422799
2673 [2014/01/10] 우리말) 사물 존대 동영상 머니북 2014-01-10 142746
2672 [2007/02/22] 우리말) 어제 받은 답장 몇 개 [8] id: moneyplan 2007-02-22 97355
2671 [2006/12/19] 우리말) 봇물을 이루다? id: moneyplan 2006-12-19 54443
2670 [2010/01/12] 우리말) 한판과 한 판 id: moneyplan 2010-01-12 50770
2669 [2011/12/15] 우리말) 따 논 당상 --> 떼어 놓은 당상 머니북 2011-12-16 19640
2668 [2011/11/25] 우리말) 십여 명 머니북 2011-11-25 18983
2667 [2012/08/08] 우리말) 석패 머니북 2012-08-08 17469
2666 [2008/03/07] 우리말) 발췌, 발취, 발초 id: moneyplan 2008-03-07 17301
2665 [2011/11/29] 우리말) 재시합과 재경기 머니북 2011-11-29 17080
2664 [2011/12/08] 우리말) 소반다듬이 머니북 2011-12-08 16743
2663 [2011/12/19] 우리말) 종군위안부 머니북 2011-12-19 16528
2662 [2011/11/18] 우리말) 댓글 소개 머니북 2011-11-18 15695
2661 [2006/08/18] 우리말) '당분간'이 아니라 '얼마 동안' id: moneyplan 2006-08-18 15436
2660 [2013/03/06] 우리말) 세꼬시는 뼈째회로 쓰는 게 좋습니다 머니북 2013-03-06 15092
2659 [2012/08/10] 우리말) 도합과 모두 머니북 2012-08-10 14614
2658 [2011/11/24]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머니북 2011-11-24 13533
2657 [2013/03/06] 우리말) 개그맨, 한글 박사가 되다 방송인 정재환 머니북 2013-03-06 13439